유가와 연관성 높아…정치·경제 상황도 변수
[뉴스핌=김성수 기자] 우크라이나 사태로 급락한 러시아 증시를 '지금 매수하라'는 의견이 전문가들 사이에서 잇따르고 있다.
◆ 러시아 주식·통화 '폭락'…전문가들 "매수 타이밍"
러시아는 올해 가산가치 급락세를 겪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크림반도를 무력 침공할 것이라는 우려가 높아지면서 외국인들이 자산시장에서 대거 이탈했기 때문이다.
![]() |
MSCI 세계지수 대비 MSCI 러시아지수 비율 추이 [출처: 톰슨로이터] |
미국 경제매체 비즈니스인사이더 등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러시아 주식을 매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세계적 상품 투자의 귀재인 짐 로저스 로저스홀딩스 회장은 "러시아 주식은 세계에서 가장 싸면서도 가장 기피대상인 자산"이라며 "지금이 러시아 주식을 사기에 딱 좋은 타이밍"이라고 말했다.
국가별 주가수익비율(PER)과 연간 배당수익을 비교했을 때 러시아 주식에 투자하는 게 압도적으로 유리하다는 것이다. 유럽 거시경제 분석 센터인 파이낸셜마켓그룹(FMG)에 따르면 2014년 기준 러시아 증시의 평균 PER는 4배, 연간 배당수익률은 5%로 추산됐다. 반면 미국 증시는 PER가 16배인데도 연간 배당수익률은 2%에 그쳤다.
세븐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 크리스 다비셔 최고투자책임자(CIO)는 "러시아 증시에 대한 투자자들 기대는 유지되는 반면, 미국 등 선진국 증시에 대한 기대는 떨어지고 있다"며 "러시아 투자 비중을 늘릴 계획"이라고 말했다. 세븐인베스트먼트가 투자한 신흥국 증시에서 러시아는 6~10% 정도의 비중을 차지한다.
FMG의 조 포르텔리 CIO는 "러시아 주식은 지금 굉장히 싼 편"이라며 "3~5년 정도 긴 안목을 가진 투자자라면 러시아에 투자한 금액을 2배로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의 급락세에 대한 인내심을 갖는다면 우크라이나 위기가 가라앉은 후 시세 차익을 누릴 수 있다는 설명이다.
FMG는 신흥국 및 프런티어 시장에 1억5000만달러 규모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러시아 주식 비중을 늘리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
![]() |
러시아 RTS지수와 유가 추이 [출처: 데이터스트림] |
러시아 증시는 유가와 연관성이 높다. 러시아 경제에서 원유 수출 비중이 절대적이기 때문이다. 러시아는 원유, 가스 수출이 국내총생산(GDP)의 약 24%, 총 수출의 약 70% 이상을 차지한다. 그래서 유가가 떨어지면 러시아 주가도 하락하고, 유가가 오르면 러시아 주가도 같이 반등하는 흐름이 나타난다.
![]() |
러시아 주가 및 유가 추이 [출처: 더 모스코 뉴스(The Moscow News)] |
2009년 브렌트 원유 가격이 오르자 주가는 반등하기 시작했고, 2011년 11월에는 러시아와 조지아 간 협상이 타결되면서 추가 상승했다.
![]() |
러시아 MICEX 지수와 브렌트원유 가격 추이 [출처: 블룸버그] |
지난달 러시아 모스크바증시 대표지수인 MICEX 지수와 브렌트 원유 가격은 120일 상관계수가 마이너스 0.2를 나타냈다. 상관계수는 두 자산의 가치가 얼마나 상관성을 갖는지를 보여준다. 상관계수가 1인 것은 한 자산 가격이 1 오를 때 다른 자산 가격도 1 오르는 것을 뜻한다.
즉 120일 상관계수가 마이너스 0.2라는 것은 유가가 1 올랐을 때 MICEX 지수가 0.2 하락했다는 뜻이다.
[뉴스핌 Newspim] 김성수 기자 (sungso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