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유수입국 경제 긍정적" vs "대체에너지 개발 방해"
[뉴스핌=김성수 기자] 저유가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전문가들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유가가 하락할 경우 미국 등 원유 소비국에는 경제적 이득이 발생하겠지만, 기후변화 대응과 재생 에너지에 대한 투자 의욕을 저해한다는 점에서는 부정적이라는 지적이다.
<출처=블룸버그통신> |
저유가 때문에 에너지 기업들이 투자를 감축하고 있으나 실제 미국경제에 미칠 부정적 영향은 미미하다는 것이다. 석유산업은 미국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약 2% 정도이고 고용 비중도 1%에 불과하다.
제이슨 퍼르만은 "지난 3개월간 미국의 저축률이 상승한 요인 중 약 95%는 연료비 절감 덕분"이라며 "유가 하락은 미국 경제성장률을 0.5% 끌어올릴 요인"이라고 말했다. 물론 저유가에 따른 경제적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기까지는 1년의 시간이 소요될 것이란 설명도 덧붙였다.
유가 하락에도 석유산업에 대한 투자는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었다. 석유산업은 장기적으로 일관된 수익성을 유지해왔기 때문에 기초 여건에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뜻이다.
미국 사모펀드업체 와버그 핀커스의 피터 케이건은 미국에서 셰일혁명이 일어났는데도 국제유가가 상당히 안정된 흐름을 보였던 점에 주목했다.
케이건은 "미국에 에너지 르네상스가 도래했지만 국제유가는 지난 2011~2014년간 상당히 안정적으로 움직였다"며 "이는 미국의 공급증가와 리비아·이란·나이지리아 등의 공급감소가 거의 정확하게 상쇄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유가가 배럴당 65~75달러 수준이지만 여전히 전세계적으로 많은 투자 기회가 존재한다"며 "셰일업체들도 생산성 향상과 비용절감 노력을 지속해 왔기 때문에 향후 석유소비가 회복된다면 유가가 60~65달러 수준일 때도 생산이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저유가가 가져올 부정적 파급 효과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저유가는 원유 의존도가 높은 산유국(petrostates)에 정치·경제적 불안을 가져올 수 있으며, 특히 신재생 에너지를 개발·투자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미국 정부는 오는 2025년까지 온실가스를 2005년 수준에서 26~28% 감축할 계획이다. 그러나 저유가가 지속될 경우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의지가 약화될 가능성이 있다.
글로벌 에너지 정책 컬럼비아 센터의 제이슨 보르도프는 "오일쇼크가 과거 1970년대 말에 발생하면서 대체에너지 개발에 대한 움직임이 나타났다"며 "그러나 이후 약 20년간 국제유가가 낮게 유지되면서 대체에너지 개발이 결실을 맺지 못했다"고 강조했다.
최근 미국 환경보호청은 탄소의 사회적 비용(social cost of carbon)을 톤(t)당 37달러로 평가했다. '탄소의 사회적 비용'은 1t의 이산화탄소 배출로 인해 사회가 1년간 부담해야 하는 경제적 비용을 의미한다.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연구진은 이 비용이 t당 37달러가 아닌 220달러에 이른다고 평가했으며, 앞으로도 비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뉴스핌 Newspim] 김성수 기자 (sungso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