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선물시장, 9월 금리인상 쪽으로 움직일 듯
[뉴스핌=배효진 기자] 이번 주 미국 국채시장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위원들의 연설과 7월 소매지표가 고용지표 개선에 따른 9월 긴축 가능성 강화 흐름을 이어갈지에 주목한다.
7월 고용 결과가 보여준 고용시장의 견조한 개선 추세로 사상 최저 수준의 금리 유지를 주장해온 온건파 위원들의 주장이 정당화되기 어려워졌다. 이에 따라 연방준비제도는 9월 금리 인상에 있어 한층 부담을 덜 수 있을 전망이다.
지난주 미 국채는 9월 첫 금리인상에 힘이 실리면서 장기물 가격이 상승(수익률 하락)한 반면 단기물은 하락(수익률 상승)하는 모습을 연출했다.
월스트리트저널-튤렛프레본에 의하면 7일 뉴욕 채권시장에서 10년물 국채가격은 전날보다 16/32 포인트 올랐다. 가격과 반대로 움직이는 수익률은 5.6베이시스포인트(1bp=0.01%) 떨어진 2.166%로 2개월 여만에 최저 수준을 나타냈다.
인플레이션(물가상승률)에 민감한 30년물 가격은 1-15/32포인트 뛴 반면 수익률은 7.1bp 하락한 2.821%를 기록했다. 수익률은 5월 1일 이후 3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반면 통화정책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2년물의 경우 수익률이 전장보다 2.8bp 오른 0.733%를 기록했다.
신규 고용규모는 예상치를 소폭 밑돌았지만 고용시장의 호조와 부진의 기준선으로 여겨지는 20만개를 석 달째 상회하며 금리 인상의 근거가 충분함을 시사했다.
미국 노동부는 지난달 미국 비농업 부문 신규 취업자 수가 21만5000명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시장 예상치 22만3000명을 하회하는 결과다. 이로써 미국의 신규 취업자는 최근 3달 연속 평균 23만5000명으로 집계되며 지난 12~2월 이후 가장 견고한 흐름을 유지했다.
실업률은 5.3%로 경기침체가 최고조에 달했을 당시의 절반 수준이며 풀타임 고용을 얻지 못한 노동자 수는 2008년 9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앞서 자넷 옐런 연준 의장이 7월 FOMC에서 금리 인상의 전제 조건으로 '노동시장의 추가적 개선이 좀 더 확인되면(when it has seen some further improvement)'이라는 단서를 달았던 만큼 시장 관계자들은 연준이 9월 금리 인상에 나설 명분이 충분해졌다고 분석한다.
시장조사기관 코너스톤매크로 파트너이자 연준에서 근무한 바 있는 로베르토 페를리는 "현재 고용시장의 추세가 확인될 경우 9월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금리선물시장에서는 9월 금리인상 가능성을 배제한 한편 10월 인상 가능성을 높여 잡았다. 고용지표가 호조를 이어가며 시장의 기대를 충족시켰기 때문으로 보인다.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 펠로우이자 연준 조사담당 이사를 지낸 데이비드 스탁턴은 "연준은 9월 금리 인상을 향해 움직일 것으로 보이며 자넷 옐련 연준 의장도 이에 동의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CME페드와치에 의하면 연방기금(Federal fund) 금리선물시장은 지난 7일 기준 오는 10월 금리인상 가능성을 38%로 반영했다. 직전주 27%에서 11%포인트(p) 이상 오른 수치다. 같은 기간 12월의 가능성은 60%로 역시 5%p 뛰었다.
시선은 FOMC 위원들의 연설과 7월 소매지표가 견조한 흐름을 이어갈지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톰슨로이터에 의하면 미국의 7월 소매판매는 직전월 대비 0.5% 늘어났을 것으로 관측된다. 6월 소매판매는 예상치를 크게 밑돈 0.3% 감소를 기록하며 2월 이후 최저수준을 나타낸 바 있다.
관계자들은 국내총생산(GDP)의 핵심인 소비지출과 밀접한 소매판매가 직전월의 부진을 벗어날 경우 연준의 금리인상에 한층 힘을 실어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한 이번 주에는 FOMC의 통화정책 결정에 참여하는 위원 2명이 연설을 가진다. 데니스 록하트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 총재와 윌리엄 더들리 뉴욕 연은 총재는 오는 10일과 12일 각각 연설에 나선다.
록하트 총재는 지난 4일 월스트리트저널과 독점 인터뷰에서 9월 금리인상 가능성을 크게 점친 데 따라 시장은 그의 입에 촉각을 곤두 세울 예정이다. 더들리 총재 역시 지표 개선의 지속 여부에 따라 9월 금리 인상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어 주목된다.
이 밖에 13일에는 7월 수입물가지수와 주간 신규실업보험 청구자수가 발표되고 14일에는 생산자물가와 산업생산, 미시간대 소비자신뢰지수 잠정치가 나올 예정이다.
[뉴스핌 Newspim] 배효진 기자 (termanter0@newspim.com)
7월 고용 결과가 보여준 고용시장의 견조한 개선 추세로 사상 최저 수준의 금리 유지를 주장해온 온건파 위원들의 주장이 정당화되기 어려워졌다. 이에 따라 연방준비제도는 9월 금리 인상에 있어 한층 부담을 덜 수 있을 전망이다.
지난주 미 국채는 9월 첫 금리인상에 힘이 실리면서 장기물 가격이 상승(수익률 하락)한 반면 단기물은 하락(수익률 상승)하는 모습을 연출했다.
월스트리트저널-튤렛프레본에 의하면 7일 뉴욕 채권시장에서 10년물 국채가격은 전날보다 16/32 포인트 올랐다. 가격과 반대로 움직이는 수익률은 5.6베이시스포인트(1bp=0.01%) 떨어진 2.166%로 2개월 여만에 최저 수준을 나타냈다.
인플레이션(물가상승률)에 민감한 30년물 가격은 1-15/32포인트 뛴 반면 수익률은 7.1bp 하락한 2.821%를 기록했다. 수익률은 5월 1일 이후 3개월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
반면 통화정책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2년물의 경우 수익률이 전장보다 2.8bp 오른 0.733%를 기록했다.
신규 고용규모는 예상치를 소폭 밑돌았지만 고용시장의 호조와 부진의 기준선으로 여겨지는 20만개를 석 달째 상회하며 금리 인상의 근거가 충분함을 시사했다.
미국 노동부는 지난달 미국 비농업 부문 신규 취업자 수가 21만5000명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시장 예상치 22만3000명을 하회하는 결과다. 이로써 미국의 신규 취업자는 최근 3달 연속 평균 23만5000명으로 집계되며 지난 12~2월 이후 가장 견고한 흐름을 유지했다.
실업률은 5.3%로 경기침체가 최고조에 달했을 당시의 절반 수준이며 풀타임 고용을 얻지 못한 노동자 수는 2008년 9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앞서 자넷 옐런 연준 의장이 7월 FOMC에서 금리 인상의 전제 조건으로 '노동시장의 추가적 개선이 좀 더 확인되면(when it has seen some further improvement)'이라는 단서를 달았던 만큼 시장 관계자들은 연준이 9월 금리 인상에 나설 명분이 충분해졌다고 분석한다.
시장조사기관 코너스톤매크로 파트너이자 연준에서 근무한 바 있는 로베르토 페를리는 "현재 고용시장의 추세가 확인될 경우 9월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금리선물시장에서는 9월 금리인상 가능성을 배제한 한편 10월 인상 가능성을 높여 잡았다. 고용지표가 호조를 이어가며 시장의 기대를 충족시켰기 때문으로 보인다.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 펠로우이자 연준 조사담당 이사를 지낸 데이비드 스탁턴은 "연준은 9월 금리 인상을 향해 움직일 것으로 보이며 자넷 옐련 연준 의장도 이에 동의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CME페드와치 <출처=CME그룹> |
시선은 FOMC 위원들의 연설과 7월 소매지표가 견조한 흐름을 이어갈지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톰슨로이터에 의하면 미국의 7월 소매판매는 직전월 대비 0.5% 늘어났을 것으로 관측된다. 6월 소매판매는 예상치를 크게 밑돈 0.3% 감소를 기록하며 2월 이후 최저수준을 나타낸 바 있다.
관계자들은 국내총생산(GDP)의 핵심인 소비지출과 밀접한 소매판매가 직전월의 부진을 벗어날 경우 연준의 금리인상에 한층 힘을 실어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한 이번 주에는 FOMC의 통화정책 결정에 참여하는 위원 2명이 연설을 가진다. 데니스 록하트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 총재와 윌리엄 더들리 뉴욕 연은 총재는 오는 10일과 12일 각각 연설에 나선다.
록하트 총재는 지난 4일 월스트리트저널과 독점 인터뷰에서 9월 금리인상 가능성을 크게 점친 데 따라 시장은 그의 입에 촉각을 곤두 세울 예정이다. 더들리 총재 역시 지표 개선의 지속 여부에 따라 9월 금리 인상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어 주목된다.
이 밖에 13일에는 7월 수입물가지수와 주간 신규실업보험 청구자수가 발표되고 14일에는 생산자물가와 산업생산, 미시간대 소비자신뢰지수 잠정치가 나올 예정이다.
[뉴스핌 Newspim] 배효진 기자 (termanter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