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트너사를 위한 인게임 광고 플랫폼
유료 결제 이어 수익 창출 기회 제공
[뉴스핌=이수경 기자] 영세한 중소 게임개발사에게 광고매출을 통한 부가 수익창출의 길이 열렸다. 전체 90%에 달하는 비과금 이용자를 락인(Rock in)하는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카카오는 인게임 광고 수익모델인 카카오게임 AD+(이하 애드플러스)'를 정식 서비스한다고 1일 밝혔다.
애드플러스는 인게임 모바일 광고를 통해 발생하는 수익을 파트너(70%)와 카카오(30%)가 나누는 새로운 수익 모델이다. 게임 이용자는 광고 시청을 통해 보상(아이템, 재화)을 얻고 개발사는 광고주로부터 추가 이익을 얻는다.
개발사는 화면 전면에 광고를 표시하는 '팝업형', 보상형 CPI(앱 설치당 광고비 지급) 상품을 보여주는 '오퍼월형(충전소형)', 동영상 광고를 보면 보상을 지급하는 '배너형' 등 3가지 상품을 이용할 수 있다.
<사진=카카오> |
애드플러스는 전체 모바일게임 이용자의 90%에 달하는 비구매자로부터 추가 수익 창출 효과를 낼 것으로 보인다. 안정적인 수익원을 확보한 중소개발사가 과금 모델보다는 '재미'와 '완성도'에 집중할 가능성도 크다.
업계 관계자는 "넥슨, 넷마블이 연매출 1조원을 달성한다는 이유로 게임 개발사가 돈을 쉽게 번다는 인식이 깔려 있다"며 "월 3000만원도 벌지 못하는 곳이 수두룩하다. 8~90%가 직면한 현실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매출에 따라 차등적으로 부과하는 플랫폼 수수료율 덕분에 결과적으로 대다수의 중소개발사가 수수료 제로 혜택을 받는 것"이라며 "수익성 증대로 고품질 게임 개발 가능성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애드플러스를 적용하면 월 매출 3000만원 이하 0%, 3500만원 이하는 7%, 1억원 이하 14%, 1억원 초과시 21%를 수수료로 낸다.
배너형은 특히 사용자에게 긍정적인 광고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게임 개발자는 "팝 형태로 뜨는 전면광고는 이용자들이 엑스(X) 버튼을 찾느라 바쁘고 광고 피로도로 인한 이탈률도 높은 편"이라며 "광고시청은 게임 아이템이라는 확실한 보상을 제공하므로 잔존율이 높다"고 말했다.
광고를 시청할 '선택권'을 준다는 점에서 사용자에게는 나쁘지 않은 거래다. 애드플러스를 적용한 '농장 밖은 위험해'는 동영상 광고를 시청하면 게임을 이어서 할 수 있도록 했다. 코인 등장 확률도 높아진다. 광고를 보고 싶지 않으면 새로운 게임을 플레이하면 된다.
지난 5월 유니티 테크놀러지가 발표한 연구 결과도 이를 뒷받침한다. 2015년 11월 게임 개발자와 이용자 2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결과, 62%의 개발사는 보상형 동영상 광고에서 잔존율 상승 또는 안정화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인게임 보상을 위해 정기적으로 동영상 광고를 본다고 답한 이용자도 62%에 달했다.
카카오게임즈 관계자는 "카카오계정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가 좋아하는 장르의 비슷한 게임을 보여주는 타깃 광고도 가능하다"며 "TV광고 집행이 어려운 인디개발사들의 게임 홍보 채널로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인게임 광고 플랫폼이 게임사의 수익성 증대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게임성을 증명하는 것이 우선돼야 한다는 의미다. 지나친 광고 때문에 사용자가 이탈할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
방자영 아이지에이웍스 실장은 "애드플러스는 이용자의 결제비율, 광고 참여비율에 따라 각기 다른 광고 형태를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다만 사용자가 리워드를 필요로 하는 시점과 적절한 UX를 찾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이수경 기자 (sophi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