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황세원 기자] 바이두, 소후닷컴 등 중국 대형 인터넷 포탈과 웨이보, 위챗 등 주요 SNS에 등장한 인기 검색어 및 신조어를 통해 이번 한 주(1월9일~1월13일)동안 14억명 중국인들 사이에 화제를 불러일으킨 이슈들을 짚어본다.
◆ 트럼프와 만난 마윈, 중국 네티즌 “마윈에 외교 공로상 줘야”
중국 저장성의 상인 마윈 알리바바 회장이 '상인 대통령' 미국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을 만난 것이 중국에서도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트럼프 당선인과 마윈 회장의 만남은 지난 9일 뉴욕 맨해튼의 트럼프타워에서 이뤄졌다. 두 사람은 미국 내 일자리 100만개 창출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현지에서는 회담의 주요 논의내용보다는 만남 자체에 더 큰 관심을 뒀다. 특히 트럼프 당선인이 취임일 10여일을 앞두고 외교관계자나 정치인이 아닌 기업가 마윈을 첫 중국인 회담상대로 만났다는 사실에 트럼프다운 선택이 아니냐는 의견이 많다.
현지 업계에서는 이번 회담으로 트럼프 당선 이후 격화된 미중 무역갈등이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지 않겠냐는 기대감도 내비치고 있다. 앞서 트럼프는 중국 수입품목에 대한 관세 인상, 중국 환율조작국 지정 등 중국에 대한 강경 노선을 예고한 바 있다. 이후 트럼프 당선은 중국계 기업에 악재로도 작용했는데 특히 알리바바가 직격탄을 맞았다.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한 알리바바 주식은 트럼프 당선 후 한달만에 주가가 약 9% 폭락하는 등 크게 요동쳤고 마윈 회장은 “미국 새정부 출범을 앞두고 우려가 많다”며 “일자리 창출 등 문제와 관련해서 대화의 자리를 마련하고 싶다”라는 말을 공개적으로 언급했다.
비공식 소식통에 따르면 트럼프 당선인은 마윈 회장과의 회담에서 “나는 실질적인 일을 논할 수 있는 사람과 만나기를 원한다"며 "기업가는 정치인들이 할 수 없는 일을 한다. 사회전반에 대한 그들의 영향과 기여도는 그 무엇과 견줄 수 없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누리꾼들은 “기업가 트럼프가 취임전부터 기존 정치와 다른 독특한 정치행보를 보이네”, “사업수단이 좋은 트럼프에게 타고난 창업인 마윈은 웬만한 정치인보다 호감도가 높은 상대긴 하지”, “트럼프 당선 후 만남을 갖기 위해 마윈이 두 달 동안 물밑작업을 한게 아닌가. 마윈한테 외교상을 줘야한다” 등 다양한 의견을 보였다.
◆ 진정한 제조강국 꿈꾸는 중국, “우리도 볼펜 만든다”
명실상부 글로벌 제조대국으로 거듭난 중국이 이제껏 볼펜 하나 만들어 내지 못했다면 믿을 사람이 있을까.
최근 ‘볼펜심 국산화’ 소식이 중국 전역을 뜨겁게 달궜다. 중국 철강업체 타이위안강톄(太原钢铁)가 볼펜심용 스테인레스 강선 생산능력을 갖추면서 볼펜의 완벽한 국산화가 가능해진 것이다.
현지 매체에 따르면 중국 내 볼펜 생산기업은 약 300개, 연생산규모 400억개로 중국은 전세계 볼펜 생산량의 60% 이상을 공급하고 있지만 핵심기술이라 할 수 있는 볼펜심 생산기술이 없어 볼펜심용 스테인레스강의 90% 이상을 일본, 독일 등 소수 제조강국으로부터 수입해왔다.
심지어는 리커창 중국총리가 중국철강·석탄업 공급과잉 문제를 논하기 위해 개최된 한 좌담회에서 “볼펜 하나 제대로 만들지 못하는 것이 오늘날 중국 제조업의 현실”이라며 제조업 질적 성장의 시급성을 지적하기도 했다.
중국이 자체적으로 볼펜을 생산할 수 있게 됐다는 소식에 중국 네티즌들은 “볼펜 만드는데 그렇게 높은 수준의 기술력이 요구되는지 몰랐네”, “우주선, 고속철로도 뚝딱 만들어내면서 볼펜 하나 못 만들었다는 게 아이러니하다”, “볼펜심 자체 생산이 가능해졌으니 이제 정말 제조강국으로서 자부심을 가져도 되는건가” 등 의견을 주고 받았다.
중국이 볼펜 생산의 핵심인 볼펜심용 스테인레스 강선 생산능력을 갖추게 됐다 <자료=바이두> |
◆ 한국 화장품에 ‘한한령’? 중국 누리꾼 "사드보복아냐"
최근 중국당국이 한국 브랜드가 다수 포함된 외국산 화장품에 대해 수입금지 조치를 내린 가운데, 국내 일각에서 제기한 ‘사드 보복 조치 가능성’ 등 키워드가 중국 온라인상에서도 높은 관심을 받아 주목된다.
지난 3일 중국 질량감독검험검역총국은 ‘2016년 11월 불합격 화장품 명단’을 발표했다. 명단에 포함된 브랜드는 총 28개로 이 중 19개는 애경, 이아소 등 한국산 제품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일각에서는 중국이 사드 배치를 빌미로 비공식적 한류 억제책인 한한령(限韩令)을 시행한데 이어 화장품 산업에까지 제재 범위를 확대한게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 같은 소식은 중국 매체를 통해 다시 현지로 보도되면서 중국 누리꾼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중국 SNS 웨이보(微博)에는 “품질에 문제가 있어서 불허했다는데 사드랑 무슨 상관이냐”, "스모그도 무조건 우리탓이 크다고만 하더니 무슨 일만 터지면 우리 때문이라고 하네", “중국산 화장품도 충분히 좋다. 이제부터 국산품을 쓰자” 등 불만섞인 의견이 잇달았다. 그 외에 “한국 화장품이 외국 브랜드 보다 가성비가 좋긴 한데”, “과거 한류 때문에 오히려 느슨한 기준이 적용된건 아닐까. 이제부터라도 엄격하게 검열하는게 맞다” 등 소수 의견도 있었다.
[뉴스핌 Newspim] 황세원 기자 (mshwangsw@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