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외신출처 로이터

속보

더보기

할리우드에 부는 ‘아시아의 8월’ 바람, 얼마나 지속될까

기사입력 : 2018년08월13일 18:09

최종수정 : 2018년08월13일 18:09

아시아계 미국 사회·영화계는 기대 반 두려움 반

[로스앤젤레스 로이터=뉴스핌] 신유리 인턴기자 = ‘앵그리 아시안 맨(Angry Asian Man)' 블로거 필 유는 며칠 전부터 신이 나 있다. 할리우드가 25년 만에 아시아계 배우들을 독점적으로 캐스팅한 영화 ’크레이지 리치 아시안스(Crazy Rich Asians)'와 다른 두 편의 아시아계 영화가 개봉을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

오는 15일 개봉을 앞둔 영화 '크레이지 리치 아시안스' 포스터 [출처 = 네이버 영화]

유씨는 “영화 포스터를 보러 온 도시를 돌아다녔다”며 “(포스터를 볼 때) 짜릿함을 느꼈다”고 말했다.

유씨가 지난 2001년부터 운영하는 ‘앵그리 아시안 맨’ 블로그는 아시아계 미국인과 관련된 시사, 정치, 미디어 등의 내용을 다루고 있다.

그는 “백인들도 매번 이런 (짜릿한) 기분이었을까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오는 15일 개봉을 앞둔 로맨틱 코미디 영화 ‘크레이지 리치 아시안스’는 미국계 싱가포르인인 작가 케빈 콴의 인기 소설을 기반으로 제작됐다. 영화 ‘조이 럭 클럽(The Joy Luch Club, 1993)' 이후 할리우드가 선보이는 첫 번째 ‘아시안’ 영화로 홍콩 배우 양자경 등이 출연한다.

로이터통신은 현재 ‘크레이지 리치 아시안스’의 개봉을 두고 미국 대중들이 과연 이 영화를 집단적으로 관람할지에 대한 여부가 주목되고 있다고 전했다.

소니픽쳐스가 선보이는 독립 스릴러 영화 ‘서칭(Searching)'도 오는 24일 미국 개봉을 앞두고 있다. 인도계 미국인 아니쉬 차간티가 연출한 이 영화는 아시아계 미국인 가족에 대해 다뤘다.

10대 아시아계 배우들을 캐스팅한 영화 ‘내가 전에 사랑한 모든 남자에게(To All the Boys I've Loved Before)'는 다음주 넷플렉스 개봉을 앞뒀다. 영화는 소설가 제니 한의 원작을 기반으로 제작됐다.

‘크레이지 리치 아시안스’를 제작한 워너브라더스 소속 존 추 감독은 “아시아의 8월이길 바란다”며 “새로운 움직임의 시작이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 “관객들이 결정해야 한다. 개봉 첫 주에 많은 이들이 보러 온다면 향후 더 많은 영화가 제작될 거라고 본다”며 “스튜디오는 현재 (대중으로부터) 공식 허가를 받지 않은 영화를 두고 기다리고만 있다”고 말했다.

◆ 긍정적인 변화…불안은 여전

2017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아시아인이 미국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5.8%다. 하지만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가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지난해 최고 수익을 거둔 영화 상위 100편 중 37편에는 아시아계 캐릭터가 아예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24일 미국 개봉을 앞둔 영화 '서칭' 포스터 [출처 = 네이버 영화]

스크린에 등장한다 해도 아시아계 배우들은 주로 무술신이나 동포 등 고정 관념적인 역할을 주로 맡는다고 로이터는 분석했다.

할리우드는 예로부터 화이트 워싱(영화에서 백인이 아닌 캐릭터인데도 백색 인종 배우를 캐스팅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2015년 개봉한 영화 ‘알로하(Aloha)’에서 배우 엠마 스톤은 하와이계 중국인 캐릭터를 맡았다. 지난해 개봉한 영화 ‘공각기동대 : 고스트 인 더 쉘(Ghost in the Shell)'에서는 배우 스칼렛 요한슨이 일본인 역을 맡았다.

이러한 상황 속 할리우드가 단행하는 새로운 변화에 대해 미국계 아시아인 커뮤니티는 기대 반 부담 반이라는 입장이다.

아시안 아메리칸을 위한 미디어 액션 네트워크(MANAA)의 가이 아오키 대표는 “기대가 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이런 변화가 좋게 풀릴 수 있길 바라는 긴장감도 있다”며 “잘 되지 않으면 어떡하지 하는 걱정이 있다”고 밝혔다.

영화 ‘크레이지 리치 아시안스’는 싱가포르에서 가장 부유한 중국계를 다뤘다. 영화 ‘서칭’에는 한국계 배우 존 조가 출연한다.

‘서칭’의 아니쉬 차간티 감독은 “2018년의 시대를 달리고 있는 지금 이 영화는 아시아계 미국인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최초의 현대 스릴러 영화”라고 꼬집었다.

◆ "할리우드 영화 1~2편으로 아시아계 영화 미래 평가는 불공평"

영화 ‘내가 전에 사랑한 모든 남자에게’의 원작 소설가 제니 한은 소설의 영화화 과정에서 아시아인이 주인공으로 캐스팅되면 좋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넷플릭스 영화 '내가 전에 사랑한 모든 남자에게' 포스터 [출처=NETFLIX]

한 작가는 “주인공이 반드시 아시아인이어야 한다고 고집한 게 아니었다. 그냥 그녀가 아시아인이기 때문”이라며 “내 인생에서 아시아계 미국인이 10대 영화에 출연한 것을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영화 ‘크레이지 리치 아시안스’ 제작진은 현재 영화의 폭넓은 테마를 강조하며 마케팅을 이어가고 있다. 2000만달러(약 226억9000만원)의 제작비용을 고려했을 때 영화가 반드시 아시아계 미국 사회를 벗어난 성공을 거둬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오키 대표와 필 유는 아시아계 영화 제작의 미래를 할리우드의 1~2편 영화로만 평가하는 것은 불공평하다는 입장이다.

유씨는 “두 명의 아시아인이 담긴 이 로맨틱 코미디 영화(크레이지 리치 아시안스)가 영화계 전체 커뮤니티의 꿈과 희망을 받들어야 한다는 것은 공평하지 않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신유리 인턴기자 (shinyoori@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서울이코노믹포럼]김현철"신남방정책 재건"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최수아 인턴기자 = 김현철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잘못된 경제 정책으로 초래된 대한민국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재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8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계속된 경제 추락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경제 전략적 안정성과 우월성 관점에서 글로벌 경제 전략을 다시 설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그는 현재 대한민국의 가장 큰 경제 위기는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라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관세를 낮추는 자유무역협정(FTA)과 같은 기존의 통상 정책으로 극복할 수 없다"며 관세 협상뿐만 아니라 방위비, 조선업, 에너지 등을 총체적으로 트럼프 정부와 협상하는 신통상 정책을 제안했다. 대중국 전략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며 '탈중국'을 선언했다. 당시 경제계와 학계는 경악하며 '탈중국은 절대 안 된다'고 경고했지만 사회는 침묵했고 결국 2023년 경제성장률 1.4%라는 수치를 기록하며 대한민국 경제를 무너뜨렸다"고 지적했다. 신남방 정책 재건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는 자주적 신남방 정책을 버리고 한국판 인태전략이라는 종속 정책을 채택했다"며 "이제는 공급망 발상이 아니라 판매망 발상으로 바꾸는 새로운 신남방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경제 영토도 확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신남방을 중심으로 아프리카와 중남미 지역을 포함해 유럽, 호주, 캐나다, 일본 등을 대한민국의 경제 파트너로 끌어들이는 'A+1,1,1'이라는 새로운 경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정책 외에도 대한민국 지역 전략을 새롭게 설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구체적으로 ▲제조업 재활성화 ▲AI를 중심으로 한 신산업 전략 설정 ▲신기술 전략 설정 및 육성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 교수는 기존의 수출 중심 경제 모델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물론 수출은 대한민국 경쟁력의 원천이긴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한 시대가 됐다"며 "새로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수립하고 내수 경제도 활성화시키면서 대한민국을 다시 한번 글로벌 허브로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12:47
사진
헌법재판관 후보자 이완규·함상훈은 누구?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문형배·이미선 헌법재판관 후임으로 이완규 법제처장(64·사법연수원 23기)과 함상훈(57·21기) 서울고법 부장판사를 8일 지명했다. 대통령 권한대행이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을 지명할 수 있는가에 대한 위헌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지난주 파면된 윤석열 전 대통령과 이 후보자의 인연과 함께 두 후보자의 이력에 관심이 쏠린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사진=총리실] 이 후보자는 인천 송도고와 서울대 법학과를 졸업한 뒤 1994년 서울지검(현 서울중앙지검) 검사로 공직 생활을 시작했다. 그는 대검찰청 검찰연구관, 중앙지검 부부장검사, 대검찰청 형사1과장, 서울북부지검 차장검사, 인천지검 부천지청장 등을 거친 뒤 2017년 검찰을 떠났다. 이 후보자는 검사 시절 대표적인 소신파 중 한 명으로 꼽혔다. 그는 2003년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주재한 '전국 검사들과의 대화'에서 평검사 대표로 나와 "정치권의 영향력이 수없이 검찰에 들어왔다"며 소신 발언을 했다. 또 그는 법조계에서 대표적인 검찰청법, 형사소송법 전문가로 꼽히며, '검찰 제도와 검사의 지위', '개정 형사소송법의 쟁점', '형사소송법', '형사소송법 연구', '한국 검찰과 검찰청법', '검찰개혁법 해설' 등 다수의 저서를 냈다. 이 후보자는 윤 전 대통령과 깊은 인연을 갖고 있다. 이 후보자는 윤 전 대통령과 서울대 법대 79학번, 사법연수원 23기 동기로 수십 년 지기이다. 문재인 전 대통령이 2017년 당시 윤 전 대통령을 중앙지검장으로 발탁하는 파격 인사를 단행하자 "인사 제청은 누가, 언제 했는지 의문"이라고 비판하며 검사 옷을 벗고 법무법인 동인에서 변호사로 활동했다. 이 후보자는 이후 윤 전 대통령이 당선된 후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정무사법행정분과 자문위원을 지냈고, 2022년 5월 법제처장으로 임명됐다. 그는 법제처장 임명 전까지 윤 전 대통령이 검찰총장으로 재직하던 시절 법무부로부터 받은 정직 2개월 징계처분 취소 소송의 대리를 맡고 있었다. 가장 관심이 가는 대목은 이 후보자가 '12·3 비상계엄' 사태 다음날 서울 삼청동 대통령 안전가옥에서 박성재 법무부 장관, 이상민 당시 행정안전부 장관, 김주현 대통령실 민정수석과 함께 회동에 참석했다는 점이다. 이 후보자는 안가 회동 이후 휴대전화를 교체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그는 법제처장으로서 계엄 사태 당시 법적 자문을 했을 것이란 의혹도 있다. 이같은 의혹 등으로 이 후보자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 고발돼 입건된 상태다. 공수처 관계자는 "해당 사건을 접수하고 배당한 상태"라며 말을 아꼈다. 다만 이 후보자 사건은 내란 실행에 직접 연관이 돼 있지 않은 만큼, 뒷순위로 밀릴 가능성이 크다. 서초동의 한 변호사는 "윤석열 정부에선 하마평에 오른 사람이 임명되지 않는 사례가 거의 없었고, 이 후보자는 윤석열 정부 내내 차기 헌법재판관으로 거론됐던 사람"이라며 "여전히 인사에 대해 물밑에선 윤 전 대통령의 의지가 작용되는 것 아닌가 생각이 든다"고 분석했다. 함 후보자는 서울대 법학과를 졸업한 뒤 1995년 청주지법 판사로 법관 생활을 시작했다. 그는 수원지법·서울고법 판사 등을 거친 뒤, 전주지법·인천지법·서울남부지법·서울고법 부장판사, 서울행정법원 수석부장판사 직무대리 등을 지냈다. 2004~2007년에는 헌재 파견을 갔다 오기도 했다. 함 부장판사는 보수적 성향의 정통 법관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그는 2020년 11월 서울고법 형사2부에서 '드루킹 댓글조작 사건'으로 기소된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의 항소심에서 김 전 지사에게 1심과 같은 징역 2년의 실형을 선고했다. 다만 업무방해 등 혐의만 유죄로 인정하고 선거법 위반 부분은 1심과 달리 무죄로 판단했다. 그는 이 후보자와 함께 지난해 7월 이은애 당시 재판관의 후임자로 추린 후보자 36명 명단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hyun9@newspim.com 2025-04-08 15:4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