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무협소설의 대가 진융의 94년 인생 발자취

기사입력 : 2018년11월01일 10:31

최종수정 : 2018년11월09일 17:42

[서울=뉴스핌] 고은나래 기자 = 무협소설의 대가 진융(金庸, 김용)이 지난 30일 향년 94세로 홍콩에서 지병으로 별세했다. 그는 무협 소설가이자 저널리스트였으며 배움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한 '평생 학생'이었다. 풍부한 상상력에 자유분방한 성품의 소년이었던 그는 세계 무협 소설 분야에서 누구도 감히 넘볼수 없는 화려한 금자탑을 쌓았다. 

젊은 시절 진융 [사진=바이두]

 '평생 학생' 완고한 책벌레

진융은 1924년 3월 10일 저장(浙江)성 하이닝(海寧)현에서 태어났다. 그는 저장의 최고 명문가로 손꼽히는 해녕 사가(海寧 査家) 출신으로 청(淸)대 가장 유명한 시인인 사신행(査愼行)의 후손이다. 청 강희제(康熙帝) 때는 집안에서 무려 열 명의 진사를 배출하고, 숙질 가운에 다섯이나 한림원(翰林院) 관리를 지낼 정도로 학문에 있어서는 따라올 가문이 없었다.

이처럼 대대로 학자를 배출한 집안에서 태어난 진융은 어릴 적부터 지독한 책벌레였다. 독서에 심취하여 끼니를 놓치는 일 역시 비일비재해 부모님의 걱정을 살 정도였다. 오로지 책밖에 모르는 ‘책 벌레’였지만, 사업에도 천부적 재능을 타고난 그는 배우지 않아도 돈이 되는 길을 알았다. 15살이 되던 해에 진융은 친구 두 명과 함께 ‘중학교 입시 수험서’를 집필, 베스트 셀러를 탄생시키며 어린 나이에 큰 돈을 만져보기도 했다.

자유분방하고 규칙에 얽매이는 것을 싫어했던 그는 학창시절 두번이나 퇴학을 당했다. 1940년 저장 연합고등학교 재학 시절, 벽보에 지도교사를 풍자한 글 ‘아려사만유기(阿丽丝漫游记)’를 실었다는 이유로 학교에서 쫓겨난다.

진융은 퇴학 당한 뒤에도 학업을 멈추지 않았다. 외교관의 꿈을 안고 쓰촨 충칭 중앙정치대학에 입학하지만 학교 교풍에 불만을 품고 글로써 당시 행태에 대해 항의했다. 이로써 인생 두 번째 퇴학 처리를 당하며, 동시에 외교관의 꿈도 접게 된다.

화려한 금자탑을 쌓다

그런 진융이 무협 소설가로서의 길을 걷게 된 계기는 그저 단 한번의 우연이었을 뿐이었다. 1955년 다궁바오(大公報)에서 인기리에 무협소설을 연재 중이던 량위성(梁羽生)은 계속된 연재에 환멸을 느끼고 돌연 연재 중단을 선언한다. 이때 그의 빈자리를 이어받은 사람이 진융이다.

그때까지 단 한번도 무협소설을 써본 적이 없었지만, 이 우연한 계기로 인해 무협 세계에 첫 발을 내딛게 된 것이다. 자신의 본명 루이스 차량융(査良鏞) 중 ‘용(鏞)’자를 파자해 만든 진융이란 필명도 이때부터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의 첫 작품인 서검은구록(书剑恩仇录)은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키며 그는 일약 스타 작가 대열에 합류했다. 그 후 연달아 벽혈검(碧血剑), 설산비호(雪山飞狐), 신조영웅전(射雕英雄传)등을 집필, 불과 10여년 만에 15편의 무협 대작을 남겼다. 1972년 마지막 무협 소설 ‘녹정기(鹿鼎记)’를 끝으로 진융은 집필 작업을 마친다.

진융의 작품이 본격적으로 중국 대륙에 소개된 것은 1980년대 초에 들어서부터다. 그의 소설에 빠진 수많은 중국 팬들이 생겨났고, 원작을 바탕으로 각색한 영화, 드라마가 쉴새 없이 제작됐다. 

외교관을 접고 기자의 길로

진융은 당대 최고의 무협 소설가임과 동시에 유명한 저널리스트였다.

충칭 중앙정치대학에서 퇴학 당하며 외교관의 꿈이 좌절된 후에도 그는 조금도 위축되지 않았다. 1947년 상하이 다궁바오에 수천 대 일의 경쟁률을 뚫고 채용돼 기자로서의 새로운 삶을 시작하게 된다.

이듬해 다궁바오 홍콩판이 출간되면서 당시 24살이었던 진융은 홍콩 파견을 자청한다.  그 당시의 홍콩은 상하이와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낙후된 지역이라 선뜻 나서는 자가 없던 상황에서 “나는 누구보다 모험을 좋아합니다. 새로운 일에 도전해보고 싶습니다”라며 의지를 불태웠다.

타이완의 유명 작가이자 정치평론가인 리아오(李敖)는 진융의 무협 소설을 두고 “사실성이 결여됐다. 모두 허구이고 거짓이다”며 당시 '진융 기자'를 비난했다.  하지만 기자 진융은 1959년 ‘거짓 사실’에 대응해 ‘진실된’ 보도만을 하겠다며 ‘밍바오(明報)’를 창간, 덤덤하게 자신의 의지를 관철시켜나갔다. 당시 그의 나이 35살이었다.

오늘날 밍바오는 홍콩 최고의 영향력을 지닌 매체 가운데 하나로 자리잡았지만, 창간 초기만 해도 발행부수는 고작 6000부가 채 되지 않았다. 경영 위기로 휘청거릴 때는 직원들 월급을 20% 이상 삭감한 적도 있었다. 진융은 그때를 회상하며 “직원 모두의 노력으로 오늘날의 밍바오가 존재한다”며 감사를 표하기도 했다. 20대부터 기자 생활을 시작해 65세가 되던 해에 진융은 사장직을 내려놓고 현업에서 물러난다.

여든이 넘은 고령의 나이에도 공부에 매진하는 진융 [사진=바이두]

열정으로 가득찬 홍콩의 4대 천재 

진융은 무협소설가 예광(倪匡), 작곡가 황점(黃霑), 미식가 채란(蔡瀾)과 함께 홍콩 4대 재자(香港四大才子)로 불린다. 예광, 황점, 채란 등 3명은 자기들은 집안이 좋아 재자로 불릴 뿐, 본인 능력이 출중한 자는 진융 밖에 없다며 입을 모아 얘기한다.

진융은 평생 동안 자기 개발에 힘써왔다. 나이가 들어서도 그의 불타는 학구열은 식을 줄을 몰랐다. 케임브리지대학에서 수여한 명예 박사학위를 이미 가지고 있었지만,  다시 일반 학생의 신분으로 같은 대학 박사 과정에 등록해 공부할 정도로 배움에 대한 열정이 대단했다.  

81세라는 고령의 나이가 무색하게도 그는 일반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전공서적으로 가득 찬 가방을 양 어깨에 매고 교정을 누볐다. 그는 언제나 입버릇처럼 말했다. “난 학위가 필요한 게 아니다. 그저 공부가 하고 싶을 뿐이다”.

 

nalai12@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단독] 日 여행객 'K-쌀' 사간다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일본 여행객이 한국을 방문, 한국 쌀을 직접 구매해 들고 나가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일본 내 쌀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밥맛 좋은 한국 쌀'이 대체제로 급부상하면서 벌어지는 현상이다. 3일 <뉴스핌>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상반기 동안 일본 여행객이 한국에서 직접 구매해 일본으로 들고 간 국산 쌀은 3만3694kg로 집계됐다. 일본은 지난 2018년부터 휴대식물 반출 시 수출국 검역증을 의무화한 나라로, 병해충과 기생식물 등 식물위생 문제에 매우 엄격하다. 특히 쌀처럼 가공되지 않은 곡류는 검역 과정이 매우 까다롭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여행객들의 한국산 쌀 열풍은 지속됐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일본 여행객이 반출한 국산 쌀은 1310kg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상반기에만 무려 25배 이상 급증했다. 같은 기간(2024년 1~6월)으로 비교하면 작년 106kg에서 올해 3만3694kg로 약 318배 증가한 셈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일본 여행객들의 '쌀 쇼핑'이 열풍을 불면서 관련 문의가 급증했다"며 "한국쌀이 일본쌀에 비해 맛과 품질이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인식이 생기면서 반출되는 양도 많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쌀을 화물로 탁송하는 사례도 동반 상승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 화물검역을 통해 일본으로 수출된 국산 쌀은 43만1020kg에 달한다. 지난해 화물 검역 실적이 1.2kg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폭증 상태다. 업계에서는 이번 흐름이 국산 쌀에 대한 일시적 특수로 끝나지 않고 국내에서 정체된 쌀 소비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임정빈 서울대 농경제학과 교수는 "일본에서 쌀 가격이 두 배 이상 올랐으니 한국에 와서라도 쌀을 구매하는 여행객이 늘어난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다만 일본의 쌀 관세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한국 쌀의 가격만 보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국산 쌀의 품질이 높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도 합격점이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영종도=뉴스핌] 윤창빈 기자 = 1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에 중국발 여행객들이 입국하고 있다. 2023.03.11 pangbin@newspim.com 정부 역시 이같은 수요에 대응해 일본 관광객을 대상으로 검역제도 안내·홍보에 나서기로 했다. 현재는 농림축산검역본부를 통한 사전신청, 수출검역, 식물검역증 발급, 일본 통관까지 최소 3단계 이상이 요구된다. 다만 한국 쌀을 일본으로 반출할 때 한국에서 식물검역증을 발급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일본 관광객이 일본에 돌아가 쌀을 폐기하는 일이 생기면서 홍보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농식품부 고위 관계자는 "지난달 오사카 엑스포 현장 방문을 계기로 일본 농림수산성과 예방할 기회가 주어졌는데 그 자리에서 쌀 검역 문제가 논의됐다"며 "한국 정부는 일본 여행객이 애써 한국 쌀을 구매한 뒤 일본으로 돌아가 폐기하는 일이 없도록 제도 홍보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plum@newspim.com 2025-07-03 11:10
사진
내란특검, 尹재판 증인 72명 신청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 사건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에서 증인 72명을 추가 신청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3일 내란우두머리·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윤 전 대통령의 9차 공판기일을 열었다.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 [사진=뉴스핌DB] 특검 측은 앞서 1차로 38명의 증인을 신청한 데 이어 이날 재판부에 증인 72명을 추가로 신청하겠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오는 10일 열릴 10차 공판에서는 이날 증인신문을 마치지 못한 고 전 처장에 이어 정성우 전 방첩사 1처장(준장), 김영권 방첩사 방첩부대장(대령)을 불러 신문할 예정이다. 정 전 처장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선관위 전산실 통제와 서버 확보를 지시받은 인물이며 김 부대장은 비상계엄 당일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지시받을 당시 함께 합참 지휘통제실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재판에서 윤 전 대통령 측은 조은석 특검이 검찰로부터 사건을 이첩받은 절차가 위법해 무효라고 주장했으나, 특검은 "법과 상식에 비춰봤을 때 납득할 수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하며 신경전을 벌였다.  sykim@newspim.com 2025-07-03 20:4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