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만수(60) 전 감독은 헐크파운데이션을 세워 국내외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KBO 육성위원회 부위원장이자 라오스 야구협회 부회장을 맡고 있는 그는 지난해 8월 대표팀 '라오J브라더스'를 이끌고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에 참가하기도 했습니다. 현역 시절 16년(1982~1997년) 동안 삼성에서 포수로 활약한 그는 KBO리그 역대 최고의 포수로 손꼽힙니다. 2013년 SK 와이번스 감독을 그만둔 뒤 국내에서는 중·고교 야구부에 피칭머신 기증, 야구 불모지 라오스에서는 야구장 건설을 주도하는 등 야구 발전을 위해 헌신하고 있습니다.
메이저리그 한 팀에는 그 밑에 수많은 마이너리그 팀을 갖고 있다. 특히 메이저리그에서 마이너리그에서 활동하고 있는 포수들을 어떻게 평가하고 메이저리그에 올리는가?
1. 잘 잡아야 한다.
2. 잘 막아야 한다.
3. 강하고 빠르게 송구해야 한다.
늘 이야기 하지만 이런 기본이 먼저 갖추어 진 상태에서 선수를 키운다.
요즈음 프로야구 하이라이트를 보면 투수의 폭투라고 기록 된 볼들 중에서 포수가 블로킹으로 처리할 수 있는 볼들도 적지 않음을 본다. 비록 힘이 들더라도 포수가 엉덩이를 들고 어떤 낮은 공도 받아 줄 수 있다는 믿음을 투수들에게 주면 좋을 것 같다.
이만수 이사장의 재능기부 교육 모습. [사진= 헐크파운데이션] |
블로킹 할 때 가장 먼저 생각해야 할 것은
첫번째 : 잡는 것이 아니라 막는 것이다.
두번째 : 낮게 날아오는 볼이나 조금 앞에 떨어지는 볼이라도 미트는 항상 땅에 대고 있어야 한다. ( 미트를 땅에 대고 있더라도 미트는 항상 벌려져 있어야 한다. )
세번째 : 볼을 막을 때 상체나 어깨에 힘을 빼야 한다. ( 이것은 많은 연습을 통해 습득해야 한다 )
네번째 : 좌, 우 낮은 볼 잡을 때 날렵하게 몸을 움직여야 한다.
앞에서도 강조 했지만 이 때 가장 먼저 무릎이 볼 방향으로 빠르게 움직여야 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블로킹 할 때 약간 옆으로 몸을 반원 모양으로 틀어 주어야 한다. 즉 볼을 감싸 안듯이 움직여야 된다. 이 방법을 잘 몰라 경기할 때 바운드 된 볼이 좌, 우측 쪽으로 많이 굴러가는 장면들을 볼 때가 있다.
그리고 투수가 던진 볼이 숏 바운드가 아닌 홈 플레이트 앞에 떨어져서 바운드가 조금 높게 오더라도 포수는 철저하게 미트를 땅에 대고 있어야 한다. (또 이야기 하지만 이때 미트는 입을 크게 벌리듯이 있어야 한다. )
(투수가 던진 볼이 아무리 느린 변화구라도 대부분 100km 이상 되기 때문에 마운드에서 홈 플레이트 거리까지 짧은 18.44 거리에서 바운드되기 때문에 볼이 위로 솟구치기 보다는 오히려 밑으로 깔아 앉을 때가 많다. )
올해 우리나라 프로야구가 시즌 들어가기 전만 해도 많은 팬들과 야구인들로부터 기대를 한 몸에 받았던 팀이 롯데였다.
그런데 막상 시즌에 들어가니 기대와 정 반대의 현상으로 인해 롯데팀 팬들이나 현장을 이끄는 구단 그리고 선수들이 몹시 힘들어 하고 있다. 프로야구 10개 구단 중에서 가장 많은 폭투와 가장 높은 방어율 때문에 연일 언론에서 질책성 기사가 나오고 있다.
키움과의 경기에서 한 회에 폭투 4개로 인해 어이 없이 1점을 주는 장면을 인터넷으로 몇 번이나 되돌려 보았다. 폭투 나왔을 때 나종덕 포수의 자세를 자세히 관찰했다. 나종덕 포수는 마산용마고등학교 시절부터 잘 알고 있던 포수였다. 3학년 시절 이미 청소년대표로 발탁이 될 정도로 뛰어난 포수였다. 거기다가 고등학생이라고 할 수 없을 정도로 뛰어난 체격은 앞으로 우리나라 프로야구를 이끌어 갈 대형포수 감이었다. 빠른 몸놀림과 강한 어깨 거기다가 준수한 타격까지 갖추어 같은 포지션의 선배로서 많은 기대를 했던 선수였다.
나종덕 포수가 2017년 롯데 1차 지명이 될 정도로 롯데 팀에서도 많은 기대를 한 선수였다. 올해 롯데 팀을 우승후보로 꼽기도 하고 나종덕 선수도 주위에서 많은 기대를 걸었는데 좋지 않은 성적 때문인지 플레이를 보면 기대가 되었던 고등학교 시절보다 오히려 움직임이 활발하지 않고 위축되어 보여서 안타까웠다. 어린 나이에 본인이 팀을 잘 이끌어 가야 한다는 강한 부담감을 많이 가진 듯 보인다. 부담감을 여실히 보여주는 장면을 꼽으라면 주자가 3루나 루상에 있을 때 양다리를 벌리고 엉덩이를 들고 있는 자세가 보이지 않고 포구할 때 왼쪽 무릎을 땅에 대고 받는 자세다.
나 또한 오랫동안 포수를 했지만 중요한 경기나 꼭 이겨야 하는 경기에서 주자가 루상에 있으면 불안한 나머지 나도 모르게 마음의 안정을 취하기 위해 포구하는 순간에 왼쪽 무릎을 땅에 대면서 볼을 포구할 때가 많았다. 이런 자세는 심적으로 이미 불안감을 갖고 있다는 증거다.
모처럼 좋은 포수 감으로 꼽은 나종덕 선수가 이런 심적 부담감을 이겨내고, 포수의 기본을 잘 다져나가서 모쪼록 팀에도 큰 힘이 되고 본인도 발전이 있기를 기대한다.
/ 이만수 헐크 파운데이션 이사장·KBO 육성위원회 부위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