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종합] 7월 소비자물가 0.3% 상승…농축수산물 6.4% 증가

기사입력 : 2020년08월04일 08:38

최종수정 : 2020년08월04일 09:04

채소류 16.3%·축산물 9.5%·수산물 5.2%↑
기름값은 하락…경유 13.8%·휘발유 8.6%↓

[세종=뉴스핌] 최온정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에도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소폭 상승했다. 민간 소비 여력을 보여주는 근원물가지수도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통계청이 4일 발표한 '2020년 7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4.86으로 1년 전과 비교해 0.3% 상승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 5월 0.3% 하락했다가 6월 보합세를 보인 후 지난달 플러스로 전환됐다.

2020년 7월 소비자물가동향 [자료=통계청] 2020.08.04 onjunge02@newspim.com

전반적으로 채솟값이 급등하면서 물가 상승을 이끌었다. 채소·과실 등 기상조건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50개 품목으로 작성된 신선식품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8.4% 증가했다. 이 중 채소류만 포함한 신선채소지수는 16.5% 상승해 6월(9.8%)에 이어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지출목적별로 보면 식료품은 전년 동월 대비 4.3% 올랐으며 기타 상품·서비스(2.1%), 보건(1.5%), 음식·숙박(0.7%) 등이 올랐다. 반면 교통은 2.9% 하락했고 오락·문화(-1.0%), 주택·수도·전기·연료(-2.4%) 등도 줄었다.

품목별로 보면 농축수산물은 지난해보다 6.4% 올랐으며 이중 채소류는 16.3%, 축산물은 9.5%, 수산물은 5.2% 올랐다. 공업제품 물가는 지난해보다 0.4% 낮아졌으며 석유류 가격이 지난해에 비해 10.2% 하락했다. 전기·수도·가스와 서비스 물가는 각각 4.5% 하락하고, 0.2% 상승했다.

농축수산물 중에서는 양팟값이 39.9% 올라 증가율이 가장 컸고, 고구마(37.0%), 상추(35.9%), 배추(35.7%), 돼지고기(14.3%), 국산쇠고기(9.8%) 등도 올랐다. 반면 지난해에 비해 크게 하락한 국제유가의 영향으로 등유(-14.6%), 경유(-13.8%), 휘발유(-8.6%) 등은 줄었다.

서비스물가는 휴양시설이용료(22.0%), 보험서비스료(8.1%) 등이 올랐고 학교급식비(-63.0%), 고등학교납입금(-67.9%) 등은 낮아지면서 코로나19의 영향이 반영됐다. 특히 전세(0.3%), 월세(0.1%)는 각각 지난 5월과 6월부터 상승세를 보였다.

근원물가를 나타내는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0.7% 상승했다. OECD 국가 간 비교가 가능한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는 0.4% 증가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전기·수도·가스, 공업제품은 하락했으나 농축수산물, 서비스가 상승하여 전체 0.3% 증가했다"며 "농축수산물의 경우 전년 동월 대비 신선어개는 6%, 신선채소는 16.5%, 신선과실은 2.2% 상승했다"고 밝혔다.  

onjunge02@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환율 한때 1480원대...2009년 3월이후 최고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달러/원 환율이 장중 1480원을 돌파하며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27일 오전 서울 중구 명동의 한 환전소 전광판에 환율이 나타나고 있다. 2024.12.27 mironj19@newspim.com   2024-12-27 12:56
사진
'모바일 주민증' 27일부터 시범 발급 [세종=뉴스핌] 김보영 기자 = 앞으로 17세 이상 국민 모두가 주민등록증을 스마트폰에 담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행정안전부는 오는 27일부터 전국민의 신분증인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시범 발급한다고 26일 밝혔다.                             모바일 주민등록증= 행안부 제공2024.12.26 kboyu@newspim.com 행안부에 따르면, 안정적인 도입을 위해 먼저 세종특별자치시, 고양시 등 9개 지방자치단체에서 시범 발급을 해 시스템 안정성을 검증한 뒤 내년 1분기 중 전국에서 발급할 계획이다.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주민등록법령에 따라 개인 스마트폰에 발급되는 법적 신분증으로, 기존 주민등록증을 소지한 모든 국민(최초 발급자 포함)이 신청할 수 있다.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2021년부터 제공된 모바일 운전면허증, 국가보훈등록증, 재외국민 신원확인증에 이어 네 번째 추가되는 모바일 신분증이다. 행안부는 먼저 세종시, 전남 여수시, 전남 영암군, 강원 홍천군, 경기 고양시, 경남 거창군, 대전 서구, 대구 군위군, 울산 울주군 등 9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시범 발급하며, 이후 내년 1분기 중으로 전 국민에게 발급할 계획이다. 시범 발급 기간 동안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해당 지역인 주민들은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해 'IC주민등록증'을 휴대폰에 인식시키거나 'QR 발급' 방법으로 모바일 주민등록증을 신청할 수 있다. 전면 발급 시에는 정부24에서도 신청이 가능하며, 신청 시 6개월 이내의 사진을 제출해야 한다. QR 발급 방법은 사진 제출이 필요 없지만, 주민등록증 사진이 오래된 경우 모바일 신분증 앱에서 안면 인식이 어려울 수 있어 재발급 후 모바일 주민등록증 발급이 가능하다. 한편, 모바일 주민등록증은 블록체인과 암호화 기술을 적용하여 개인정보 유출 및 부정 사용을 방지하고 높은 보안성을 제공한다. 본인 스마트폰에만 발급되며, 분실 시에는 잠김 처리되어 도용을 막을 수 있다. 고기동 행안부 차관은 "1968년 주민등록증 도입 이후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변화가 이루어졌다"며 "이번 시범 발급을 통해 국민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kboyu@newspim.com 2024-12-26 13:18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