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2018년간 건설업 중대재해 유형별 현황 분석
[세종=뉴스핌] 정성훈 기자 = 2016년부터 최근 3년간 산업현장에서 사고로 사망한 근로자 절반은 건설업 종사자로 나타났다. 또 사망자 5명 중 3명은 추락사로 밝혀져 추락방지조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2일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이 최근 3년간의 중대재해조사보고서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건설업에서 사고사망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 건설업 1312명(51.0%)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제조업 673명(26.1%), 서비스업 등의 기타업종 590명(22.9%) 순으로 나타났다.
사고사망자가 가장 많은 건설업에서 발생한 주요 발생형태는 '떨어짐' 사고로, 연도와 관계없이 전체 발생형태의 약 60%를 차지했다. 5명 중 3명은 추락사로 목숨을 잃고 있다는 의미다.
2020.10.22 jsh@newspim.com |
공사 종류별로는 '건축공사'에서 약 60%(789명)로 사고사망자가 가장 많았다. 공사금액별로는 '20억 미만 공사'가 약 70%(892명)를 차지했다. 소규모 사업장일수록 안정관리가 미흡하다는 의미로 해석해볼 수 있다.
사고사망자가 발생한 건설현장은 약 30%(404건)가 '방호장치 미설치 또는 불량'으로 파악됐다. 약 17%(232건)는 추락방지조치를 하지 않고 작업하는 등 '작업수행 절차가 부적절'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미설치된 방호장치는 작업발판(13.7%), 안전난간(11.7%), 추락방지망(10.1%) 순으로 미흡했다.
한편 이번 분석자료는 안전보건공단 연구원이 데이터 중심으로 산재 사망사고 원인을 밝히고 예방대책을 세우기 위해 최근 3년의 중대재해조사보고서를 분석했다. 중대재해조사보고서는 사망재해 등 중대재해에 대해 고용노동부와 공단이 원인조사를 실시하고 작성하는 보고서다.
재해발생일 기준 3년간(2016년~2018년) 중대재해조사보고서 2999건 중 요양 및 일반재해 등을 제외하고 분석 가능한 보고서의 업무상 사고사망자 257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이 보고서는 건설업을 비롯해 제조업 등 내용도 포함됐다. '중대재해 유형별 현황 분석 연구'제목으로 안전보건공단 연구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고재철 산업안전보건연구원장은 "산업현장에서는 여전히 재래형 사망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며 "공단은 추락사고를 막기 위해 건설 현장에 패트롤 방문을 통해 안전을 점검하고 재정지원을 병행하는 등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전했다.
j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