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창걸 명예회장 등 최대주주 지분 매각 MOU 체결
공익재단·자녀 등 포함 23.89% 우선 매각, 인수가 1조3000억원 이상
[서울=뉴스핌] 조석근 기자= 국내 종합 인테리어, 가구 분야 1위 업체인 한샘이 창립 51년만에 새 주인을 맞이한다. 국내 PEF IMM 프라이빗에쿼티(PE)가 그 주인공이다.
한샘 최대주주인 창업자 조창걸 명예회장의 경영승계 부담도 최종 정리된다. IMM PE는 한샘과 인수 계약에 앞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만큼 본격적인 인수 절차에 들어간다. 전문 경영인인 강승수 회장은 일단 유임이 예상되는 가운데 창립 이래 첫 인수합병을 겪는 임직원의 내부 진통을 최소화해야 하는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서울=뉴스핌] 한샘의 주방, 욕실 인테리어 매장 [사진=한샘] 2021.07.14 photo@newspim.com |
◆조창걸 명예회장·자녀 등 지분 23.89% 우선 매각
한샘은 조창걸 명예회장 및 주요 특수관계인의 보유 지분을 IMM PE에 매각하는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14일 공시했다. 매각 대상 지분은 조 명예회장 본인 지분 15.45%와 공익법인 태재재단(구 한샘드뷰연구재단, 5.52%), 조 명예회장의 자녀 3인(2.92%) 등 23.89%가 우선이다.
인수 가격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다. 다만 한샘측이 경영권 프리미엄을 포함, 주당 20만원 이상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최소 1조3000억원 이상일 것으로 추산된다. 한샘 관계자는 "매각을 위한 본협상 과정에서 인수가 및 매각 지분은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IMM PE는 이날 양해각서 체결을 계기로 인수를 위한 독점적 협상권을 부여받았다. 한샘의 주요 사업 및 재무구조 실사를 포함한 본격적인 인수 절차에 들어간다.
한샘의 지난해 매출액은 2조674억원으로 전년보다 21.7%, 영업이익은 931억원으로 66.8% 증가했다. 최근 10년 사이 매출액은 3배, 영업이익은 2.5배 증가할 만큼 성장 속도가 빠르다. 지난해 코로나19를 계기로 성장폭은 더 확대됐다.
이같은 한샘의 매각이 관련 업계에서 갑작스럽게 받아들여지기도 한다. 그러나 한샘은 2019년에도 MBK파트너스, 칼라일 등 PEF를 대상으로 매각을 추진하다 무산된 경험을 갖고 있다. 한샘 매각 시도는 조창걸 명예회장의 지분과 경영권을 승계할 후계구도가 막혀 있기 때문에 실상 한샘은 M&A 시장의 잠재적 매물로 여겨졌다.
[서울=뉴스핌] 조창걸 한샘 명예회장. 2021.07.14 photo@newspim.com |
조창걸 명예회장은 1994년 경영일선에서 물러났다. 최양하 전 회장이 25년간 대표이사를 역임한 이후 2019년 11월부터 현 강승수 회장이 대표이사를 맡았다. 한샘은 전문 경영인 체제로 27년을 보냈다. 조 명예회장의 자녀들이 모두 경영에 참여하지 않고 있는 데다 손자들도 아직 미성년이다. 조 명예회장 본인도 직계가족에 대한 승계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나타내기도 했다.
이와 관련 조창걸 명예회장은 2015년 태재재단에 한샘 보유 지분 절반을 출연한다고 밝혔다. 현재 166만주(5.52%)를 출연한 상태로 IMM PE에 대한 지분 매각과 동시에 나머지 지분 출연을 마친다는 입장이다.
IMM PE는 MBK파트너스 등과 함께 국내 M&A 분야 대표적인 PEF로 꼽힌다. 할리스커피, 교보생명, 한독, 포스코특수강, 티브로드홀딩스에 이어 최근 대우건설 인수전에도 뛰어들었다. 한샘 인수와 관련 당초 SK그룹, LG전자 등 대기업들이 거론되기도 했다. 그러나 해당 기업 관계자들은 "한샘의 인테리어, 가구 분야 사업과 연관된 분야가 없다. 가능성이 낮다"고 일축했다.
[서울=뉴스핌] 조석근 기자=한샘 실적추이 2021.06.11 mysun@newspim.com |
◆경영진·임직원 교체 최소화, 중장기 사업 조정 불가피 '전망'
한샘이 창사 후 처음으로 새 주인을 맞는 만큼 내부적인 충격도 예상된다. 통상 PEF의 경우 인수 기업에 대한 재무적 안정성, 수익성을 가장 큰 목표로 설정한다. 한샘의 인테리어, 가구 분야 독보적 지위를 감안하면 사업부 조정, 인력감축 등 인위적 구조조정 가능성은 낮다는 게 업계 시각이다.
이와 관련 IMM PE와 한샘은 이날 리하우스(리모델링) 사업 중심의 오프라인 사업을 기반으로 온라인 채널 확대, 중국·미국 등 해외시장 진출 등 중장기 사업을 지속 추진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한샘 직원들에 대한 고용 승계도 100% 유지하는 쪽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한샘의 매출액, 영업이익 성장세와 비교하면 저조한 영업이익률이 약점으로 지적되기도 한다. 한샘의 올해 1분기 매출액은 5531억원, 영업이익은 252억원으로 영업이익률은 4.5%다. 지난 4분기 5.3%에 비해서도 하락했다.
디자인파크, 리하우스, 키친바흐 등 주요 매장에 대한 공격적 출점과 시공인력 양성 등 마케팅 비용도 크게 증가하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한샘은 지난 6월에도 동남권 최대 규모 리빙 매장인 '롯데 메종 동부산' 내 대규모 전시장을 개설했다. 특히 강승수 회장은 2027년 국내 매출 10조원을 목표로 온·오프라인 채널 확대, 디자인 R&D 강화 등 공격적 투자를 예고했다.
업계 관계자는 "IMM PE 경영진 및 재무이사들도 생소한 가구, 인테리어 분야에 대한 학습 시간이 필요한 만큼 주요 경영진에 대한 교체 가능성은 낮다"며 "재무적 안정성을 최우선으로 하는 PEF 특성상 중장기 사업 조정은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mys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