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페미니스트·노인·성소수자 등에 혐오표현
10명 중 9명 "정치인·언론, 혐오표현·보도 자제해야"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국민 10명 중 7명은 뉴스 기사와 악성 댓글에서 혐오표현을 접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 10명 중 5명은 국회의원 등 정치인이 혐오표현을 확대 조장하는 역할을 한다고 봤다.
2일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가 실시한 '온라인 혐오표현 인식조사 2021'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1200명 중 71%는 온라인 혐오표현을 접한 장소를 인터넷 뉴스 기사와 댓글이라고 답했다. 유튜브 등 개인 방송은 53.5%, 커뮤니티 게시판은 47.3%,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는 35.9%로 뒤를 이었다.
온라인에서 접한 혐오표현 대상은 주로 사회적 약자였다. 여성이 80.4%로 가장 높았다. 이어 특정 지역 출신에 대한 혐오표현(76.9%), 페미니스트(76.9%), 노인(72.5%), 남성(72%), 성소수자(71.5%), 장애인(67%), 이주민(65.7%) 등 순이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22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온라인 혐오표현이란 무엇인가' 세미나에서 "혐오표현과 표현의 자유의 한계"를 주제로 발표가 진행되고 있다. 인권위 관계자는 "온라인 혐오표현의 개념이 무엇이며, 혐오표현에 대한 일반시민들의 인식은 어떤지, 전문가들의 인식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등에 대한 사회적·학술적 논의가 아직 부족한 상황"이라며 "이번 세미나가 온라인 혐오표현 대응의 해법을 찾아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2020.09.22 pangbin@newspim.com |
응답자는 혐오표현 원인으로 ▲한국사회 구조적 차별(86.1%) ▲악성 댓글·혐오 조장 게시글 등을 관리하지 않는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 방관(85.5%) ▲경제적 어려움을 약자에게 표출(82.4%) ▲언론 보도 태도(79.2%) 등을 꼽았다.
특히 정치인 등 유명인이 혐오표현 사용으로 경각심이 떨어졌다는 응답은 76.3%에 달했다.
인권위는 "혐오표현에 대한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들의 적절한 조치를 요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며 "정치인 등의 혐오표현은 사회적 영향이 크므로 더욱 엄격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응답자 73.5%는 혐오표현이 문제가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혐오표현을 신고하지 않는 등 소극적으로 대처했다는 응답이 73.8%에 달했다. 이들은 신고를 해도 조치가 이뤄지지 않거나(43.5%) 대처 방법을 몰랐다(20%)고 답했다.
응답자 59.5%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국내 발병 후 혐오와 차별이 늘었다고 답했다. 응답자 90.2%는 혐오와 차별 증가로 사회적 갈등이 심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범죄가 증가(87.7%)하고 소수자 표현의 자유가 위축(79.%)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응답자들은 혐오차별 대응 정책으로 ▲정치인·언론이 혐오 부추기는 표현 및 보도 자제(90.3%) ▲학교 내 혐오·차별 예방 교육 확대(89.9%) ▲혐오·차별 인식개선 교육·캠페인 강화(89.4%) ▲악의적 혐오표현 사법조치(86.1%) ▲정부 종합대책 수립(86%) ▲평등권 보장 법률 제정(85.7%) ▲차별시정기구 권한 강화(81%) 등을 꼽았다.
인권위는 "코로나19 장기화로 비대면이 일상화하고 디지털 플랫폼 이용이 증가하면서 온라인 혐오표현 문제가 심화하고 있다"며 "혐오·차별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치인과 언론이 혐오표현을 자제해야 한다는 데 가장 높게 공감했다"고 설명했다.
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