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이 기사는 9월 24일 오전 04시53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뉴욕증시가 굵직한 악재에도 두려움의 벽을 타고 최고치 영역까지 오른 데는 저가 매수가 배경으로 자리잡고 있다.
주가가 가파르게 떨어질 때마다 매수 기회로 여기고 '사자'에 뛰어드는 세력들이 지수를 밀어 올렸다는 얘기다.
하지만 최근 들어 판도 변화가 두드러진다. 특히 지난 20일 중국 헝다그룹의 디폴트 리스크에 주가가 폭락했을 때 뉴욕증시에서 대규모 자금이 빠져나갔다.
월가의 큰손들 사이에서도 저가 매수 전략을 경계하는 목소리가 번지고 있다. 지난해 3월 이후 두 배 치솟은 S&P500 지수의 기대 수익률이 크게 꺾인 만큼 주가 상승을 이용해 차익실현에 나설 때라는 주장이다.
23일(현지시각) JP모간에 따르면 지난 20일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가 장중 3% 선에서 급락했을 때 주식형 상장지수펀드(ETF)에서 110억달러의 자금이 유출됐다.
이튿날인 21일 뉴욕증시가 상승 반전을 이뤘지만 이날 ETF에 유입된 자금은 20억달러에 그쳤다. 앞서 주가 폭락에 '사자'가 우세했던 상황과 커다란 괴리를 나타냈다는 판단이다.
골드만 삭스는 최근 보고서를 내고 뉴욕증시의 저점 매수 전략이 더 이상 성립하지 않는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트레이더 [사진= 로이터 뉴스핌] |
지난해 말 3756에서 거래를 마쳤던 S&P500 지수가 올해 말 4700까지 오를 전망이다. 연간 25%의 상승을 기록하는 셈이다.
반면 내년 말 지수 전망치는 4900으로, 예상이 적중할 경우 연간 상승 폭이 4% 가량으로 크게 떨어지게 된다.
주식시장의 기대 수익률이 크게 꺾인 만큼 두 자릿수의 강세 흐름을 겨냥한 전략을 고집하다가 낭패를 볼 수 있다는 경고다.
전날 연방준비제도(Fed)가 연방기금 금리 인상 시기를 6월 제시했던 2023년에서 2022년으로 앞당기자 투자자들 사이에 경계감이 더욱 높아졌다.
11~12월 사이 테이퍼링에 본격 착수한 뒤 내년 중반 월 1200억달러 규모의 자산 매입 프로그램을 최종 종료하고, 이어 금리를 인상하는 시나리오를 가정할 때 주식시장의 상승 탄력이 연초에 비해 크게 꺾일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팬데믹 사태로 인한 기저 효과와 슈퍼 부양책의 약발이 사라지면서 내년 경제 성장률과 기업 이익 증가 폭이 둔화될 가능성도 투자 심리를 압박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CNBC의 '매드 머니' 진행자 겸 주식 투자 저자인 짐 크레이머는 현재로서는 주가 하락에 비중을 확대해야 할 이유가 전혀 없다고 주장했다.
과거 15개월에 걸쳐 투자자들에게 쏠쏠한 수익률을 안겨줬던 이른바 '묻지마' 저가 매수가 더 이상 통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중국 2위 건설업체 헝다그룹의 파산 위기도 주가 상승 베팅을 가로막는 걸림돌이다. 월가의 대표적인 공매도 세력으로 알려진 짐 채노스는 파이낸셜타임스(FT)와 인터뷰에서 헝다그룹 리스크로 인해 중국 경제 전반에 커다란 타격이 발생하는 한편 전반적인 자산시장의 버블이 가라앉는 상황이 전개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중국에서 헝다 사태의 파장이 과거 리먼 파산 당시보다 클 수 있다고 경고했다.
금융위기와 자산 버블에 정통한 경제학자 케네스 로고프 하버드 대학 교수 역시 배런스와 인터뷰를 통해 헝다그룹 사태의 연쇄 파장을 경고했다.
아시아 채권시장으로 이미 충격이 번진 가운데 업체의 디폴트가 금융시스템 위기로 번질 수 있다는 얘기다.
higrace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