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 물량 신속 통관 방안 검토
다음주 산업용→차량용 전환 추진
[세종=뉴스핌] 임은석 기자 = 중국의 수출 규제로 국내 요소 수급에 비상이 걸리면서 정부가 뒤늦게 요소 수입처 다변화에 나서고 있다.
주요 대상국으로 러시아,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이 거론되고 있다. 요소 수입 물량에 대해 통관이 신속하게 이뤄지도록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또한 당장의 요소수 대란을 해소하기 위해 다음주 산업용 요소수를 차량용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4일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2일 관계부처 회의를 열어 중국의 수출 의무화 조치가 장기화될 가능성에 대비해 요소 수입국 다변화에 나서기로 했다.
중국은 최근 호주와의 갈등으로 석탄 가격이 급등하자 지난달 15일 '수출 전 검사 의무화'로 요소에 대해 사실상 수출 제한에 나섰다. 지난해 국내 요소 총 우입량은 83만5000톤으로 농업용 46만5000톤, 공업용 37만톤이다. 이 중 차량용은 8만톤으로 총 수입량의 9.8% 수준이다.
요소 수입량이 80%를 중국에 의존해 온 국내 시장은 직격탄을 맞았다. 요소를 원료로 생산하는 요소수 품귀현상이 발생하면서 물류대란 우려가 쏟아지고 있다.
요소는 석탄·나프타·천연가스에서 만들어진다. 경유 차량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 물질인 질소산화물을 제거하는 '요소수'의 원료로 쓰인다. 요소수는 화물차·버스 등에 의무 장착하는 질소산화물 저감장치(SCR)에 들어가는 필수품이다.
상황이 이렇자 정부는 부랴부랴 대책 마련에 나섰다. 수요기업별 요청 물량의 수출검사 진행 상황 등 상세 현황을 파악하고 중국 측에 신속한 검사 진행을 요청하는 등 협조를 요청하기로 했다.
특히 중국의 수출 의무화 조치가 장기화될 가능성에 대비해 러시아 등 다른 국가로부터 요소를 수입하는 방안도 업계와 함께 검토하고 있다.
올해 중국을 제외한 요소 수입 국가는 인도네시아·베트남·말레이시아 등 신남방 국가와 바레인·카타르 등 중동국가, 우즈베키스탄·슬로바키아 등 러시아 인접국가들이 있다.
이러한 상황을 잘 알고 있는 업계에서는 요소 물량 확보를 위해 러시아와 신남방, 중동국가로 요소 물량 화보를 정부에 요청하고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최근 요소수 대란과 관련해 국내 수입현황을 파악하면서 업계와 소통하고 있다"며 "업계에서는 중국 외에 러시아나 인도네시아, 베트남, 중동국가로부터의 수입확대를 통해 물량을 확보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우리나라 요소 수입 현황 [자료=관세청] 2021.11.04 fedor01@newspim.com |
이어 "정부도 다양한 통상 채널을 통해 요소 물량 확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업계에서 요청한 국가부터 신속하게 수입확대를 추진해 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중국이나 대체 수입국가로부터 요소 물량이 들어오면 통관이 신속하게 이뤄지도록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다만 대체 수입국가로부터 요소 물량이 들어오는 것도 빨라야 1월으로 예상돼 정부는 당장의 요소수 대란 해소를 위해 다음 주 산업용 요소수를 차량용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산업부는 철강·화력발전·시멘트업계 등 요소수를 사용하는 주요 업계의 요소수 재고를 파악한 결과 약간의 여유가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산업부는 환경부 기술 검토를 마치는 대로 이르면 다음 주부터 요소수를 공급할 계획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환경부가 기술적 검토와 시험 과정을 밟고 있는데 그 결과가 이번 주말이나 다음 주 중 나올 것"이라며 "가능하다는 결과가 나오면 바로 투입할 수 있도록 현황 파악을 끝낸 상태"라고 밝혔다.
경부고속도로 서울방향 검단 졸음쉼터 [사진=도로공사] |
fedor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