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 500~2000Km 사이 위성...통신 전송 지연 적어
국내 저궤도 위성통신개발사업 예타 탈락...더딘 지원
[편집자] 기업들의 신기술 개발은 지속가능한 경영의 핵심입니다. 이 순간에도 수많은 기업들은 신기술 개발에 여념이 없습니다. 기술 진화는 결국 인간 삶을 바꿀 혁신적인 제품 탄생을 의미합니다. 기술을 알면 우리 일상의 미래를 점쳐볼 수 있습니다. 각종 미디어에 등장하지만 독자들에게 아직은 낯선 기술 용어들. 그래서 뉴스핌에서는 'Tech 스토리'라는 고정 꼭지를 만들었습니다. 산업부 기자들이 매주 일요일마다 기업들의 '힙(hip)' 한 기술 이야기를 술술~ 풀어 독자들에게 전달합니다.
[서울=뉴스핌] 김지나 기자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부상한 통신 기술이 있습니다. 바로 저궤도 위성통신, 일명 '우주 인터넷'입니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러시아군의 공격으로 여러 대도시의 통신시설이 파괴며 전화와 인터넷이 두절되자 우주 인터넷 서비스를 하고 있는 스페이스X의 일론 모스크에게 도움을 요청했습니다. 일론 머스크는 바로 우크라이나에 우주 인터넷 서비스 '스타링크'를 제공했습니다. 올해 초부터 우크라이나에서 '스타링크' 서비스를 하기 위해 정부 승인을 기다렸던 일론 머스크 입장에선 즉각적인 결정이었죠. 전 세계가 주시하고 있는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스타링크'를 알릴 수 있는 기회이기도 했고요.
[사진=스타링크 홈페이지 갈무리] |
저궤도 위성통신은 위성을 이용한 통신 기술입니다.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통신망은 현재 지상 망입니다. 통신사들이 지상에 기지국을 구축하며 통신 인프라를 깔면, 여기서 통신 신호를 받아 사람들이 모바일이나 PC 등으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게 되죠.
반면 저궤도 위성통신은 지상에 까는 통신 인프라가 필요 없습니다. 위성을 저궤도에 쏘아 올려 우주에서 위성끼리 통신 신호를 주고 받으면, 지구에 있는 통신 이용자가 그 신호를 받아 인터넷을 이용하는 방식입니다. 지상에 전쟁이나 지진, 산불 등으로 통신 인프라가 파괴돼 통신이 두절되는 상황은 저궤도 위성통신에선 있을 수 없는 일이죠. 그런 의미에서 이 기술은 전쟁 지역이나 항공, 해상 등 통신 인프라를 깔기 힘든 사각지대에서 주로 활용됩니다.
저궤도 위성통신이 지상 통신 보다 활발하지 않은 이유는 돈 때문입니다. 위성은 고도에 따라 크게 세 가지, 저궤도·중궤도·정지궤도로 나뉩니다. 통신 위성이 있는 궤도는 저궤도, 고도 500~2000Km 사이입니다. 이 궤도에서 통신위성은 지구를 45~90분 간격으로 빠르게 공전하고 있습니다. 저궤도 위성통신은 전송 지연이 적다는 장점이 있지만, 위성과 위성 간 통신 중계를 하기 위해선 많은 위성을 쏘아 올려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즉, 돈이 많이 필요하죠. 우주 인터넷에 가장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는 스페이스X은 위성을 1만2000개까지 우주에 배치할 계획을 가지고 있고, 위성 설치 비용에만 100억달러(약 11조8400억원)가 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미지=메리츠증권 리서치센터] |
우리나라 역시 저궤도 위성통신에 관심이 없는 건 아니지만, 미국 등에 비해 개발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인터넷 강국'인 우리나라는 어디서나 인터넷이 '빵빵' 터지죠. 미국과 같이 땅덩어리가 큰 나라는 통신 사각지대가 많습니다. 통신 사각지대를 커버하기엔 저궤도 위성통신만 한 게 없죠. 하지만 통신 사각지대가 적은 우리나라에선 '안 해도 잘 터지는데 굳이 왜?' 일 수 있다는 겁니다.
작년 정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신청한 총 9500억원 규모 '저궤도 군집 위성통신 시스템 개발사업'을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탈락시켰습니다. 이 사업이 통과되면 과기정통부는 실증용 통신위성 14기를 발사해 국내 기업의 위성통신 관련 레퍼런스를 확보할 계획이었습니다. 향후 이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할 경우, 저궤도 위성통신은 정부와 민간이 함께 개발을 진행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저궤도 위성통신이 통신사들의 밥그릇을 뺏을 것이란 입장과 지상 통신망과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함께 갈 것이란 의견으로 갈리는 데, 어느 쪽이 됐든 통신사 입장에선 저궤도 위성통신을 주시할 수밖에 없죠.
업계에선 본격적으로 저궤도 위성통신이 도입되는 시점을 5세대이동통신(5G) 도입 후반인 3~4년 후, 6세대이동통신(6G)의 경우 2030년 이후로 보고 있습니다.
김판수 ETRI 위성광역인프라연구실 기술총괄은 "스타링크가 처음엔 나사 지원을 받아 진행됐듯, 우리나라도 예타를 통과했을 때 100% 정부에서 펀딩하는 것이 아니라 민간 사업자가 참여해 민간자본도 같이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면서 "앞으로 6G로 주파수가 올라가게 되면 커버리지가 좁은데 그만큼 많은 기지국을 설치해야 돼 우주를 쳐다보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abc123@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