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경제일반

속보

더보기

버핏이 쏘아올린 공에 A 주 상승세 마침표 찍나

기사입력 : 2022년07월13일 14:20

최종수정 : 2022년07월13일 14:20

전기차 등 신에너지 섹터, 3거래일 연속 하락
단기 내 급등, 밸류에이션 고평가 우려 제기
20% 이상 하락할 것 전망도

[서울=뉴스핌] 홍우리 기자 = 중국 증시 신에너지 섹터 흐름이 심상치 않다. 금주(7월 11~15일) 들어 3거래일 연속 하락하면서 투자자들을 바짝 긴장시키고 있다. 중국 증시 전반의 반등을 견인했던 신에너지 섹터가 흔들리는 모습을 보이면서 4월 말 이후 이어져 온 A주 상승세에 마침표가 찍히는 것 아니냐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사진=셔터스톡]

◆ 비야디발 악재 등에 신에너지차株 '흔들'

12일 중국 전기차 업계 1위 비야디(比亞迪·002594.SZ, 01211.HK)의 A주(선전거래소) 주가와 H주(홍콩거래소) 주가가 동시 급락했다. A주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4.72%, H주 주가는 11.93% 하락하면서 각각 270.2HKD(약 4만 5000원), 309위안(약 6만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이날 비야디 주가를 끌어내린 것은 '투자 귀재' 버핏의 지분 축소설이다. 홍콩결제기구(CCASS)에 따르면 지난 11일(현지 시간) 비야디 H주 2억 2523만 4363주가 씨티은행에 양도됐다.

문제는 양도된 주식 규모가 버핏이 이끄는 미국 투자사 버크셔해서웨이가 보유한 비야디 지분과 같아 버크셔가 비야디 주식을 처분한 것 아니냐는 추측이 확산한 것. H주 주가는 오전 장 한때 14% 이상 폭락했고 A주 낙폭도 7% 이상으로 벌어졌다.

다만 비야디 증권사업팀으로부터 "현재 데이터 상으로 버핏 지분에 변동이 없다. 버핏 지분율이 매우 큰 만큼 변동이 생기면 반드시 공시해야 한다"는 답변을 받았다는 정취안스바오(證券時報) 보도에 투심이 진정되면서 낙폭이 축소됐다.

비야디 측의 공식 입장 표명에도 전기차 테마주 다수가 하락했다. 장링자동차(江鈴汽車·강령자동차그룹, 000550.SZ)가 10% 급락하며 하한가를 기록했고 베이징자동차엔펑(北汽藍谷, 600733.SH)도 3% 이상 하락했다. 중국 금융 정보 플랫폼인 퉁화순(同花順)이 산출하는 신에너지차섹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1%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야디발 악재 뿐만 아니라 7월의 시작과 함께 돌입한 어닝시즌 역시 신에너지차 섹터에 상당한 부담이 될 것이란 전망이다. 전기차 배터리 소재에서부터 완성차에 이르는 전기차 업계의 긴 공급망을 고려할 때 세부 업종별 실적이 엇갈리면서 주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디이차이징은(第一財經)은 한 애널리스트를 인용 "신에너지차 공급망에서 상반기 실적 호조가 확실시되는 분야는 원자재 섹터"라며 "제품 판매량 및 가격이 함께 늘어 수익의 전년 동기 대비, 전기 대비 증가폭이 상당히 클 것"이라고 분석했다. 해당 애널리스트는 이어 "업스트림의 자원주가 상반기 실적시즌의 하이라이트가 될 것"이라며 실적 양극화가 섹터 및 업계 종목별 차이를 가중시킬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래픽=텐센트 증권] 비야디(比亞迪·002594.SZ) 최근 5거래일 주가 추이

◆ A주 신에너지 섹터 고평가 '경고음'..."판다면 신에너지주 먼저"

신에너지차를 비롯한 신에너지 섹터는 중국 증시 반등을 견인한 대표 선수였다. 중국 정부가 경기 부양 노력 일환으로 전기차 소비를 촉진한 것, 2060년까지 탄소 제로 실현을 목표로 제시하면서 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산업 발전을 강조한 것에 힘입은 결과다.

중국 금융 정보 제공 업체 윈드(Wind) 자료에 따르면 5월 1일 이후 신에너지자동차 섹터 59개 종목의 평균 누적 상승률은 36%로 나타났다. 상하이종합지수의 같은 기간 상승률 6.9%를 크게 웃도는 것이다.

세부 종목별로 보면 창안자동차(長安汽車·000625.SZ)와 장화이자동차(江淮汽車·600418.SZ), 샤오캉주식(小康股份·601127.SH)이 각각 107.7%, 104.03%, 92.18%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1~3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주가가 단기 내에 급등한 만큼 최근 신에너지 섹터 고평가에 대한 우려가 고개를 들고 있다. 비야디 주가가 급락한 것이나, '리튬 왕'이라 불려온 톈치리튬(天齊鋰業·천제리튬, 002466.SZ)이 최근 2거래일 연속 큰 폭 하락한 것 모두 일시적인 악재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그동안 올라도 너무 올랐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상당하다.

실제로 비야디 주가는 5~6월 두 달간 34% 이상 올랐다. 지난달 13일에는 사상 고점인 358.86위안을 기록하면서 시총이 1조 위안을 돌파하기도 했다. 주가가 급등하는 동안 비야디 주가수익비율(PE)은 한때 300배에 달했고 그 결과 다수 증권사들은 비야디의 대주거래 담보책정비율을 '제로(0)'로 조정했다.

비야디의 보증금 환산율이 '0'으로 하향 조정됐다는 것은 비야디 주식이 신용거래 담보로서의 가치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가의 종목을 담보로 융자를 해줄 경우 레버리지 위험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사진=셔터스톡]

톈치리튬 주가 역시 4월 27일의 58.05위안에서 이달 148.57위안까지 올랐다. 두 달 남짓한 시간 동안 155% 이상 급등한 것이다.

한 사모펀드 업계 인사는 디이차이징(第一財經)과의 인터뷰에서 "팔아야 한다면 분명 신에너지 종목 먼저 팔아야 한다"며 "지금의 장세가 이미 막바지 단계에 들어섰다. 추가 상승 공간이나 시간 모두 상당히 제한적"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기관들의 고점 매수 움직임이 뚜렷하다"며 "누적 상승폭이 컸던 섹터의 밸류에이션 조정이 필요하다면 신에너지 섹터가 가장 먼저 충격을 받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선전 쥐쩌(巨澤)투자운용사 마청(馬澄) 회장은 "최근 신에너지차가 시장 전반의 강세를 이끌었다. 특히 톈치리튬의 상승폭이 작지 않았다"며 "최근 거래에서 약세를 보인 것은 단기간에 너무 올랐고 밸류에이션도 너무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비야디 밸류에이션이 조정을 받기 시작하면 관련 테마주 주가 역시 하락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비야디가 4월 판매량 기준 세계 최대 전기차 브랜드인 테슬라를 누르고 글로벌 전기차 판매량 1위에 오르고, 그러한 실적 호조를 바탕으로 시총이 1조 위안을 넘어서자 중국 증시 관련 커뮤니티에는 비야디와의 협력 여부를 묻는 질문이 쇄도했다고 디이차이징은 전했다.

비야디 공급업체라고 밝힌 상장사는 진페이카이다(今飛凱達·002863SZ), 쑹즈구펀(松芝股份·송지차량공조, 002454SZ), 가오란구펀(高瀾股份·300499SZ), 차오다장비(超達裝備·301186SZ), 윈하이금속(雲海金屬·운해특수금속, 002182SZ), 중항광전(中航光電·002179SZ), 헝뎬둥츠(橫店東磁· 횡점동자, 002056SZ) 등 7개. 이들 7개 상장사의 5월 1일부터 이달 12일까지의 누적 상승률은 3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신에너지 섹터에 대한 전망은 대체로 일치하는 분위기다. 중장기적으로는 추가 상승을 기대해볼 수 있겠지만 단기적으로는 하락을 피하기 힘들 것이라는 분석이다.

신리청(新里程)자산운용 라이쉬보(賴戌播) 총경리는 "최근 상승장을 견인했던 신에너지(태양광 및 풍력 발전·신에너지차) 섹터가 조정을 받기 시작했다는 것은 A주의 단계적 반등이 끝났음을 예고하는 것"이라며 "200%, 300%까지 오른 종목이 있을 정도로 과열된 섹터가 조정을 받는 것은 정상적인 일"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 나타날 강세장에서도 신에너지가 중심이 될 것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전략적 매수 기회가 존재한다"면서도 "단기적으로는 투자자의 인내심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20% 가량 하락하지 않는다면 쉽게 매수에 뛰어들어서는 안 된다고도 조언했다. 

 

hongwoori8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화성 리튬전지공장 화재 사망 22명·8명 부상...연락두절 1명 수색 중 [화성=뉴스핌] 박승봉 기자 = 24일 경기 화성시 서신면의 일차전지 제조 공장 화재로 22명이 숨졌고 8명이 부상을 당했다. 하지만 아직 1명이 연락되지 않아 수색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24일 오전 10시 31분경 경기 화성시 서신면에 있는 일차전지 제조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사진=경기도소방재난본부] 소방당국 등은 이날 오후 6시24분 현장 브리핑을 통해 현재 사망자 22명, 중상자 2명, 경상자 6명 등 총 30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또 회사 관계자가 1명이 연락되지 않아 내부 수색 작업을 하고 있다.  사망자 22명 중 한국인이 2명, 외국인 근로자가 20명으로 파악됐다.  소방당국은 유해화학물질(리튬) 취급 공장에서 화재가 났다는 신고를 접수하고 다수의 인명피해와 연소 확대를 우려해 이날 오전 10시 51분 선제적으로 대응 2단계를 발령했다. 진화작업에는 인력 201명과 지휘차 등 장비 71대를 투입했다. 화재가 발생한 해당 공장은 3층짜리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11개 동이 있으며, 연면적은 5530㎡이다. 김진영 화성소방서 재난예방과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최초 사망자 1명을 포함해 21명의 시신을 수습해 총 22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며 "대부분의 시신은 아리셀 작업동인 3동 2층에서 대부분 발견됐으며, 회사 관계자가 1명이 연락되지 않는다고 말해 건물 내부에 대한 수색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화재발생 소식을 접한 후 즉각 현장으로 출발한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이날 낮 12시 35분경 화재 현장에 도착해 진압 상황을 살폈다. 김 지사는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조속하게 화재를 진압하고 유해가스 발생을 최소화해 달라"면서 "인명구조에 최선을 다하는 것은 물론 현장에서 활동 중인 소방대원들의 안전에도 만전을 기해달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이날 경기도에도 사고 수습과 사후 관리를 위한 준비를 지시했다. 1141world@newspim.com 2024-06-24 18:53
사진
의협, '무기한 전면 휴진' 에둘러 철회 [서울=뉴스핌] 노연경 조준경 기자 =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오는 27일 진행 가능성을 예고한 의료계 무기한 전면 휴진을 사실상 철회했다. 의협은 24일 보도자료를 통해 "27일부터 연세대학교 의료원 소속 교수님들의 휴진이 시작된다. 결정을 지지하고, 존중한다"면서, "모든 직역의 의사들이 각자의 준비를 마치는 대로 휴진 투쟁에 동참해나갈 것이다. 이후의 투쟁은 29일 올특위 2차 회의의 결정대로 진행할 것"이라고 안내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대한의사협회가 집단휴진에 돌입한 18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대로에서 열린 의료농단 저지 전국 의사 총궐기대회에서 임현택 의협 회장이 대회사를 하고 있다. 2024.06.18 mironj19@newspim.com 사실상 27일 의료계 전면 무기한 휴진을 에둘러서 철회시킨 것으로 풀이된다. 임현택 의협회장이 지난 18일 진행한 의료계 총궐기대회 폐회사에서 무기한 휴진을 처음 언급했다. 임 회장은 당시 "의사들의 정당한 요구를 정부가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27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다른 의료계 주요 인사들도 전체 무기한 전면 휴진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내비쳤다. 24일 뉴스핌이 시도의사회를 통해 확인한 결과 주요 시도의사회 회장들은 의협의 무기한 휴진에 동참하지 않는 것으로 가닥을 잡았다. 임 회장의 무기한 휴진 언급 직후부터 의료계 내부에선 항의 목소리가 나왔다. 협의되지 않은 내용을 임 회장이 공개적으로 말했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각 지역 개원가를 대표하는 시도의회장들이 "전혀 합의되지 않은 내용"이라며 "개원의의 무기한 휴진은 불가능하다"고 선을 그었다. 이동욱 경기도의사회장은 임 회장 발언 다음날인 19일 입장문을 통해 "저를 포함한 16개 광역시도 회장들도 임현택 의협회장이 여의도 집회에서 무기한 휴진을 발표할 때 처음 들었다"며 "회원들이 황당해하고 우려하는 건 임 회장의 회무에서 의사 결정의 민주적 정당성과 절차적 적절성이 전혀 지켜지지 않는다는 것"이라고 공개 비판하기도 했다. 이날까지도 각 시도의사회장들의 절차를 따르지 않은 무기한 휴진 반대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 황규석 서울시의사회장은 "무기한 휴진은 못하는 게 기정사실"이라며 "만약 사전에 협의가 됐다면 따랐겠지만, 아직까지도 협의된 내용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전국시도의사회장단협의회 차원에서도 무기한 휴진 진행 관련 우려를 전달했다며 "(우려를 전달한 이후) 추가 논의된 게 없으니 진행해선 안 된다. 진행해도 따르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와 관련해 김택우 전국광역시도의사회장협의회 회장은 지난 21일 임 회장을 만나 16개 시도의사회 회장들의 우려를 전달했다고 밝히며 "무기한 휴진은 철회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의료계 내부의 임 회장 비판에 대해 "민주주의 사회에서 개인 의견을 표출할 수 있듯이 각 시도의사회장들이 자기 의견을 얼마든지 말할 수 있는 것"이라며 "협회장의 독단 행보에 대한 불만 의견이 나온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임 회장이 주도한 첫 파업도 이전에 의협이 주도한 휴진보다 저조한 참여율을 보였다. 18일 당일 병원 문을 닫은 개원의는 14.9%에 그쳤다. 이는 2020년 집단 휴진 첫날 휴진율(32.6%)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치다. 김 회장은 "아마 의협 집행부에서 오늘 내일 중으로 27일 전면 무기한 휴진을 에둘러서 철회하는 성명이 나올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하기도 했다.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서울대학교병원이 지난 17일부터 돌입했던 무기한 휴진을 중단한 2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2024.06.24 choipix16@newspim.com 한편 당초 지난 17일부터 무기한 휴진을 개시했던 서울대학교 병원은 이날부로 다시 정상 진료를 시작했다. 서울의대·서울대학교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서울의대 비대위)는 지난 21일 교수진 투표를 거쳐 '지속 가능한 방식의 저항'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 전체 투표 응답자 948명 중 698명(73.6%)이 휴진 중단을 선택했고, 휴진을 지속해야 한다는 강경 의견은 20.3%(192명)에 불과해 대학병원 봉직의들도 의료계 무기한 휴진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여론이 다수이다. 의협은 지속적으로 정부를 향해 ▲의대정원 증원안 재논의 ▲필수의료 정책패키지의 쟁점 사안을 수정·보완 ▲전공의, 의대생 관련 모든 행정명령 및 처분을 즉각 소급 취소하고 사법처리 위협 중단 3대 요구안을 대화 조건으로 제시 중이다. 그러나 지난 22일 첫 회의를 개최한 '올바른 의료를 위한 특별위원회(올특위)'는 보도자료를 통해 "형식, 의제에 구애 없이 대화가 가능하다는 20일 정부 입장을 환영하며, 2025년 정원을 포함한 의정협의에 참여할 의사가 있다"며 "다음주(26일)로 예정된 국회 청문회 등 논의과정과 정부의 태도변화를 지켜보겠다"고 다소 전향적인 자세를 내보였다. calebcao@newspim.com 2024-06-24 15:3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