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글로벌 특파원

속보

더보기

[뉴욕증시] 잭슨홀 회의 앞두고 일제히 소폭 상승

기사입력 : 2022년08월25일 05:20

최종수정 : 2022년08월25일 06:48

잭슨홀 연설 앞두고 연준 의지 재확인 vs 태세전환
9월 75bp 금리 인상 가능성 60.5%로 상승
WTI,이란 핵합의 복원 가능성에 1.23%

[실리콘밸리=뉴스핌]김나래 특파원=미국 뉴욕증시는 24일(현지시간) 소폭 상승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9.64포인트(0.18%) 오른 3만2969.23에 마감했다.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2.04포인트(0.29%) 뛴 4140.77,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50.23포인트(0.41%) 상승한 1만2431.53으로 거래를 마쳤다.

시장은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의 금리 기조 재확인 또는 피봇(pivot·태세 전환)의 신호가 될 수 있는 잭슨홀 연설(26일)을 앞두고 상승했다.

당분간 연준이 공격적인 금리 인상에 나설 것이라는 심리가 강화됐다.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전날 "연준이 물가 상승 압력의 강도와 지속성에 대해 잘못 판단하고 있다면 지금보다 훨씬 더 공격적인 추가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카시카리 총재는 당초 비둘기파 인사로 분류됐으나, 지금은 연준 내에서 가장 강경한 매파 중 한 명으로 거듭났다.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 [사진=로이터 뉴스핌]

킹스뷰 에셋 메니지먼트의 포트폴리오 매니저인 폴 놀트는 "지난 한 달 동안 연준 고위 위원들로부터 많은 소식을 들은 후 투자자들은 파월의 소식을 기다리고 있다"며 "파월은 연준에서 가장 비둘기파이며 우리 모두는 그의 생각을 알고 싶어하는 과정이 반영되고 있다"고 밝혔다.

버던스 캐피탈 어드바이저의 최고투자책임자(CIO)인 메간 호느맨은 마켓워치에 "파월은 잭슨홀에서 연준의 금리 인상 결정에 대해 명확한 언급을 하지 않을 것"이며 "나는 파월이 이번 회의에서 매우 매파적일 수 있다는 사실 전망 등을 미뤄 시장이 조금 앞서 가고 있다고 생각하며 우리를 놀라게 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 선물 거래자들은 현재 9월에 75bp 인상 가능성을 60.5%로 보고있고, 이는 전날  53%에서 상승했다.

아메리프라이즈 파이낸셜 앤서니 사글림빈 수석 시장 전략가는 "시장은 극단적인 매파적 관점과 극단적인 비둘기파적 관점 사이에서 회전하고 있다"며 "현재로서는 중간 어딘가에 있다고 보는 것이 맞다"고 밝혔다.

이날 발표된 미국의 제조업 경기 흐름을 보여주는 지표인 미국 내구재(3년 이상 사용 가능한 제품) 주문이 7월 보합에 머문 것으로 나타났다. 7월 내구재 수주 실적이 전월과 동일한 2735억달러에 머물렀다고 밝혔다. 다만 국방 부문을 제외한 내구재 주문은 전월보다 1.2% 늘었다.

앤드류 홀렌호르스트가 이끄는 씨티그룹의 이코노미스트들은 "내구수주 보고서가 컨센서스보다 더 강력했지만, 미국 경제의 궤적에 대한 장기적 관점을 바꾸기에는 충분히 놀라운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강력한 고용 보고서와 함께 내구재 보고서, 예상보다 나은 소매 판매 수치와 고용지표 등은 연준이 더 이상의 공격적인 정책 조치를 배제할 정도로 빠르게 둔화되지 않고 있다고 더 확신하게 만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 달러는 전일 대비 보합세를 보였다. 유로는 달러 대비 0.05% 상승한 0.9976 달러를 기록했다.

국제유가는 원유재고가 또 다시 줄어든 가운데 이란의 핵 합의 복원 가능성을 주시하며 오름세를 보였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0월물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날보다 1.15달러(1.23%) 오른 배럴당 94.89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안전 자산인 금 가격은 상승했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가장 많이 거래된 선물인 12월물 금 선물 가격 온스당 0.30달러(0.02%) 오른 1761.50달러에 마감했다.

 

ticktock0326@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SKT 이용자 1천명, 공동손배소 예고 [서울=뉴스핌] 최수아 인턴기자 = SK텔레콤(SKT) 유심 정보 해킹 사태와 관련해 이용자 1천여 명이 SKT를 상대로 집단 손해배상 청구 공동소송을 예고했다. 법무법인 대륜은 22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소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주 또는 늦어도 다음 주 초에는 약 1000명 규모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1인당 손해배상 청구 금액은 100만원으로 전해졌다.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손계준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가 21일 오후 SK텔레콤의 유심(USIM) 정보 유출 사태 고발인 조사를 위해 서울 중구 남대문경찰서에 출석하며 입장을 밝히고 있다. 법무법인 대륜은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와 보안 담당자 등을 정보통신망법 위반,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배임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2024.05.21 yym58@newspim.com 대륜은 "집단소송 신청자는 1만 명 이상이나 서류 취합까지 완료된 분들에 한해서만 1차 민사소장 접수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들은 해당 소장을 접수한 이후에도 2차 소장 모집을 계속할 계획이다.  대륜은 "역대 최대 규모의 유심정보 유출 사고로, 장기간 해킹에 노출된 정황이 있으며 피해자들은 유심 교체 등으로 현실적인 불편을 겪었다"면서 "SKT는 보안에 소홀한 반면 높은 영업이익을 유지해왔고, 지금까지도 피해 규모나 경위에 대해 충분히 밝히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러한 점을 종합하여 1인당 100만 원의 위자료 청구가 정당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또 "SKT는 고객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보호에 있어 구조적인 소홀과 의도적인 비용 감축 정황이 확인된다"고 주장했다. 공동소송이란 원고 또는 피고 혹은 그 쌍방이 여러 사람일 경우, 즉 소송주체가 다수일 경우를 의미한다. 이번 사건처럼 다수에게 피해가 발생했을 때 다수의 피해자가 함께 소송에 참여한다.  앞서 대륜은 지난 1일 SKT 유영상 대표이사와 SKT 보안 책임자를 업무상 배임과 위계 공무집행 방해 등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으며 전날(21일) 남대문경찰서에서 고발인 조사를 받았다. geulmal@newspim.com 2025-05-22 12:49
사진
폭스콘 "AI 데이터센터, 단계 건설"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세계 최대 전자 위탁생산업체인 대만 폭스콘이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와 함께 추진 중인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가 최대 100메가와트(MW) 규모로 단계적으로 건설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류양웨이 폭스콘 회장은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2025 컴퓨텍스 타이베이' 기조연설에서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엄청난 전력이 필요한 만큼, 단계적으로 구축할 것"이라며 "1차로 20메가와트 규모로 시작한 뒤, 40메가와트를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며, 궁극적으로는 100메가와트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프로젝트는 전날 엔비디아가 대만을 대표하는 제조 기업 TSMC·폭스콘 및 대만 정부와 함께 초대형 AI 생태계를 대만에 구축한다고 발표한 데 따른 후속 설명이다. 2024년 10월 8일 대만 타이페이에서 열린 폭스콘 연례 기술 전시회에 전시된 폭스콘 전기이륜차 파워트레인 시스템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2025.05.14 kongsikpark@newspim.com 류 회장은 "전력은 대만에서 매우 중요한 자원"이라며 "공급 부족이라는 표현은 쓰고 싶지 않지만, 이를 감안해 여러 도시를 대상으로 부지를 분산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부 시설은 대만 남서부 가오슝시에 우선 들어서며, 나머지는 전력 여건에 따라 다른 도시로 확대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류 회장의 키노트 무대 위로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깜짝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황 CEO는 "이번 AI 센터는 폭스콘, 엔비디아, 그리고 대만 전체 생태계를 위한 시설"이라며 "우리는 대만을 위한 AI 팩토리를 만들고 있다. 여기에는 대만의 350개 파트너사가 참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AI 데이터센터는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 확보를 통해 AI 학습 및 추론 속도를 크게 높이고, 대만 내 AI 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koinwon@newspim.com 2025-05-20 23:4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