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글로벌 특파원

속보

더보기

[장강을 가다] ⑥ 시의 도시 펑제현, 도시와 기업 홍보대사로 소환된 이백

기사입력 : 2023년02월03일 17:16

최종수정 : 2023년02월05일 13:50

인문 자산 활용 고부가 경제 가치 창출
백제성 이백 시 한수로 천년 고시의 성
장강변 이백과 삼국지의 고장 백제성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산봉우리에서 해가 뜨고지는 장강은 낮시간이 유난히 짧다. 다시 어둠이 내리고 장강의 양쪽 강안 언덕은 점점 해발 고도가 높아졌다. 얼마나 지났을까. 장강변의 깊은 산속이 갑자기 산불이라도 난 것 처럼 환해졌다. 산속의 도시는 조명장치를 한 미니어처 도시계획도 처럼 캄캄한 어둠속에서 울굿불긋 영롱한 네온사인 불빛을 발산하고 있었다.

사람들은 저기가 충칭(重慶) 동쪽의 완저우(万州) 지역일 것이라고 말했다. 어떤 사람은 이창 삼협댐이 건설됐을 때 수백킬로미터 상류인 완저우도 낮은 지역은 수몰 영향을 받았다고 말했다. 밤이 이슥해지면서 사람들은 잠에 들고 8개 층 선실이 전부 조용해졌다. 장강도 깊고 푸른 어둠속으로 빠져들었다.

간밤에 얼마나 더 이동했는지 다음날인 1월 24일 아침 눈을 뜨니 150미터 길이에 1만 7000톤의 육중한 산샤 유람선 장강 3호는 백제성으로 유명한 충칭의 펑제(奉节)현 펑제항에 정박해 있었다. 사람들은 바이디청(白帝城, 백제성)이 바이디산에 있는 고성으로 산샤 협곡 유람의 백미라고 했다.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충칭시 펑제현 장강변 펑제 항구 접안시설에 설치된 당나라 시인 이백의 시. 펑제현 백제성은 이백의 이 시 한수로 수백년 중국 최고의 인문 관광지가 됐으며 만고에 남는 시의 고장이 됐다.  2023년 1월 24일 뉴스핌통신사 촬영.   2023.02.03 chk@newspim.com

 

"산샤(三峡, 삼협)는 장강 구간 3개의 협곡이라는 뜻이죠. 이곳 백제성 아래쪽의 구당(瞿塘)협곡과 우산(巫山)의 우산협곡, 이창(宜昌)의 시링(西陵)협곡을 합쳐 산샤라고 합니다. 이중 구당협은 중국 10위안 짜리 종이 돈에 인쇄된 명소예요. 10위안 지폐를 준비했다가 꼭 기념사진을 찍으세요."

중국인 단체 여행객 틈에 섞여 여행을 하다보면 투어단의 한사람 한사람 모두가 훌륭한 여행가이드다. 쓰촨성 이빈(宜宾)에서 온 중국인 유커는 산샤를 이렇게 소개한 뒤 경치로 볼땐 하늘이 공중에 좁고 파란 개울 처럼 보이는 우산협곡이 가장 빼어나며 이창 구간 시링 협곡은 특히 삼협댐으로 질 알려져 있다고 설명했다.

早發白帝城 《李白》
朝辭白帝彩雲間, 千裏江陵一日還
兩岸猿聲啼不住, 輕舟已過萬重山

'아침녘 채색노을 속에 백제성을 떠났는데
일 천리 강릉길을 하룻밤새에 돌아왔구나
장강 양안에는 원숭이 소리 그치지 않는데
가벼운 돛단배는 어느새 첩첩산중 지났구나'

<뉴스핌 최헌규 기자 번역>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충칭시 펑제현 장강변 펑제항에 내려 백제성으로 건너가는 장강 다리 입구에 이백의 '조발백제성'이라는 시가 조형물로 설치돼 있다.  2023년 1월 24일 뉴스핌 통신사 촬영. 2023.02.03 chk@newspim.com

1월 24일 아침 식사후 백제성 탐방을 위해 배에서 내려 장강의 부두 다리를 건너 강안 뚝으로 올라서는데 당나라 시인 이백의 시 '자오파바이디청(早发白帝城, 조발백제성)' 네 구절이 대문짝 처럼 눈앞에 펼쳐진다. 기자뿐만 아니라 장강 3호 여객들이 펑제현에 와서 가장 먼저 조우한 것은 시선(詩仙)으로 불리는 시인 '이백'이었다. 사람들은 배에서 막 내리자 마자 이곳에서 펑제의 첫번째 기념사진을 찍었다.

이백의 싯 구절을 인용한 '채색구름 사이로(彩云间 )'라는 이름의 여관, 마을 어귀 회관 건물 담벼락의 이백 시와 이백이 돛단배로 지났던 산샤의 구당협 도안이 들어간 10위안짜리 종이돈 조형물. 백제성으로 들어가는 길목과 마을 전체가 이백의 시로 도배가 되다 시피했다. 마치 마을 골목 어귀 어디선가 발자국 소리와 함께 이백의 시 읆는 소리가 들려올 것 같은 분위기다.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충칭시 펑제현 백제성 백제묘당.  2023.02.03 chk@newspim.com

장강에서 뭍으로 나와 백제성으로 들어가는 길은 그 자체가 이백 시 세계의 거대한 야외 전시장을 방불케 했다. 백제성이 장강 건너편에 있으니 배가 정박한 곳에서 백제성으로 들어가려면 마을을 지나 장강 다리를 건너야한다. 다리 입구에도 이백의 시를 마치 예술 조각품처럼 새겨놓고 있었다.

장강을 내려다 보면서 백제성을 향해 다리를 중간쯤 건너고 있는데 누군가 어깨를 잡으며 장강 강안 뒷쪽 산을 가르킨다. '朝辭白帝彩雲間, 千裏江陵一日還' 손짖 하는 쪽을 바라보니 장강변 기슭에서 부터 하늘가로 넓고 완만하게 펼쳐진 산자락에도 엄청난 크기의 대형 구조물로 이백의 시 '조발백제성' 의 첫 두개 싯구절을 설치해 놓고 있었다.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펑제현 삼국지 유적인 백제묘당 무후사에 유비가 임종하면서 제갈공명에게 아들 유선을 부탁하는 장면이 조형물로 전시돼 있다.  2023년 1월 24일 뉴스핌 통신사 촬영.    2023.02.04 chk@newspim.com

충칭의 펑제현 백제산에 자리한 백제성은 본래 유명한 삼국지의 고장이다. 백제성의 백제묘는 유비와 제갈공명 묘당, 촉한의 통일 대업에 관한 유적들을 전시해놓은 곳으로 유비와 촉의 한이 서린 곳이기도 하다.

촉한의 유비는 오나라에 패해 피신하다가 병을 얻어 백제성에서 생을 마감한다. 유비는 숨을 거두기 전 공명에게 아들 유선을 보좌해 통일 대업을 이룰 것을 당부한다. 유비는 '아들이 재목이 아니면 공(제갈공명)이 권력을 취하라'고 말한다. 열흘전인 1월 13일 청두 무후사에서 본 유비의 마지막 유언 조형물이 이곳 백제묘 무후사에도 똑같이 전시돼 있었다.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백제성 아래로 내려다 보이는 샨샤의 으뜸인 구당협곡. 2023.02.03 chk@newspim.com

 

사람들은 백제성에 삼국지와 유비, 제갈공명 촉한의 자취를 살피러 오지만 막상 이곳에 오면 이백을 그냥 지나칠 수가 없게 돼있다. 삼국지 무대인 백제성은 이백의 시의 고장이며 예로부터 시인의 성지였다.

이백과 두보 백거이 소동파. 백제성이 있는 펑제현엔 예로부터 시인묵객들이 몰려들어 만 수의 시를 남겼다. 펑제현 때문에 '삼협에 가면 반드시 시가 있다'는 말이 생겨났다. 2017년 중국 정부는 펑제현에 전국에서 유일한 '시의 도시'라는 칭호를 내렸다.     

이백의 시 '조발백제성'을 모르고 발을 들이면  백제성은 영락없이 주마간산격 여행이 될 듯 싶다. 펑제현 백제성이 산샤 장강 유람선 관광객을 끌어들이기 위해 삼국지와 이백 중 어떤 간판을 더 크게 내걸고 있는지 가늠하기 힘들다.

삼국지의 인물들에 비하면 이백은 수백년 후대 사람이다. 야랑이라는 곳으로 유배를 가던 도중 이백은 이곳 백제성에서 사면 소식을 접한뒤 백제성 아래 구당협을 거쳐 천리길 장강 중류쪽 후베이성 강릉으로 되돌아가 구속에서 풀려난 가뿐한 기분으로 만고에 유전될 시 '조발백제성' 을 지었다. 이백의 이 시 한수는 백제성을 수백년에 걸쳐 최고의 인문 관광지로 만들었다.  

 

[베이징=뉴스핌] 최헌규 특파원 = 충칭 펑제현의 옛 삼국 촉한의 유적지인 백제성 백제묘 입구에 이백의 시 '조발백제성'이 마오쩌둥과 저우언라이, 장쩌민 등 공산당 지도자들의 필체로 돌비석에 새겨져 있다.   2023.02.03 chk@newspim.com

 

이창(宜昌) 동쪽 강릉(江陵)으로 가기 전 이백도 장강의 빼어난 풍광을 내려다 볼 수 있는 이곳 백제성에 올라 촉한의 역사를 떠올렸을 것으로 전해진다. 이백이 시에서 노래한 장강 양안의 야생 원숭이들은 지금도 옛날같은 울음소리를 내며 펑제현의 장강과 백제성 여행객들 곁을 맴돈다. 장강3호 유람선 승객들이 통과하는 구당협을 이백도 나룻배를 타고 지났다고 한다.

이백의 '조발백제성'은 유비와 촉한을 기리는 백제묘 입구 주변에도 꽤나 비중있는 관광 거리로 조성돼 있다. 펑제현 백제 고성의 백제묘 관광 관리사무소는 백제성이라는 흰 대리석 표지석과 함께 이백의 이 시를 마오쩌둥과 저우언라이, 장쩌민 등 역대 공산당 지도자의 필체로 각각 커다란 대리석에 새겨 기념하고 있다.

베이징= 최헌규 특파원 chk@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尹대통령 국정 지지율 30.1%…부정평가 66.7% '경고등' [서울=뉴스핌] 김종원 전문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30.1%가 나왔다. 지난 2주 전 뉴스핌 정기 여론조사 38.1%보다 8%포인트가 빠졌다. 반면 부정 지지율은 66.7%로 2주 전 59.3%보다 7.4%포인트가 오른 70%에 육박했다. 정부·여당의 4·10 22대 총선 참패에 따른 국정 심판 여파가 아직도 전 연령과 전국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국민 10명 중 7명 가까이 윤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해 부정적 여론이 거센 상황에서 취임 2년을 맞는 윤 대통령의 국정 동력 확보에 경고등이 켜졌다. 이번 정례 여론조사는 뉴스핌 의뢰로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4월 29일부터 30일까지 이틀 간 전국 만 18살 이상 남녀 1006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4·10 총선 민의에 따른 윤 대통령과 제1야당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간의 지난 29일 첫 영수회담 결과는 아직 민심에 온전히 반영되지 않아 좀 더 여론의 추이를 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정례 조사에서 '매우 잘하고 있다' 15.2%, '잘하고 있는 편' 14.9%로 국정 긍정 평가는 30.1%였다. 4·10 총선 직후 2주 전인 지난 4월 15·16일 뉴스핌 정기조사 때 긍정평가 38.1%보다 8%포인트 하락했다. 윤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한 긍정 지지율이 뉴스핌 정기 여론조사에서 30%선이 무너질 위기에 처했다. 사실상 국정 장악과 국정 운영 동력 확보에 빨간불이 들어왔다. 부정평가는 '매우 잘 못하고 있다' 57.2%, '잘 못하는 편' 9.5%로 국민 10명 중 7명에 가까운 66.7%였다. 지난 2주 전 조사 59.3%보다 7.4%포인트가 많아졌다. 윤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한 긍·부정 격차는 지난 2주 전 조사와 비교해서 21.2%포인트에서 36.6%포인트로 크게 벌어졌다. 연령대별로 보면 30대에서 부정평가가 79.2%로 가장 높았다. 40대 77.4%, 50대 70.4%로 30·40·50세대 10명 7명이 윤 대통령 국정 운영에 대해 부정적이었다. 70대 이상에서만 부정 41.0%, 긍정 48.0%로 긍정 평가가 조금 앞섰다. 지역별로는 정부와 여당인 국민의힘의 전통 지지층인 대구경북(TK)에서도 긍정 40.9%, 부정 54.4%로 부정 수치가 10%포인트를 훌쩍 넘어섰다. 부산울산경남(PK)에서는 긍정 35.5%, 부정 61.6%로 긍·부정 격차가 절반 가까이 됐다. 광주전남전북 호남에서는 부정 80.9%, 긍정 16.5%로 10명 중 8명이 부정적이었다. 정당별 지지층에서도 지지층이 없는 무당층의 69.1%가 부정, 긍정 27.9%로 10명 중 7명 가까이가 부정적 평가였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윤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크게 떨어진 이유에 대해 "지난달 29일 이재명 야당 대표와 취임 후 700여 일 만에 첫 영수회담을 했지만 국론 분열과 민생 위기를 타개할 뚜렷한 해법은 없었다"고 분석했다. 김 대표는 "오히려 4·10 총선 참패 이후 단행한 대통령실 비서실장에 찐윤' 인사를 임명하는 등 윤 대통령의 변하지 않는 일방적·독선적 국정운영 스타일과 함께 답이 보이지 않는 의대 증원 문제에 대한 국민 피로감이 커졌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김 대표는 "물가 상승으로 인한 민생 경제 불안감 등 여론이 악화되면서 지지층 마저 대거 이탈하며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추락했다"고 분석했다. 이번 조사는 무선(100%) 가상번호 임의걸기(RDD) 자동응답(ARS) 방식으로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에 표본 오차 ±3.1%포인트, 응답률은 2.9%다. 자세한 조사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kjw8619@newspim.com 2024-05-02 06:00
사진
"몸 힘들어도 환자 위했는데, 공공의 적 됐다" 전공의 '울먹' [서울=뉴스핌] 방보경 노연경 기자 = 의과대학 학생, 전공의 등은 정부가 독단적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전공의 대표는 '정부가 우리를 악마화하는 과정에서 (환자와의) 신뢰를 깨고 있다'고 호소하기도 했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서울의대 비대위)가 30일 개최 의료개혁 관련 긴급 심포지엄에서 박재일 서울대병원 전공의 대표는 "국민 위한 의료개혁이 올바른 방향 무엇인가를 고민했는데, 공공의 적이 돼버렸다"며 울먹였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3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 병원 제일제당홀에서 열린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대위 긴급 심포지엄에 의료진들이 참석해 있다. 2024.04.30 pangbin@newspim.com 이날 열린 심포지엄은 의대 정원 확정을 앞두고 이뤄졌다. 교수들은 의료대란의 배경 및 정부에 제시할 정책 대안을 짚었다. 김민호 서울대 의과대학 학생회장과 박재일 서울대병원 전공의대표 역시 자리에 참석해 입장을 표명했다.  특히 박 대표는 혈액종양내과에서 일해오면서 느꼈던 개인적인 소회를 털어놨다. 박 대표는 "수련받으면서 몸이 힘든 시간이 있었지만, 몸이 힘들수록 내 환자의 몸은 건강해질 거라고 믿었다"고 했다.  그는 "내과 1년차 때 맡았던 환자에게 매일 울면서 어떤 말을 해드려야 하는지 머릿속으로 생각했다. 신을 믿지 않지만 인생에서 처음으로 기도를 했다"며 "(그분을 볼 때마다) 복도로 다시 나와서 심호흡하고 커튼까지 갔다가 돌아오는 걸 반복했다"며 개인적인 경험을 공유했다.  박 대표는 "2년 후 그분이 완치된 것을 보고 힘든 상황에 환자들 곁에 있고 싶어서 혈액종양내과를 지원했다"며 "회복한 환자들의 감사인사와 편지를 마음속에 품는데 정부는 전공의를 악마화해서 국민 간의 갈등을 부추기고 있다"며 말을 잇지 못했다.  이어 "자부심과 긍지 갖고 환자 곁에서 일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 달라"며 "기피과가 있다면 시스템 개선해서 모든 전공의들이 소신껏 지원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했다.  박 대표의 발표가 끝나자 30초 이상의 큰 박수소리가 이어졌다. 박 대표는 자리로 돌아간 뒤에도 휴지를 손에 쥐고 연신 눈물을 닦았다. 동료 전공의로 보이는 몇몇은 눈물을 훔치기도 했다. 방재승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교수는 "교수이자 선배의사로서 부끄럽기도 하고 마음이 심란하다. 전공의 대표가 저렇게 슬픈 모습 보이는 것은 진심이 아니면 나올 수 없다"며 "정부는 전공의 복귀를 이야기하기 전에 진실된 마음으로 의대생과 전공의에게 사과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3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 병원 제일제당홀에서 열린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대위 긴급 심포지엄에 의료진들이 참석해 있다. 2024.04.30 pangbin@newspim.com 박 대표는 발표에서 정부가 전문직, 수련생, 노동자 등의 정체성이 혼재된 전공의의 입장을 철저히 무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의료계는 오래전부터 의료체계 문제점 분석해 정부에게 해결책을 제시해 왔다. 하지만 정부는 보건의료정책 심의위원회에서도 알 수 있듯, 의료계 현장 목소리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고 했다.  특히 "타국과 비교했을 때 전문가 의견 태도가 반영되지 않았고, 의료개혁특별위원회까지 지속됐다"며 "정부는 의료체계 전반적 문제점을 잘못 진단하고 엉뚱한 해결책을 내놓고 있다"며 초기 진단과정부터 되짚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민호 의과대학 학생 대표 역시 정부가 의료계와 교육에 대한 이해도가 낮다는 점을 지적했다. 김 대표는 "정부는 필수의료만이 국민의 건강을 위해 필요하며, 비필수의료는 시스템을 왜곡하는 주범인 양 몰아가고 있다"며 "저수가 박리다매 의료 시스템이 고성장 시대가 끝나자 통째로 무너져내리고 있는데, 이를 정부가 좁고 자의적인 범위로만 보고 있다"고 했다.  이어 "증원으로 교육 질 저하, 의료 질 저하 발생하면 책임 결과 또한 의료인이 같이 안게 된다"며 "학생들은 (정부 정책이) 의료와 의학을 위하는 진심 어린 정책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김 대표는 ▲시스템적 접근 필요 ▲현장의 목소리 청취 ▲필수의료패키지 반대 등의 안건을 내놓으며 대정부 요구안을 제시했다.  hello@newspim.com 2024-04-30 15:03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