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갈등·인건비 상승에 中 불확실성 ↑, 대안 찾기
베트남 대표 외국기업 삼성, LG 베트남 GDP 3%
현대차·철강업계, 인도·인니 투자로 생산 능력 확충
[서울=뉴스핌] 채송무 김지나 기자 = 중국이 미국과의 갈등과 공급망 과의존 논란 등 불확실성을 높이면서 우리 기업들은 주요 생산 기지를 다변화하고 있다.
특히 그동안 미중 갈등으로 중국 투자에 대한 부담이 커지고 있는데다 그 이전부터 인건비 상승, 중국 내 자국 기업 밀어주기 등으로 우리 기업들에게 중국의 인기는 예전만 못한 상태였다. 중국의 대안으로는 세계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평가받고 있는 인도 및 동남아시아의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신흥 제조국들이 부상하고 있다.
[서울=뉴스핌] 심지혜 기자 = 이재용 부회장이 베트남 하노이 인근에 위치한 삼성 복합단지를 찾아 스마트폰 생산공장 등을 점검하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2020.10.22 sjh@newspim.com |
◆중국 대신 부상하는 인도·동남아, "이미 많이 가 있다"
이재수 전국경제인연합 아태협력 팀장은 "중국은 미중 갈등으로 우리 기업들이 눈치를 많이 본다. 법이나 제도 등 중국은 불확실성이 많아 진출한 기업들도 어려움을 겪을 때도 있다"라며 "최근 대중무역적자가 늘어나면서 기업들이 기회의 땅에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려고 노력하고 있는데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시아는 중요한 지역"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 팀장은 "베트남은 해외 투자국 1위가 우리인데 앞으로도 유지될 것 같다. 기업들도 더 많이 갈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조상현 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원장도 "기본적으로 글로벌 기업들이 중국에 너무 과의존해 공급망 안정 차원에서 베트남과 인도네시아, 인도 등 신흥제조국가로 이미 많이 가 있다"라며 "미국도 아이폰을 전량 하다가 베트남으로 비중을 조정했다. 공급망 포트폴리오 재조정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조 원장은 "세계 수출의 창구로 베트남을 활용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라며 "현대자동차의 경우 전기차 시대로 넘어가면서 중국 내 시장 점유율이 줄어들었다. 다른 기업들도 말레이시아나 베트남을 비롯한 아세안 지역을 거점으로 활용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LG이노텍 베트남 하이퐁 생산법인. [사진=LG이노텍] |
◆삼성 2008년부터 베트남 투자, 영향력 키워
LG, 베트남 '하이퐁 클러스터' 핵심 생산 거점 성장
우리 기업들은 동남아시아와 인도에서 이미 상당한 성과를 내고 있다. 삼성은 베트남에 2008년부터 진출해 꾸준한 투자로 가장 영향력이 큰 외국 기업으로 자리매김한 상태다. 다만 삼성은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베트남이 통제를 강화하면서 신규 투자가 다소 줄어들었다.
LG그룹은 현재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LG화학, LG생활건강 등 계열사들이 베트남 내 7개 생산 법인을 포함해 총 12개 법인을 운영 중이다. 현재 2만4000명의 임직원이 근무 중이며 2022년 생산규모는 120억 달러(15조원) 수준으로 성장해 베트남 GDP의 약 3%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LG전자,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의 생산 법인이 위치한 '하이퐁 클러스터'는 전자계열 3개사의 핵심 생산 거점으로, 2022년 기준 글로벌 세트/부품 생산액의 15%를 차지할 정도로 성장했다. LG는 현재 750여 명인 베트남 R&D법인의 전장부품 관련 개발인력을 2024년까지 1000 명 수준으로 30% 이상 늘릴 계획이다.
SK그룹은 지난 2018년 베트남 등 동남아 지역에서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SK동남아투자법인을 설립한 이후 베트남 최대 식음료 유통기업이자 민영 2위 기업인 마산그룹에 4억7000만 달러를 투자했다.
2019년에는 민영 1위 기업인 빈 그룹에 10억 달러를 투자했으며 2021년에는 마산그룹 산하 크라운엑스에 3억4000만 달러를 투자하는 등 민영그룹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조코위 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과 만나고 있다.[사진= 현대차그룹] |
◆현대차, 인도 탈레가온 공장 인수·인도네시아에 생산 거점
철강업계도 투자 늘려, 포스코 2030년 인니 조강능력 두배 늘려
현대자동차그룹은 부진한 중국 시장에서 인도와 동남아시아로 중심을 이동하고 있다. 현대차는 연 13만대 수준의 생산 능력을 갖춘 제네럴모터스의 인도 탈레가온 공장을 인수했다. 2025년부터 탈레가온 공장이 본격 양산에 돌입하면 현대차의 인도 내 생산 능력은 최대 100만대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현대차그룹은 세계 4위 인구대국인 인도네시아를 아세안 시장 거점으로 삼고 있다. 현대차는 지난해 인도네시아 브카시에 아세안 지역 최초의 완성차 생산거점을 구축했다. 이 지역의 생산능력을 향후 25만대 규모로 키워 아세안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입장이다.
현대차그룹은 이와 함께 LG에너지솔루션과 인도네시아 카라왕 지역에 연 10GWh 규모의 전기차 배터리셀 합작공장도 건설 중이다. 내년 상반기부터 양산을 시작해 향후 생산능력을 30GWh까지 늘릴 전망이다.
철강업체들도 인도 및 동남아지역 투자를 늘리고 있다. 포스코는 인도네시아 크라카타우포스코의 조강 능력을 2030년 600만 톤으로 현재의 두 배 늘리며, 인도지역은 해당 기간 250만 톤의 조강 능력을 갖추도록 투자할 계획이다.
반면, 포스코는 중국 장가항포항불수강에서는 2030년까지 현재의 110만 톤을 유지하고, 베트남 PY-VINA에서도 현재의 100만 톤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포스코는 향후 성장세가 기대되는 인도와 인도네시아, 북미 지역 투자를 늘리고 중국과 베트남에서는 현재 상황을 유지할 계획이다.
동국제강은 컬라강판을 판매하는 동국씨엠이 2011년 인도, 태국에 코일센터를 보유했고, 2022년에 베트남에 코일센터를 설립했다. 동국제강은 이 지역에 프리미엄 제품 위주 수익성 판매로 시장을 공략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dedanh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