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범수 창업자 영향 너무 커...의사결정 구조 바꿔야"
"내수에 머물면서 많은 문제 발생...해외진출 필수"
[서울=뉴스핌] 송은정 기자 = 전문가들은 카카오가 재도약하기 위해 핵심 사업들을 중심으로 '사업 구조조정'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는 24일 "카카오는 140개의 계열사를 쪼개기 상장해서 국민의 지탄을 받아왔다"라며 "집단 지도 체제로 구성돼 있기 때문에 혁신하고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 계열사를 통합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는 "카카오의 성장은 보통 기업과 달리, 급성장하며 끊임없는 파생 성장을 해왔다"라며 "김범수 창업자가 경영에 대해 부족한 상태에서 너무 빠르게 성장하다 보니까 여러 부문에서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본다"고 진단했다.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의 영향력이 너무 크다는 것도 극복해야 할 과제로 제시됐다. 아울러 체계적인 의사결정 구조를 갖춰야 한다는 조언이 많았다. 현재 카카오의 상태는 '몸은 대기업인데, 경영 방식이나 의사결정 구조는 스타트업 형태'라는 지적들이 나왔다.
홍기훈 홍익대 경영학과 교수는 "우리나라 정보기술(IT) 산업은 경영자 리스크와 창업자에 기대는 것이 너무 크다. '창업자가 곧 회사의 모든 것'이라는 것을 보여준 사례"라며 "창업자의 한마디가 회사를 좌지우지하고, 기업이 지나치게 커지다 보니 창업자들이 감당할 만한 역량이 되지 않아 잘못된 의사결정이 회사에 영향을 미쳤다"라고 분석했다.
이어 "제도적으로 막을 수 있는 것이 없으며, 이미 대기업으로 커진 상태에서 스타트업을 운영하는 방식으로는 성공적인 기업을 운영할 수 없다"라며 "창업자 및 오너의 독단적인 의사결정이 거대한 기업이 된 스타트업에게는 독이 됐다. 빠르게 성장하는 스타트업일수록 경영 스타일이 바뀌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홍 교수는 스타트업 시절에 빠른 의사결정과 혁신적인 것들이 대기업이 됐을 때는 독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체계적인 의사결정 과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오너의 독단적 결정이 아니라, 대기업처럼 변호사, 법률 검토, 실무진 모든 측면에서 제도적으로 의사결정을 거쳐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는 "성공적인 스타트업이 될 수 있다고 믿는 스타트업의 창업자들은 김범수 위원장을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 (카카오의) 문어발식 확장도 이러한 운영 방식으로 문제가 생겼다. 경영방식이 체계적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SM엔터 시세 조종 의혹과 관련해 검찰 수사를 받아온 카카오 창업자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이 22일 오후 서울 양천구 남부지방법원에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에 출석하고 있다. [사진=이호형 기자] |
위정현 중앙대 경영학부 교수는 "현재까지 카카오는 계열사 대표들에게 자율성을 주고 성과를 기반으로 인수합병(M&A), 기업공개(IPO)를 동시에 진행해 성과에 대해 경영진, 구성원들과 공유하는 구조였다. 이것은 회사가 성장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됐고 덕분에 단기간에 성장할 수 있었다"라며 "문제는 안 좋은 이슈가 터졌을 때 브레이크가 걸리지 않아 계열사가 각개전투하는 구조다. 예를 들어 A 계열사에서 어떤 문제가 있는지 파악하기 어려워지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카카오가 내수시장에만 의존하면서 많은 문제들이 야기됐다는 지적도 있다. 추가 성장을 위해 '해외진출'이 필수과제로 제시됐다.
송세경 카이스트 산학협력중점 교수는 "지금의 상황은 카카오를 넘어 우리나라의 산업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엄청난 위기라고 본다"라며 "김범수는 국내 시장에서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처음으로 잡고 다양한 분야로 플랫폼을 확산해나갔다. 이런 상황에서 내수에 머물렀던 것이 문제로 보인다. 내수에 집중하면서 다양한 상황들이 발생해 위기가 시작됐다"고 분석했다.
yuniy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