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글로벌 기타

속보

더보기

美 반도체 제재, 북방화창 등 장비업체 정조준...中 "해도 너무한다"

기사입력 : 2024년12월03일 09:07

최종수정 : 2024년12월03일 12:19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미국이 새로운 대중국 반도체 제재안을 발표하자 중국 내에서 격앙된 반응이 나오고 있다. 특히 미국의 이번 제재가 중국의 주요 반도체 장비 업체 100여 곳을 포함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미국 상무부는 2일(현지 시간) 대중국 반도체 제재안을 발표했다. 새로운 제재안은 ▲대중국 수출 통제 대상 품목에 특정 HBM(고대역 폭 메모리) 추가 ▲첨단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반도체 제조 장비 24종과 소프트웨어 3종에 대한 수출 통제 ▲136곳의 중국 기업에 대한 첨단 반도체 및 관련 장비 수출 통제 등 3가지다.

136곳의 중국 업체 중에는 반도체 제조업체 20여 곳과 반도체 투자 회사 2곳, 반도체 장비 제조업체 100여 곳이 포함돼 있다.

주요 업체로는 성메이(盛美)반도체(ACM리서치), 이좡(亦莊)반도체, 화다주톈(華大九天), 카이스퉁(凯世通)반도체, 톈지싱(天際星)과기, 중국과학원 마이크로전자 연구원, 화싱(華興)반도체, 난다광뎬(南大光電), 파이터(派特)과기, 즈춘(智純)반도체, 베이팡화촹(北方華創, 북방화창) 등이 포함돼 있다.

이 중 베이팡화촹과 성메이반도체는 중국의 대표적인 반도체 장비 업체이며, 화다주톈은 반도체 설계 소프트웨어 업체다. 미국의 업체들이 이들 기업에 수출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특별 허가를 받아야 한다.

중국 매체들은 이 같은 제재를 3일 대거 보도하고 있다. 매체들에 따르면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부 장관은 "새로운 규제 조치는 2022년 10월과 2023년 10월에 발표된 제재 패키지에 이은 것으로 획기적이고 포괄적"이라며 "군사력 현대화에 사용되는 중국의 반도체 능력을 약화시키기 위한 미국의 가장 강력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중국 외교부와 중국 상무부는 즉각 반박 성명을 발표했다. 중국 외교부는 "미국이 국가 안보 개념을 확장시켜 수출 통제 조치를 남용하고 중국에 악의적인 봉쇄를 가하는 것은 시장 경제와 공평 경쟁의 원칙을 엄중하게 훼손하는 것이며 국제 무역 질서를 파괴하는 행위"라며 "중국은 단호한 조치를 취할 것이며 중국 기업들의 정당한 권익을 지켜내겠다"고 발표했다.

중국 상무부는 "미국의 통제 조치 남용은 여러 국가의 정상적인 경제 무역을 심각하게 방해하고 국제 무역 질서를 심각하게 파괴하고 있다"며 "중국은 정당한 권익을 수호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들을 할 것"이라고 입장을 냈다.

중국 네티즌들은 격한 반응을 쏟아냈다. 네티즌들은 "미국의 제재가 더욱 강해지고 있다" "해도 해도 너무한다" "미국에 반격할 수단은 없는 것인가" 등의 반응을 내놓고 있다.

미국, 중국 국기 일러스트 이미지. [사진=로이터 뉴스핌]

ys174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트럼프 주니어, 내주 방한…정용진 초청 [서울=뉴스핌] 남라다 조민교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가 다음주 한국을 방문한다. 이는 사이가 각별하다고 알려진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의 초청으로 이뤄졌다. 23일 재계 등에 따르면 트럼프 주니어는 다음주 중 한국을 찾을 예정이다. 그는 방한 후 정용진 회장 등 재계 인사들을 만나 트럼프 정부와 가교 역할을 할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참석을 위해 지난 18일(현지시간) 워싱턴을 찾은 신세계그룹 정용진 회장(가운데)이 트럼프 주니어(왼쪽)와 만나 부인 한지희씨(오른쪽)를 소개 후 반갑게 사진을 찍었다. [사진=신세계그룹] 트럼프 주니어의 초청은 '절친'으로 알려진 정용진 회장이 주도한 것으로 확인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현재 한국에 대한 관세 부과를 유예했지만,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수출기업과 유관 단체들의 불안감이 커지는 상황이다. 이에 정 회장이 지난주 미국을 찾아 트럼프 주니어와 만나 한국 기업들의 우려를 전달하며 방한을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세계그룹 관계자는 "다음 주, 트럼프 주니어가 정용진 회장 초청으로 방한해 국내 주요 기업 인사를 만날 예정"이라며 "일정하고 장소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전했다. mkyo@newspim.com 2025-04-23 16:49
사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사건 전합 회부 [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전원합의체에 회부한 대법원이 22일 곧바로 심리에 들어갔다. 대법원 전원합의체(전합)는 이날 오후 2시부터 이 전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상고심 첫 합의기일을 진행하고 있다. [서울=뉴스핌] 이호형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가 22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리는 '대장동 배임 및 성남FC 뇌물 혐의' 1심 속행 공판에 출석 하고 있다. 2025.04.22 leemario@newspim.com 앞서 대법원은 이날 오전 이 전 대표 사건 2부에 배당하고 주심으로 박영재 대법관을 지정했다. 하지만 이후 조희대 대법원장이 이 전 대표 사건을 전원합의체에 회부했고, 첫 합의기일도 열리게 됐다. 전합은 종전의 판례를 바꾸는 등 사회적 파장이 큰 중요 사건을 다룬다. 대법원장이 직접 재판장을 맡고, 법원행정처장을 겸임하는 대법관을 제외한 나머지 대법관 12명 등 총 13명으로 구성된다. 단 이번 사건에선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을 맡고 있는 노태악 대법관이 회피신청을 했다. 이에 이 사건은 조 대법원장과 나머지 대법관 11명 등 총 12명이 심리할 전망이다. 이 전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이 전합에 회부되면서, 이 전 대표는 2020년에 이어 두 번째 전합 판단을 받게 됐다. 이 전 대표는 2016년 6월 성남시장으로 있으면서 보건소장, 정신과 전문의 등에게 친형을 정신병원에 강제 입원시키도록 지시하고, 2018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열린 TV토론회 등에서 친형을 강제 입원시키도록 지시한 적이 없다는 허위 발언을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그는 1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았으나 2심에선 벌금 300만원을 선고받았다. 하지만 2020년 7월 전합은 이 전 대표 사건을 7(파기환송)대 5(상고기각)로 무죄 취지 파기환송했고, 이후 파기환송심에서 무죄가 나온 뒤 그대로 확정됐다. 대법원이 본격적인 심리 절차에 들어가면서 이 전 대표 사건 선고 시점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공직선거법 사건은 '6·3·3원칙(1심 6개월, 2·3심 3개월)'을 준용하게 돼 있기 때문에 원칙대로라면 오는 6월 26일까지 선고가 나와야 한다. 하지만 같은 달 3일 대통령 선거가 예정돼 있고 이 전 대표가 유력 후보로 꼽히는 만큼, 이전에 결론이 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한편 이 전 대표는 지난 대선 과정에서 대장동 개발사업의 핵심 실무자였던 고(故) 김문기 전 성남도시개발공사 개발1처장 및 백현동 개발사업과 관련해 허위 발언을 한 혐의로 기소됐다. 이 전 대표는 1심은 이 전 대표가 방송 인터뷰에서 "해외 출장 중 김문기와 골프를 치지 않았다"고 한 부분과 국회 국정감사에서 "국토부 요구에 따라 어쩔 수 없이 (백현동 한국식품연구원 부지) 용도변경을 해준 것"이라는 취지로 말한 부분이 허위사실에 해당한다며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하지만 2심은 해당 발언들이 모두 허위사실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1심 판단을 뒤집고 무죄를 선고했다. 이에 검찰은 "법원의 판단은 피고인의 발언에 대한 일반 선거인들의 생각과 너무나도 괴리된 경험칙과 상식에 부합하지 않는 판단으로 공직선거법의 허위사실공표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며 상고를 제기했다. hyun9@newspim.com 2025-04-22 15:23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