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GAM] ① 트럼프 리스크에는 배당 성장주가 '답' 월가 톱픽은

기사입력 : 2025년02월06일 14:01

최종수정 : 2025년02월06일 16:47

비자 '어닝 서프라이즈'
최고치 랠리, 더 간다
배당-성장 다 갖췄다

이 기사는 2월 5일 오후 1시18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황숙혜 기자 =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 이후 금융시장이 요동치자 월가는 안정적인 배당 성장주의 비중을 확대하는 전략을 추천한다. 투자은행(IB) 업계가 제시하는 톱픽은 비자(V).

궁극적으로 주식 투자의 성패는 투자 종목의 중장기 이익 성장에 달렸다는 점에서 비자가 주식시장의 여건과 무관하게 길게 보고 보유할 만 하다는 의견이다.

대표적인 블루칩으로 꼽히는 비자는 다우존스 30개 종목 가운데 하나다. 1958년 창사한 비자는 지난 2015년 중국 유니온페이에 전세계 신용카드 시장의 1위 자리를 뺏겼지만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 최대 규모의 결제 플랫폼 업체다.

지난 10년간 비자는 400%를 웃도는 주가 상승 기록을 세웠다. 장기 투자자들에게 쏠쏠한 수익률을 제공한 셈이다. 여기에 안정적인 배당 수익률도 비자의 투자 매력으로 꼽힌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업체는 2024년까지 16년 연속 배당 인상을 실시했다.

2월3일(현지시각) 장중 기준 비자 주가는 351.25달러까지 오르며 사상 최고치 기록을 세운 뒤 4일 완만하게 하락하며 345.15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월가는 추가 상승을 점친다. 최근 주가 랠리가 2024년 4분기 실적 호조에 따른 결과로, 지속적인 이익 성장이 예상된다는 의견이다.

비자 카드 [사진=블룸버그]

지난 분기 업체는 95억1000만달러의 매출을 올렸다. 전년 동기 대비 10.15% 급증한 수치다. 같은 기간 일회성 요인을 감안한 순이익은 54억6000만달러, 주당 2.75달러로 11% 늘어났다. 매출액과 순이익은 모두 월가의 예상치를 각각 3.34%와 1.83% 웃돌았다.

시장 전문가들은 4분기 결제 건수가 전년 동기에 비해 9% 급증한 데 커다란 의미를 실었다. 아울러 국제 결제가 16% 늘어났고, 거래 처리 규모가 11% 늘어나면서 비자의 시장 지배력을 확인시켰다는 평가다.

해외 시장에서 결제 건수가 4분기 11% 증가해 미국 시장에서 성장률 7%를 크게 앞질렀다. 해외 비즈니스의 지배력이 강화될수록 이른바 네트워크 효과가 커지는 선순환을 일으킬 전망이다. 네트워크 효과는 서비스 이용이 늘어날수록 신규 이용자가 유입되고, 다시 서비스 이용이 상승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비자 5년 주가 추이 [자료=블룸버그]

월가가 연초 비자를 추천하는 데는 단순히 실적 향상 때문만이 아니다. 업체의 비즈니스가 거시경제 사이클에 비교적 덜 민감하고, 때문에 관세를 포함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리스크에 따른 타격이 상대적으로 작다는 판단이다.

소위 개방형(open-loop) 결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 구조도 비자의 강점에 해당한다. 폐쇄형(closed-loop) 모델을 채택한 경쟁 업체인 아메리칸 익스프레스의 경우 자사 카드를 직접 발급하고, 카드 회원에 대한 연회비나 가맹점 수수료 및 이자를 높게 부과한다. 수수료를 포함한 비용에 대한 통제력도 크다.

반면 비자는 모든 신용 리스크를 은행에 전가하는 구조다. 자사 카드를 직접 발행하지 않고 브랜드를 제공해 파트너십을 체결한 은행이나 그 밖에 금융회사가 카드를 발행하는 형태다. 대신 은행은 비자의 거대한 결제 네트워크를 이용한다. 비자는 은행과 카드 회원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을 하는 셈이고, 성장이 유리하다.

비자의 비즈니스 구조는 경쟁 업체에 비해 높은 이익률을 올리는 효과를 가져왔다. 4분기 업체가 95억1000만달러의 매출을 창출하는 사이 영업 비용은 32억8000만달러에 불과했다. 이 때문에 영업이익률이 65.6%에 달했다. 매출 1달러 당 약 3분의 2를 영업 이익으로 남긴 셈이다. 뿐만 아니라 매출총이익률은 무려 97.83%에 달했다.

지난 2019~2024년 사이 비자는 연평균 9%의 매출 성장을 이뤘고, 주당순이익(EPS)은 13%에 달하는 성장을 나타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팬데믹 사태와 지정학적 리스크, 인플레이션 급상승과 금리 뜀박질까지 굵직한 악재가 속출했던 기간에 탄탄한 이익 성장을 달성, 거시경제 사이클 뿐 아니라 '블랙 스완'에 대한 내성을 확인시켰다.

강력한 비즈니스 모델은 비자의 향후 수 년간 실적 성장에 대해서도 낙관하게 한다. 투자은행(IB) 업계는 2025~2028년 사이 비자의 매출액과 주당순이익(EPS)이 각각 연평균 10%와 13% 늘어나는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업체의 외형 성장은 여전히 진행중이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비자는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X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소셜 미디어 업체 X가 디지털 금융 서비스를 확대하고 나서면서 비자와 손을 잡은 것.

비자는 X 이용자들이 디지털 지갑에 자금을 채울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한편 체크카드와 연계해 이른바 X 머니(X Money) 이용자들 사이에 금융 거래가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지속적인 기술 혁신이 비자의 시장 지배력과 이익 성장의 비법이라고 월가는 강조한다.

적극적인 주주 환원도 비자의 투자 매력에 해당한다. 경영진은 이익이 급증하는 만큼 자사주 매입과 배당 인상으로 주주들의 투자 수익률을 제고하는 데 커다란 관심을 보인다.

주요 외신에 따르면 업체는 매 분기 자사주 매입과 배당 지급에 각각 39억달러롸 12억달러에 달하는 자금을 투입하고 있다.

비자의 배당 수익률이 1%를 밑돌지만 실상 자사주 매입을 통해 주주들에게 대규모 자금을 환원하고 있다고 월가는 강조한다. 자사주를 전혀 매입하지 않고 해당 자금을 배당 지급에만 할애한다면 배당 수익률이 3.1%에 이른다는 계산이 나온다.

4분기 실적 호조에 따라 비자 이사회는 분기 배당금을 13% 인상하는 방안을 승인했다. 16년째 4분기 실적 발표 후 배당을 올린 셈이다. 이에 따라 주당 배당금은 0.59달러로 상승했다.

미국 온라인 투자 매체 식킹알파는 비자가 꾸준히 배당을 인상해 배당 귀족주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 귀족주는 25년 연속 배당을 올릴 때 주어지는 수식어다.

사실 배당보다 월가가 의미를 두는 부분은 자사주 매입이다. 최근 주가가 사상 최고치로 치솟으면서 밸류에이션 부담이 부각된 상황에 자사주 매입은 투자자들에게 보다 현실적인 반사이익을 제공한다는 설명이다.

업계에 따르면 12개월 예상 실적을 기준으로 한 비자의 주가수익률(PER)은 30배를 넘어섰다. 이는 과거 5년 평균치를 웃도는 수치다.

하지만 업체가 공격적인 자사주 매입을 지속하고 있어 밸류에이션 부담을 경감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자사주를 매입하면 유통 주식 수가 줄어들고, 다른 조건이 같을 때 주당순이익(EPS)이 상승하는 한편 주가수익률(PER)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가져온다.

시장 전문가들은 강력한 잉여현금흐름(FCF)과 높은 이익률이 앞으로 비자의 주가 상승에 힘을 실어줄 뿐 아니라 자사주 매입 여력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한다.

 

shhwang@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비트코인 하락세는 '블랙록의 배신' 탓 [서울=뉴스핌] 한태봉 전문기자 = 암호화폐 대통령을 자처했던 도널드 트럼프 취임일(1월 20일)에 비트코인 가격은 1억6000만원을 돌파하며 신고점을 기록했었다. 이후 2개월 간 비트코인 가격은 1억2000만원까지 폭락했다. 고점대비 하락률이 무려 -25%에 달한다. 이에 비관론자들 중심으로 암호화폐 시즌이 끝났다는 부정적인 의견이 팽배하다. ◆ 블랙록 IBIT 비트코인 ETF 자금유출에 공포감 확산 마침 작년 1월부터 1년 이상 꾸준히 순매수를 기록해 왔던 비트코인 현물 ETF도 올해 2월부터 순매도로 전환되면서 비트코인 폭락 의견에 힘이 보태지는 모습이다. 특히 그 동안 순매수를 주도해 왔던 블랙록 IBIT(아이 셰어즈 비트코인 신탁) ETF에서의 자금 유출에 시장 참여자들의 공포감은 상당하다. 지난 2024년 11월 5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이 확정되기 전에도 이미 비트코인 현물 ETF로는 상당한 투자금이 몰려들었다. 반면 이미 오래전부터 비트코인 신탁 형태로 투자가 이뤄진 GBTC ETF에는 차익실현 대기 물량이 많았다. 따라서 비트코인 ETF 상장 후 무려 29조2000억원(201억달러)이라는 어마어마한 자금이 유출됐다. 그 공백을 여유있게 매워준 게 바로 블랙록의 IBIT와 피델리티의 FBTC ETF다. 특히 블랙록의 IBIT ETF는 불과 10개월만에 37조9000억원(261억달러)을 사들이며 시장의 낙관적 전망에 불을 붙였다. 이 당시 투자자들 사이에서 광범위하게 퍼졌던 믿음은 "블랙록은 비트코인을 팔지 않는다"는 확신이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 그런 믿음은 사라졌다. 2025년 2월과 3월에 2개월 연속으로 블랙록의 IBIT ETF에서 자금 유출이 일어난 탓이다. 2월에는 1조1000억원, 3월에는 18일까지 3000억원 규모의 자금이 빠져나갔다. 이렇게 보면 많은 것 같지만 그동안 블랙록 ETF에 유입된 자금이 총 57조3000억원(395억달러)이다. 반면 최근 2개월간 유출 자금을 다 합쳐도 고작 1조4000억원에 불과하다. 트럼프 당선이 확정된 2024년 11월에 8조1000억원, 12월에 8조원으로 2개월 연속 막대한 자금이 유입된 점을 감안하면 최근의 유출 규모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 또 블랙록 ETF에 3월 17일(610억원)과 18일(3160억원)에 2일 연속 자금이 다시 유입된 점도 주목할 만한 변화다. 분위기가 다시 반전될 조짐이 보인다. 또 엄밀히 말하자면 최근의 자금 유출은 전 세계 1위 운용사인 블랙록이 비트코인을 매도한 게 아니다. 블랙록 IBIT ETF에 투자했던 일부 개인과 기관 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을 매도했다. 여전히 전 세계 수많은 기관투자자들은 비트코인 ETF에 투자 중이다. 최근의 비트코인 하락 공포감이 과도하다는 지적을 받는 이유다. ◆ 올해 기관투자자 매수 본격화될 가능성 커 11개의 비트코인 ETF 중 보유량 1위는 블랙록의 IBIT ETF다. 보유 비트코인 평가금액은 68조3000억원(471억달러)이다. 총 발행가능 비트코인 물량의 2.7%인 56만8000여개를 보유 중이다. 보유량 2위인 피델리티의 비트코인 보유 규모는 23조5000억원(163억달러)이다. 전체 비중의 0.9%인 19만6000여개를 보유 중이다. 반면 지속적으로 차익실현 물량이 출회됐던 GBTC ETF는 비트코인 보유순위 3위로 내려앉았다. 11개 비트코인 현물 ETF의 전체 비트코인 보유 수량은 112만개로 전체 물량 중 5.3%에 달한다. 비트코인 총 발행가능물량이 2100만개에 불과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적지 않은 규모다. 또 비트코인은 주식과 달리 유ㆍ무상 증자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인위적으로 수량을 늘릴 수 없는 희소한 자산이다. 최근 2개월간의 자금유출에도 기대되는 이유는 작년 4분기의 '13F 보고서' 제출 결과 때문이다. 운용자산 1억달러 이상 기관투자자들이 의무 제출해야 '13F 보고서'를 보면 초대형 금융기관과 국부펀드들이 대거 등장한다.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국부펀드, 영국 바클레이스, 미국 골드만삭스 등 전 세계 1570여개 기관투자자가 비트코인 ETF를 편입했다.   최근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베이스(Coinbase)가 약 350여개의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약 83%의 기관투자자가 암호화폐를 이미 보유하고 있거나 올해말까지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비트코인의 가격 조정에도 불구하고 수급전망이 여전히 낙관적인 이유다.   ◆ 트럼프 마법 끝…오히려 비트코인 상승에 방해? 트럼프 대통령 취임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이 컸던 이유는 트럼프 스스로가 '암호화폐 대통령'을 자처했기 때문이다. 현재 미국 정부는 다양한 금융 범죄 수사 과정에서 압수한 비트코인 약 20만7000개를 보유 중이다. 트럼프는 취임 전 "이 비트코인을 물량을 팔지 않겠다"고 했다. 또 비트코인을 추가로 매수하는 '비트코인 국가 전략 자산 지정 계획'에 대해서도 밝혔었다. 하지만 취임 후 암호화폐 전략비축을 지시하는 행정명령에는 서명했지만 "보유 물량 외에 추가 자산을 확보하지 않을 것"이라는 발표로 시장에 큰 실망감을 안겼다. 더 큰 문제는 암호화폐 관련 이해상충 문제다. 현재 트럼프 대통령 가족이 관여하고 있는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LFI)'은 지금까지 약 8000억원(5억5000만달러)의 토큰을 판매해 막대한 이익을 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이 프로젝트는 탈중앙화가 완벽히 진행된 비트코인과 달리 이더리움, 리플, 솔라나에도 투자하고 있다. 공교롭게도 모두 트럼프가 향후 전략 비축할 것이라고 밝힌 암호화폐다. 트럼프가 비트코인보다 오히려 알트코인에 유리한 행보를 보이면서 비트코인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트럼프에 대한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또 추가로 트럼프 가족이 전 세계 1위 암호화폐 거래소인 바이낸스 미국 법인 인수도 추진한다는 내용이 알려지면서 이해상충 관련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트럼프가 암호화폐 시장의 건전한 발전보다 대통령의 지위를 이용해 가족 사업으로 돈을 벌려 한다는 의심의 눈초리가 커지고 있다. 데이비드 삭스 미 백악관 가상자산·인공지능(AI) 책임자가 공직을 맡기 전 이해상충 문제 해소하기 위해 보유 암호화폐를 전량 매도한 것과 비교하면 심각한 '모럴 해저드'라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 트럼프가 비트코인 상승에 도움이 되는 게 아니라 오히려 방해가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 8000만원 폭락 vs 1억6000만원 회복 의견 대립 비관론자 사이에서는 지난 3차 비트코인 반감기 사례를 대입해 비트코인이 직전 고점인 1억6000만원(한국 프리미엄 포함)에서 -50% 이상 폭락한 8000만원까지 하락할 수 있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이런 주장은 어떤 근거로 나온 걸까?  실제 지난 2020년 5월의 3차 반감기 당시 1000만원 밑이었던 비트코인은 1년 뒤인 2021년 4월에 최고점인 8000만원까지 치솟은 바 있다. 이후 3개월간 -55% 대폭락하며 2021년 7월에는 3500만원까지 하락했었다. 하지만 이후 4개월간 반등을 지속해 2021년 11월에는 다시 8000만원을 회복한 바 있다. 이렇게 쌍봉이 형성된 후 암호화폐 겨울과 함께 시즌이 종료됐었다. 비관론자들은 이번에도 비슷한 패턴이 이어질 경우 -50% 하락률을 대입해 비트코인이 8000만원까지도 하락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반면 낙관론자들은 이번 하락을 지난 2024년 1월의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당시의 조정과 비슷하게 보고 있다. 이 당시로 돌아가 보면 2024년 1월 초 비트코인 가격은 5500만원에 머물렀다. 그런데 1월 11일에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과 동시에 6500만원으로 1000만원 이상 급등한 바 있다. 하지만 뉴스 발표로 재료가 소멸되면서 차익실현 물량이 대거 나왔다. 이에 따라 열흘만에 다시 5300만원까지 재하락했다. 이후 불과 2개월 뒤인 2024년 3월에 2배 가까이 폭등해 1억원을 돌파했다. 낙관론자들이 가장 바라는 시나리오다. 이 시나리오가 현실화된다면 비트코인 가격은 조만간 다시 1억6000만원 이상으로 회복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 비트코인 ETF와 대형 금융기관 매수로 확장성 높아져 비관론자들의 주장대로 3차 반감기 시나리오를 대입한다 해도 희망이 없는 건 아니다. 만약 3차 반감기와 비슷하게 흘러간다면 이번 4차 반감기의 1차 고점은 2025년 1월의 1억6000만원이다. 이후 예상보다 조정폭이 깊어질 수는 있지만 약 7개월이 경과한 8월경에는 다시 전고점인 1억6000만원을 회복할 가능성이 있다. 지난 1, 2, 3차 반감기와 이번 4차 반감기와의 결정적인 차이점은 뭘까? 비트코인 ETF가 증시에 공식적으로 상장되면서 비트코인 ETF의 자금흐름은 모두 투명하게 공개되고 있다. 또 다른 차이점은 비트코인을 매수하는 기관 투자자와 연기금, 국부 펀드들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또 미국이라는 세계 1등 국가마저도 국가 단위에서 비트코인을 전략자산으로 비축한다는 점도 엄청난 변화다. 과거 투기성 상품으로 배척당해 왔던 비트코인의 지위가 크게 상승했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최근 트럼프 대통령 때문에 비트코인에 대한 관심이 미국에만 집중돼 있지만 비트코인은 전 세계적으로 탈중앙화된 유일한 자산이다. 미국 외에 중국, 러시아, 일본, 유럽, 한국 등 전 세계 모든 국가에서 비트코인이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 한국 또한 그 동안 금지돼 왔던 법인계좌 개설이 검토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한국에서 실제 법인계좌 개설이 허용될 경우 수 조원 이상의 자금이 신규 유입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 미국과 패권 경쟁 중인 중국은 달러보유를 줄이고 금을 매집하고 있다. 만약 비트코인을 금지했던 중국이 금을 사 모으듯이 비트코인을 매집하는 쪽으로 전략을 바꾼다면 수급 측면에서 큰 폭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비트코인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나라는 미국 외에도 다양하다. 최근의 비트코인 하락에도 투자 전문가들의 상승 전망은 여전하다. 아크 인베스트의 캐시 우드 CEO는 불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여전히 강세장에 있다고 생각한다"며 "트럼프 행정부의 규제완화로 결국 비트코인에 기관투자자들의 자금이 유입될 것"이라는 낙관적인 전망을 유지했다. 그럼에도 뒤늦게 1억6000만원대에 비트코인에 투자한 한국 투자자들은 상당한 평가손실을 보고 있다. 비트코인은 주식이나 채권보다 훨씬 변동성이 큰 자산이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이 비트코인 보유 비중을 1~2%로 낮게 설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주장하는 이유다. longinus@newspim.com 2025-03-20 06:41
사진
트럼프, 20일 연방교육부 폐지 서명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현지시간 20일 연방 교육부를 폐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할 예정이라고 AP 통신이 백악관 관리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교육부가 돈만 허비하고 과격 분자, 광신자, 맑스주의자에 의해 오염돼 있다고 비판해왔다. 1979년 설립된 교육부를 해체하려면 의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명령을 통해 린다 맥마흔 교육부 장관이 교육부 폐쇄에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교육부의 권한을 각 주에 반환하도록 명령할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의 필수적인 서비스, 프로그램과 혜택은 계속 유지된다. 백악관은 타 부처에 이관하거나 폐지할 교육부 기능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맥마흔 장관은 2월 의회 인준 청문회에서 저소득층 학교에 지원하는 타이틀1(Title 1) 지원금, 저소득층 출신 대학생을 위한 Pell 장학금, 공공서비스 학자금 대출 탕감 프로그램(PSLF: Public Service Loan Forgiveness)은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미 자발적 퇴직, 인턴 직원 계약 종료 등 형식으로 교육부 인력을 감축했다. 12일 직원 1300명의 감원 계획을 추가로 발표했다. 감원이 완료되면 교육부 직원은 이전 4100명의 절반 수준으로 줄어든다. 앞서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정부효율부(DOGE)는 미국 학생의 학력 평가기관인 교육부 산하 교육과학연구소(IES:Institute of Education Sciences) 예산을 거의 9억 달러나 삭감해 버렸다.  교육부는 매년 수십억 달러를 학교에 지원하고 1.6조 달러 상당 연방 학자금을 관리한다. 연방 자금이 공립학교 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4% 정도로 비교적 적다. 연방자금은 집없는 학생을 위한 맥키니 벤토 프로그램이나 저소득층 지역 학교를 지원하는 타이틀 1 등 취약 학생들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에 사용된다. 트럼프 1기 정부 때 베치 드보스 교육부 장관은 교육부 예산을 대폭 삭감하고 모든 K-12 지원금을 통합해 주 정부의 연방자금 사용 재량권을 확대하려 했으나 일부 공화당 의원들의 반발로 무산된 적이 있다. 공교육 옹호자들은 교육부 폐쇄는 불공평한 미국의 교육 제도 아래서 수백만명의 어린이들을 낙오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 2025년 2월 11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아래)을 바라보는 일론 머스크 정부효율부(DOGE) 수장의 모습. [사진=로이터 뉴스핌] kongsikpark@newspim.com 2025-03-20 12:53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