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매출 7.9조 원·영업이익 4,915억 원 기록...전년 대비 각각 4.2%·6.6%↑
올해 '오픈AI 협업'을 통한 B2C AI 서비스 확대
상반기 중 AI 메이트 '카나나' 정식 출시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카카오가 올해 카카오톡과 AI를 양대 축으로 한 신성장 전략을 본격화한다. 발견 영역 신설을 통해 카카오톡 체류 시간을 20% 이상 늘리고, 오픈AI와의 협업으로 다양한 AI 서비스를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13일 열린 2024년도 4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 콜에서 "올해는 카카오의 체질을 변화시키면서 현재 당면한 위기와 변화의 환경을 새로운 성장의 기회로 만드는 것이 필요한 시기"라며 "카카오만의 AI 기술이 집약된 신규 기능과 서비스를 선보이고 이용자들이 관심사 중심의 콘텐츠를 탐색할 수 있는 새로운 지면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정신아 대표는 먼저 카카오톡의 변화를 강조했다. 정 대표는 "카카오톡은 이용자가 다양한 콘텐츠를 발견하고 탐색할 수 있는 발견 영역을 출시할 예정"이라며 "이미지, 동영상, 쇼핑과 같이 이용자가 소비할 수 있는 다양한 포맷의 콘텐츠가 피드 형태로 제공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카카오 로고. [사진=카카오] |
AI 서비스 확대도 본격화한다. 카카오는 올해 상반기 중 카카오톡 내 'AI 메이트'를 정식 출시할 계획이다. 정 대표는 "AI 메이트는 이용자와 상호작용하며 다양한 요청을 분석하여 추천해 주는 형태로 기존 서비스들을 강화할 수 있는 진입점이 될 것"이라며 "AI 메이트 쇼핑은 이용자의 니즈에 맞게 초개인화된 선물이나 자기 구매를 위한 상품을 추천해 주면서 톡 내 커머스의 전환율을 높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픈AI와의 공동 서비스 개발도 추진한다. 정 대표는 "이번 전략적 협업은 단순 모델 관련 제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양사 간 공동 서비스 개발까지 포함하고 있다"며 "카카오는 메신저뿐만 아니라 커머스, 모빌리티, 콘텐츠, 금융까지 이용자의 일상 전반에 걸친 다양한 서비스에서 국내 가장 많은 이용자를 보유하고 있고 이를 기반으로 국내 이용자들에 대한 깊은 이해를 해왔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카카오는 올 상반기 중 AI 메이트 '카나나'의 이용자 CBT(비공개 테스트)도 진행한다. 정 대표는 "카나나는 그룹 채팅방 환경에서 여러 명의 사람이 AI 메이트인 카나나와 다대일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별화된 이용자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카카오는 지난해 실적으로 전년 대비 각각 4.2%, 6.6% 증가한 매출 7조 8,738억 원, 영업이익 4,915억 원을 기록했다.
신종환 카카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와 관련해 "티메프 사태로 인한 카카오페이의 일회성 대손상각비를 조정할 시, 연간 영업이익은 5,230억 원으로 전년보다 13.5% 증가하며 영업이익률 또한 6.6%로 상승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올해 1분기 실적 전망에 대해서는 매출 부진을 예상했다. 신 CFO는 "플랫폼 부문의 계절적 비수기가 콘텐츠 부문의 IP 출시 주기의 최저점과 맞물리면서 연결 매출이 부진할 것으로 우려된다"면서도 "2분기부터는 톡비즈의 핵심 매출원인 비즈니스 메시지와 선물하기가 견조한 성장을 이어가는 가운데 광고에 우호적인 계절성이 회복되면서 수익성이 가파르게 회복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간 전망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신 CFO는 "핵심 사업인 톡비즈의 경우 상반기는 카카오톡 발견 영역과 신규 AI 서비스를 준비하는 기간인 만큼 다소 완만한 성장세를 보이겠지만, 하반기부터는 신규 서비스 출시를 통한 펀더멘털 강화가 재무 성과로 가시화되면서 광고에서는 두 자릿수 성장을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