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채 막힌 업체들 ABSTB로 수천억 급전 조달
LG디스플·효성·롯데케미칼 등 올해 수천억 발행
등급별 발행금액 제한 없어 자금 조달 수단 활용
신용등급 2단계 하락시 조기상환 '강제상환옵션'
[서울=뉴스핌] 김연순 기자 = 회사채 시장에서 자금조달이 어려워진 업체들이 또 다른 자금 조달 통로로 자산을 기초 자산으로 한 유동화증권 전자단기사채(ABSTB)를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업체들의 무보증 회사채 신용등급은 A, A+로 공모채 시장에서 자취를 감춘 업체들이 대부분이다. ABSTB는 홈플러스 사태로 주목받은 단기사채다. 단기사채 신용등급은 정상적인 수준이지만 유동성 문제가 불거진 업체들도 있어 리테일시장에서 ABSTB 투자에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7일 뉴스핌이 한국신용평가 등을 통해 'ABSTB 기초자산 현황'을 종합 분석한 결과, 올해 들어 지난 21일까지 LG디스플레이(단기 신용등급 A2)는 총 다섯 차례에 걸쳐 3328억원의 ABSTB를 발행했다. LG디스플레이는 지난 2022년 2월 4450억원의 '공모채' 발행 이후 회사채 시장에 나오지 않고 있다. 현재 회사채 발행 잔액은 3350억원 수준이다.
특히 LG디스플레이는 2023년 1월 770억원 규모의 '사모' 회사채를 발행하면서 강제 상환옵션을 내건 것으로 알려졌다. 통상 강제상환 옵션은 LG디스플레이의 발행 당시 신용등급(A+)보다 2개 등급 이상 떨어질 경우 조기 상환해야 하는 조건이다.
LG디스플레이는 지난해에도 1조원이 넘는 ABSTB를 발행했는데, 조기 상환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1조원이 넘는 유동화증권을 리테일 시장에 팔았다는 지적이 제기되기도 했다. 현재 LG디스플레이의 무보증 회사채 신용등급은 A0으로 발행 당시(A+)보다 한단계 떨어진 상황이다.
![]() |
최근 구조조정 이슈로 자금 조달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진 롯데케미칼(단기등급 A1)도 올해 들어 여섯 차례에 걸쳐 2165억원의 ABSTB를 발행했다. 롯데케미칼은 2023년 9월 2500억원 규모의 공모채(AA) 발행이 마지막이다. 지속된 석화업계 부진과 지난해 기한이익상실(EOD) 사태 여파로 롯데케미칼은 공모채를 비롯한 만기 1년이 이상의 자금 조달이 어려운 상황이다. 지난해 상반기 롯데케미칼 신용등급 전망은 기존 'AA(안정적)'에서 'AA(부정적)'으로 하향됐다.
롯데케미칼은 올해 들어 ABSTB 뿐 아니라 1월에는 1500억원의 CP(기업어음)를 발행했고, 5000억원 규모의 전자단기사채(전단채) 한도도 확보한 상태다.
단기 차입금 상환 압박에 부동산 매각에 나선 롯데건설(단기등급 A2+)도 올해 들어 1004억원의 ABSTB를 발행했다. 롯데건설도 지난해 10월 1680억원의 공모채(A+)를 발행한 이후 회사채 시장에서 자취를 감췄다. 롯데건설 역시 올해 들어 2650억원의 CP와 550억원의 전자단기사채를 발행한 상태다.
효성그룹 계열사 중에선 HS효성첨단소재, 효성티앤씨, 효성중공업의 ABSTB 발행이 눈에 띈다. HS효성첨단소재(단기등급 A2)는 지난해 11월 910억원 규모의 공모채(A)를 마지막으로 발행한 이후 올해 들어 CP와 ABSTB로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 올해 들어 발행한 CP는 3700억원, ABSTB는 600억원을 넘어선다.
효성중공업(단기등급 A2)은 지난해 3월 300억원의 공모채(A) 발행이 마지막이다. 올해 5500억원의 CP와 함께 880억원의 ABSTB를 발행했고, 효성티앤씨(단기등급 A2+)는 지난달 24일 1000억원 규모의 첫 회사채(A+) 발행 전까지 올해 들어서만 1000억원이 넘는 ABSTB(A2+)를 발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포스코이앤씨(단기등급 A2+)도 지난해 3월 1550억원 규모의 공모채(A+)를 발행한 이후 회사채 시장에서 자취를 감춘 업체 중 하나다. 포스코이앤씨는 올해 들어 여섯 차례에 걸쳐 2600억원의 ABSTB를 발행했다. 올해 들어 현대건설 (단기등급 A1)이 총 7700억원의 가장 많은 ABSTB를 발행했고, 한화솔루션(단기등급 A1)과 한화임팩트(단기등급 A1)도 각각 2664억원, 1869억원의 ABSTB를 발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B는 대부분 만기가 빨리 도래하지만 상대적으로 조달 비용이 저렴하고 신용등급에 따른 발행금액 제한도 없어 급전이 필요한 기업들의 자금조달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다만 ABSTB를 대규모 발행한 업체 중에는 유동성 문제가 이슈가 된 업체들도 있어 이들이 발행한 ABSTB 투자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홈플러스가 대표적이다. 홈플러스는 지난달 28일 단기채발행 신용등급이 'A3'에서 'A3-' 등급으로 강등된 이후 결국 지난 4일 기업회생절차에 들어가면서 홈플러스 단기사채 신용등급은 'D'까지 떨어져 사실상 휴지 조각이 됐다.
IB업계의 한 관계자는 "A등급 회사채의 경우 실적과 재무 상황이 개선되지 않으면 회사채 시장에 복귀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신용등급이 A급인 회사들을 중심으로 대체시장을 찾아 유동화증권과 CP를 발행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한편 금융당국이 지난해 1월 시행된 개정 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에서 기업구매카드 유동화증권의 의무 보유(5%룰)를 면제하면서 비우량 기업들의 무분별한 자금조달 통로로 이용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관련 개정안은 유동화증권 기초자산 부실 위험 관리를 위해, 자산보유자 등 자금조달 주체가 유동화증권 지분을 일부(5%) 보유토록 의무화하는 제도다. 하지만 시행을 앞두고 지난 2023년 말에 5% 의무보유조항 대상에서 기업구매카드 유동화증권 등이 삭제됐다.
y2ki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