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국민 1000명 대상 민생안정 대책 설문조사
[서울=뉴스핌] 김아영 기자 = 최근 국민들이 느끼고 있는 가장 큰 경제적 어려움은 '물가'이고,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최우선 대책도 '물가 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민생경제 안정을 위한 대책' 설문조사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20일 밝혔다.
![]() |
[그래프=한경협] |
민생경제의 가장 큰 어려움을 묻는 질문에서 국민 과반(53.5%)은 '고물가 및 생활비 부담 증가'를 꼽았다. 다음으로는 일자리 문제 및 고용불안(11.3%), 주거비 상승 및 전·월세 부담 증가(10.0%), 경기 둔화 및 내수 위축(7.2%), 소득 정체 및 실질임금 감소(6.8%) 등을 지적했다.
한경협은 최근 들어 소비자물가가 2% 초반의 안정세를 유지하고는 있으나, 누적기준으로 보면 고물가는 장기화되고 있어 국민들이 체감하는 물가수준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소비자물가지수가 개편된 2020년(지수=100)을 4년여 전후한 기간을 비교해보면, 직전 4년인 2016년(95.78)에서 2020년(100)까지 물가상승률은 4.4%였지만 2020년(100)부터 2025년 4월(116.38)까지는 16.4% 상승했다.
국민들이 가장 바라고 있는 민생회복 과제는 '물가 안정'(60.9%)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서 양질의 일자리 창출(17.6%), 주거 안정(9.5%), 지역경제 활성화(7.8%), 취약계층 지원 강화(3.8%) 등의 순이었다.
조사결과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물가 안정'은 56.3%(30대)~64.9%(50대)의 응답비율로 모든 연령대가 민생회복 1순위 과제로 꼽았다. 특히 50대의 응답 비율이 64.9%로 가장 높았다.
물가 안정을 제외할 경우 20대 이하(23.0%)와 50대(19.3%)의 경우 '양질의 일자리 창출', 30대에서는 '주거 안정(16.9%)'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16.9%)'의 응답 비중이 타 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 |
[자료=한경협] |
한경협은 신규취업·재취업 수요가 큰 20대·50대, 그리고 결혼 후 주택구입 시기인 30대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했다.
민생회복 1순위 과제인 물가 안정을 위해 정부가 우선적으로 추진할 정책에 대해서는 '농축산물·생필품 가격 안정(35.9%)'이 가장 많이 지적되었다. 이어 공공요금(전기·가스·수도) 부담 경감(21.8%), 환율 변동성 완화·수입 물가 안정(17.2%), 세금 부담 완화·생활비 지원 강화(17.1%), 에너지·원자재 가격 안정(7.8%) 등을 꼽았다.
민생회복 2순위 과제인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우선 정책과제로는 '청년·여성·고령층 맞춤형 고용 지원 강화'라는 응답(31.9%)이 가장 많았다. 이어 첨단산업·신성장 동력 분야 일자리 창출(21.0%), 노동시장 개혁·근로환경 개선(20.6%), 중소기업·스타트업 육성을 통한 고용 확대(20.0%)를 지적했다.
한편 공공·사회서비스 일자리 확대(6.4%)는 응답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민생회복 3순위 과제인 주거 안정을 위한 우선 정책과제로는 '주택공급 확대·부동산 시장 안정'의 응답 비율(36.3%)이 가장 높았다. 이어, 전·월세 가격 안정·세입자 보호 강화(27.4%), 주거 취약계층 지원 확대(16.1%), 주택금융·세제지원 확대(13.2%), 도시 재생·주거 환경 개선(6.7%) 등으로 조사됐다.
'주택공급 확대·부동산 시장 안정화'에 대한 거주지별 응답비율을 비교해보면 수도권 39.6%, 비수도권 33.5%로 수도권 거주자들이 주택공급 확대를 더욱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들은 민생회복 4순위 과제인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우선 정책으로는 교통·물류망 등 인프라 개선(31.4%), 지역 관광·전통시장 활성화(23.1%), 혁신기업의 유치(20.1%) 등을 꼽았다.
또한, 민생회복 5순위 과제인 소상공인·중소기업 등 취약계층을 위한 우선 정책으로는 내수 활성화·판로 지원(27.1%), 세제 감면·경영 부담 완화(25.8%), 금융지원·대출 부담 완화(25.4%) 등을 지적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고물가와 경기침체 장기화로 국민들의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체감물가와 직결되는 식료품·생필품 가격 안정을 위해 농산물 수입선 다변화, 유통구조 개선 등에 노력하고 민간의 일자리 창출 여력 확충으로 가계의 소득창출 능력을 제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ay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