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실적 양대 호재 속 재조명 '신역성통신기술'
AI 컴퓨팅파워 수요 상승 전망에 따른 거대 수혜 기대
올해 상반기 순익 최대 384.54%↑, 세 자릿수 성장세
고성장 이면의 잠재리스크, 3대 밸류 시나리오 진단
이 기사는 7월 18일 오후 4시46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인공지능(AI) 시대, 늘어나는 광모듈 수요에 힘입어 고성장 기대주로 주목을 받아온 중국 대표 광학엔진(광모듈) 연구개발업체 신역성통신기술(新易盛∙Eoptolink 300502.SZ)이 다양한 호재성 이슈들로 다시금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세계 최대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NVIDIA)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제재로 차단됐던 중국 수출용 인공지능(AI) 칩 'H20'의 대중국 판매를 재개할 것이라는 소식으로 광모듈 수요 확대 기대감이 커진 가운데, 최근 공개된 우수한 상반기 실적 전망이 신역성통신기술의 펀더멘털(기초체력)을 다시금 입증하며 상승모멘텀을 더해줬다.
신역성통신기술은 'AI+광모듈+차세대 광모듈 패키징 기술인 CPO(Co-Packaged Optics)+5G' 등 다수의 최신 인기 투자키워드에 연계돼 있는 종목으로, 이는 주가를 끌어 올리면서 올해 들어서만 배(100%) 이상의 주가 상승세를 기록 중이다.
현지 전문기관들은 신역성통신기술의 실적이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며 추가적인 주가 상승과 밸류에이션 재평가의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내린다.
다만 고성장 이면에 존재하는 여러 잠재 리스크들을 고려할 때 실적 성장이 제한될 수도 있는 만큼, 올해 남은 2개 분기 동안의 실적을 지속 관찰해야 한다는 평가다.
◆ 양대 호재성 이슈 등장, 상승모멘텀 확대
최근 미국 정부는 엔비디아가 중국 수출을 위해 개발한 저사양 AI 칩인 H20의 중국 수출을 승인했다. 미국이 중국 압박을 위해 올해 4월 AI 칩의 중국 수출을 전면 금지한 후 3개월 만이다.
이는 중국 국내 AI 컴퓨팅 파워 능력 부족 우려를 해소해줄 뿐 아니라, 광모듈 수요의 2차 급증을 촉진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키웠고, 중국증시에서는 광모듈과 CPO를 비롯한 관련 테마주의 상승세로 이어졌다.
이는 중국 광모듈 업계 리더기업이자 광모듈∙CPO 테마주를 대표하는 신역성통신기술에 상승모멘텀을 한층 더 부여하는 계기가 됐다.
![]() |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5.07.18 pxx17@newspim.com |
신역성통신기술에 시장의 이목을 집중시킨 또 하나의 이슈는 최근 공개된 상반기 실적이다.
이달 14일 저녁 신역성통신기술이 공개한 올해 상반기 예상 성적표에 따르면 순이익은 37억~42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7.68%~385.47%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1분기 영업수익(매출)과 순이익 증가율 264.13%와 384.54%를 기록한 이후 세 자릿수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지난해에도 신역성통신기술은 시장의 예상을 웃도는 우수한 실적을 기록했다. 매출과 순이익은 전년 대비 각각 179.15%와 312.26% 늘었다.
이처럼 우수한 실적 성장세에는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전세계 AI 컴퓨팅 파워에 대한 투자가 한 몫을 하고 있다.
메타(Meta), 구글 등 4대 클라우드 업체가 공개한 2025년 자본 지출 계획은 2972억 달러로, 전년 대비 36.8% 늘어났다. 이는 향후 빠르게 늘어날 AI 컴퓨팅 파워 수요에 대한 업계 인식의 보편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광모듈 업계의 실적 확대로 직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 |
[사진 = 신역성통신기술 공식 홈페이지] 신역성통신기술이 개발한 1.6T 광트랜시버 제품. |
신역성통신기술의 제품 라인에서도 실적 성장의 가능성을 포착할 수 있다.
광트랜시버 전문 시장조사업체인 라이트 카운팅(Light counting)에 따르면 신역성통신기술이 생산하는 800G 고속 광모듈 제품의 글로벌 시장점유율은 40%를 넘는다. 올해 상반기에는 엔비디아에 단가가 더 높은 1.6T 광모듈 샘플도 납품했다.
신역성통신기술 제품라인에서 매출총이익률(GPR,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뺀 마진율)이 48.7%에 달하는 고마진 제품 비중이 늘어나면서, 실적 성장률이 매출 성장률을 훨씬 웃돌고 있다.
이는 첨단 제조업이 제공하는 기술 프리미엄을 반영한 결과로 풀이된다. 시대가 요구하는 초고속∙고효율 광모듈 개발 기술력에서 우위를 보유하고 있는 신역성통신기술의 실적 성장세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이 큰 이유다.
◆ AI 컴퓨팅 파워 니즈에 부합하는 기술력
2008년 청두(成都)시에 설립된 신역성통신기술은 중국을 대표하는 광모듈 솔루션 제공업체로 광모듈과 광부품 연구개발∙생산∙판매에 주력하고 있다.
2016년 선전증권거래소 하의 중소기업 전용시장인 창업판(創業板∙촹예반)에 상장한 이후 본격적인 성장기를 맞이한 신역성통신기술은 AI 생성콘텐츠(AIGC) 산업의 고속발전과 함께 제2의 성장기를 맞이했고, 향후 본격적으로 확대될 초고속 광모듈 수요 속에 제3의 황금기 도래가 기대된다.
광모듈은 컴퓨터 연산 작업에 필요한 핵심 부품 중 하나로서 대표적인 미래 고성장 산업으로 꼽힌다.
AI와 디지털 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광모듈 기술은 고속화, 소형화, 핫스왑(운영중인 시스템 동작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황에서 장치나 부품을 교체하는 일)로 진화하고 있다. 고속화에 따른 비용 및 전력 소비 절감 능력이 뛰어난 실리콘 포토닉스(빛으로 정보를 송수신해 빠른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기술)와 LPO(선형 플러그형 광학장치, Linear-drive Pluggable Optics) 등의 기술 발전을 촉진하고 있다.
신역성통신기술이 보유한 최대 경쟁력은 단연 전면적인 광모듈 제품라인이다. 시대의 트렌드에 부합하는 최신 기술력이 탑재된 제품을 포함, 3000여개 종류의 제품라인을 구축한 상태다.
![]() |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5.07.18 pxx17@newspim.com |
매출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하는 주력 생산 제품으로는 크게 △지점간 광모듈 △수동형광학네트워크(PON, Passive Optical Network) 광모듈의 두 가지를 꼽을 수 있다.
해당 제품들은 광대역 통신망, 데이터센터, 통신 네트워크, 보안 모니터링, 스마트그리드 등 다양한 정보통신기술(ICT) 연계 다운스트림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초고속 데이터 처리가 요구되는 AI 연산 수요가 늘어나면서 최근 몇 년간 차세대 제품라인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그 결과 현재 신역성통신기술은 800G와 1.6T 광트랜시버(광송수신 모듈)로 대표되는 고성능∙고효율 광모듈을 제품라인의 최전방에 배치한 상태다.
![]() |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5.07.18 pxx17@newspim.com |
AI 시대 도래와 함께 1.6T와 3.2T 등 초고속 및 대규모 데이터 연산 처리가 가능한 고성능∙고효율 광모듈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결국 이러한 시대적 트렌드에 부합할 수 있는 기술 및 제품 경쟁력을 지닌 기업이 최대 수혜자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신역성통신기술의 성장성에 긍정적 평가가 이어지는 이유다.
<中 광모듈 대장주 '신역성'② 밸류 재평가 변곡점 도래할까>로 이어짐.
[본 기사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투자를 권유하거나 주식거래를 유도하지 않습니다. 해당 정보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pxx1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