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돌봄통합지원법 맞춤형 시스템 가동
주거, 보건, 일상 돌봄의 삼위일체 지원
[하동=뉴스핌] 남경문 기자 = 초고령 사회에 대응하기 위해 하동군이 '통합 돌봄서비스' 확대에 나섰다.
군민이 병원이나 시설이 아닌 자신이 살던 마을에서 존엄한 삶을 이어갈 수 있도록 지역 맞춤형 돌봄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 |
찾아가는 클린버스 [사진=하동군] 2025.08.26 |
군은 기존 옥종면(횡천·양보·북천·청암·옥종) 권역에서만 시행하던 '경남형 희망나눔 통합돌봄 시범사업'을 올해부터 군 전역으로 확대한다고 26일 밝혔다.
이 사업은 돌봄이 필요한 누구나 신청할 수 있는 보편적 복지사업이다. 대상자 중 장기요양 재가등급자,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이용자, 퇴원 환자 등 중점 관리대상자를 14% 이상 우선 선정해 지원한다. 선정 기준은 소득이 아닌 '돌봄 필요도'에 중점을 두고 맞춤형 복지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군은 이장,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자원봉사센터,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등 인적 기반과 복지 사각지대 발굴 시스템·복지위기 알림 앱·읍면 통합지원창구를 활용해 돌봄 수요자를 적극 찾아낼 방침이다.
제공 서비스는 ▲주거지원(통합돌봄센터, 찾아가는 클린버스, 주거환경 개선, 정리수납 교육)▲보건의료(퇴원 환자 건강용품, 경로당 건강프로그램)▲일상돌봄(건강식 지원, ICT 연계 인공지능 돌봄) 등이다.
군은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군민이 병원이나 시설에 의존하지 않고 지역사회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궁극적으로는 돌봄서비스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을 계획이다. 내년 3월 시행되는 '통합돌봄통합지원법'에 맞춰 조례 제정, 전담 조직 설치, 민·관 협의체 구성 등 '하동형 통합 돌봄체계' 구축에 속도를 낸다.
하승철 하동군수는 "통합 돌봄서비스는 나이가 들어도 자신의 집과 마을에서 존엄한 일상을 이어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적"이라며 "군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촘촘한 돌봄 체계를 완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