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노사 교섭 재개했지만 7년만 파업 가능성
HD현대重 노조, 9월 총파업 예고...마스가 프로젝트 차질 우려
[서울=뉴스핌] 정탁윤 기자 = 노란봉투법(노조 관계법 2·3조)의 국회 통과로 노조에 힘이 실리면서 국내 산업계 곳곳에서 노사 갈등 및 파업 분위기가 확산하고 있다. 현대차 등 자동차, 철강, 조선 등 수출 산업 전반에서 '추투(秋鬪)'가 예고된 상태다.
미국발 글로벌 관세 전쟁 및 글로벌 경기 침체로 기업들의 수익성이 크게 악화된 상황에서 노조의 파업마저 겹칠 경우 수출 전선에도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 현대차 노사 교섭 재개했지만 7년 만 파업 가능성
28일 재계에 따르면, 임금인상과 정년연장 등을 요구 중인 현대차 노조는 합법적 파업권을 얻으며 긴장감이 고조된 가운데 앞서 결렬됐던 노사 교섭이 지난 27일 재개됐다. 이날 교섭은 노조가 지난 13일 사측에 협상안 제시를 요구하며 교섭 결렬을 선언한 이후 14일 만에 재개된 것이다.
현대차 노조는 교섭에 앞서 중앙쟁의대책위원회를 열고 사측을 압박하는 차원에서 9월부터 연장근로와 토요일 특근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향후 회사가 조합원들을 설득할 만한 협상안을 제시하지 않으면 파업 일정도 논의할 계획이다. 현대차 노조가 실제 파업에 돌입하면 지난 2018년 이후 7년 만이다.
![]() |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조합원들이 27일 오후 서울 용산구 삼각지역 부근에서 '발전 비정규직 노동자 총파업 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집회 참석자들은 올해 말 태안화력 1호기를 시작으로 석탄화력발전소 폐쇄에 따른 고용 보장 방안을 요구했다. 2025.08.27 yym58@newspim.com |
기아는 이달 중순에 들어서야 본교섭에 돌입했다. 기아 노조는 주 4일제 도입, 지난해 영업이익 30% 상당의 성과급 등 현대차 노조보다 더 강도 높은 요구안을 내놓고 있어 험난한 협상이 예상된다.
현대위아 노조는 지난 26일 본교섭 3차 개최 만에 교섭 결렬을 선언했다. 현대차·기아는 지난해 부품업체 현대트랜시스 장기 파업으로 1조원에 달하는 생산 피해를 입기도 했다.
한국시장 철수설이 나오고 있는 한국GM 노조는 오는 29일까지 임금교섭 투쟁 승리를 위한 파업을 전개한다고 밝혔다. 사흘간 전반조, 후반조로 나누어 각각 4시간씩 파업을 진행한다. 다음 달 1일부터는 확대 간부를 대상으로 철야 농성에 돌입할 예정이다.
◆ HD현대重 노조, 9월 총파업 예고...마스가 프로젝트 차질 우려
한미 조선협력의 상징인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가 구체화하는 등 그 어느때보다 분위기가 좋은 조선업계에도 파업 전운이 감돌고 있다. 파업이 현실화할 경우 마스가 프로젝트에도 차질이 우려된다.
HD현대중공업 노조는 오는 29일 전 조합원이 참여하는 4시간 부분 파업에 돌입한다. 노조는 지난 26일 조합원 일부만 참여하는 부분파업을 시작으로 하계휴가 후 첫 파업을 재개했다. 노조는 지난달 조합원 찬반투표를 통해 합법적 파업권을 확보하고 파업을 벌인 바 있다.
HD현대중공업 노조는 "두 차례 파업을 통한 경고에도 29일까지 교섭이 타결되지 않을 경우 9월 총력 파업에 즉각 돌입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민주노총 산하 현대제철 비정규직지회는 지난 27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서강현 현대제철 대표이사 등을 파견법 위반 혐의로 고소하며 노사 갈등을 키우고 있다.
재계 한 관계자는 "글로벌 관세 전쟁이 한창인 와중에 노조마저 파업에 나설 경우 자동차와 조선, 철강 등 주요 제품의 생산 차질 및 수출 감소가 불가피할 것"이라며 "노조 활동도 시대에 맞게 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tac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