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8월 전기차 구매 희망자, 보조금 따라 수요 변동 뚜렷
BYD 'ATTO 3' 압도적 관심…중국 전기차 브랜드 급부상
[서울=뉴스핌] 이성화 기자 = 국내 전기차(EV) 시장이 정부의 보조금 정책 개편 영향을 받으면서 중국 브랜드 BYD의 약진이 두드러지고 있다.
3일 모빌리티 컨시어지 플랫폼 차봇 모빌리티는 지난 6월부터 8월까지 3개월간 자사 '차봇' 플랫폼을 통해 접수된 차량 구매 희망 고객의 견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2025 여름 전기차 트렌드'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 |
2025년 여름(6~8월) EV 트렌드, 주차별 EV 비중 및 인기 브랜드 순위. [사진=차봇 모빌리티] |
분석에 따르면 전기차 수요는 정부 보조금 정책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큰 변동성을 보였다. 전체 차량 견적 중 전기차 비중은 6월 16.2%, 7월 15.0%로 두 자릿수를 유지했으나 8월에는 5.2%로 뚜렷한 하락세를 기록했다. 주간 단위로는 6월 말에서 7월 초 사이 전기차 비중이 30%를 넘으며 피크를 형성했으나 8월 중순에는 급감하는 등 수요의 기복이 두드러졌다.
이 같은 흐름은 전기차 구매 결정이 보조금 공고 시점이나 제조사 할인 시기 등 외부 요인에 크게 좌우됨을 보여준다. 특히 6월 말에서 7월 초 수요 급증은 정부 예산 공고와 지자체별 보조금 접수 시작 시기와 맞물린 것으로 해석된다.
올해 하반기 전기차 보조금은 지난 6월 27일부터 지자체별 공고가 시작됐고 7월 1일부터 공식 접수가 진행됐다. 일부 지역에서는 신청 직후 예산이 빠르게 소진되면서 소비자들이 서둘러 차량 구매 계획에 나선 것으로 추정된다. 8월 중순 이후 접수 건수가 줄어든 것은 상반기 보조금이 조기 소진된 뒤 7월 중순부터 하반기 보조금이 재개되면서 나타난 전형적인 정책 연동 현상으로 풀이된다.
모델별 선호도에서는 BMW i5가 25.9%로 가장 높은 관심을 받으며 1위를 차지했다. 이어 ▲BYD ATTO 3(17.2%) ▲아우디 Q4 e-tron(15.5%) ▲BMW iX3(8.6%) ▲기아 EV3(6.9%)가 뒤를 이었다.
특히 ATTO 3는 BYD가 국내 시장에 본격적으로 소개한 모델로, 독일 프리미엄 브랜드를 제치고 단일 모델 기준 최다를 기록했다. 이는 독일과 국내 브랜드 중심으로 형성돼 온 한국 전기차 시장에서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심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는 신호로 볼 수 있다.
차봇은 가격 대비 성능, 차량 외부 전력 공급(V2L) 등 생활밀착형 기능, 합리적인 유지비용은 정부가 보조금 100% 지원 가격 기준을 5300만원으로 낮춘 정책 환경과 맞물려 소비자에게 매력적인 조건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했다.
구매 방식에서도 특징이 뚜렷했다. 전체 전기차 견적 신청자의 83%가 일시불이나 할부를 선택했으며 리스와 렌트를 선호한 경우는 17%에 그쳤다. 이는 보조금과 지방비 지원, 제조사 할인까지 고려했을 때 총소유비용 측면에서 소유 방식이 유리하다는 현실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성능과 안전 요건 중심으로 정책이 강화되는 가운데 전기차의 긴 배터리 보증 기간(8년 이상)과 충전 인프라 확충이 장기 보유 부담을 줄인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차봇 모빌리티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는 전기차 시장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보조금 예산 소진 속도가 빨라지는 가운데 현대차 아이오닉9과 기아 EV5 등 대형 신차 출시와 BYD의 추가 모델 도입으로 소비자 선택권이 크게 넓어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어 "차봇은 최근 높은 관심을 받는 BYD 차량에 맞춰 'SEAL' 사전 예약 프로모션을 진행하며 소비자들이 보조금 조건과 제조사 혜택을 가장 유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며 "앞으로도 차봇은 보조금 조건과 프로모션, 출고 시점을 비교해 소비자에게 최적의 구매 타이밍을 제시하며 고객 만족도를 높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shl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