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민경 후보, '성평등 정책 총괄 부처' 목표 제시
故 박원순 사건 당시 피해 호소인 논란 재점화
[서울=뉴스핌] 신수용 기자 = 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여성가족부를 '성평등가족부'로 확대·개편하는 등 강화 방안을 내세웠지만 정작 성폭력 피해자에 대해서는 침묵하는 등 소극적 태도를 보였다며 질타를 받았다.
원 후보는 수년간 여성 인권 관련 운동을 하며 변호사 등으로 활동했다. 원 후보자는 여성·가족법 분야를 중심으로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여성인권위원장 ▲한국성폭력상담소 자문위원 ▲한국여성의전화 이사 등과 이른바 'N번방'으로 불리는 텔레그램 성착취 사건 공동대책위원회에 참여했다.
◆ 여가부 후보 "성평등가족부 확대 개편...성평등 총괄 부처 될 것"
![]() |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문을 듣고 있다. 2025.09.03 pangbin@newspim.com |
원 후보자는 3일 국회 여성가족위원회가 개최한 인사청문회 모두 발언을 통해 "여성가족부를 힘 있는 '성평등가족부'로 확대 개편해 성평등 정책 총괄 조정과 거버넌스 기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성평등 정책이 갈등의 원인이 아닌 해결의 실마리가 될 수 있도록 하고, 모두가 체감하는 성평등 정책과 제도를 이끄는 부처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약 25년간 법조인으로 활동하면서 사회의 가장 소외된 곳에 계신 사회적 약자분들의 목소리를 귀 기울여 듣고 대변하는 데 힘써왔다"며 "모든 국민이 행복한, 더 나은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작은 힘을 보태고자 한다"고 다짐했다.
이날 청문회에서는 '피해 호소인'으로 더불어민주당 윤리 규범에 포함되고 고(故) 박원순 서울시장의 성추행 사건 당시 피해자가 '피해 호소인'으로 불린 것에 원 후보자가 침묵하는 등 대응을 회피했다는 질타가 수차례 이어졌다.
오전에 청문회에서 한지아 국민의힘 의원은 "피해 호소인으로 불릴 당시 더불어민주당 윤리심판원으로 활동했는데 왜 침묵했느냐"고 묻자, 원 후보자는 "해당 부분은 윤리심판원에 제소된 바 없다. 윤리심판원 재직 중에 제소됐던 다양한 사건을 진심을 다해 조사했다"고 답했다.
한 국민의힘 의원은 "故 박원순 전 시장의 문제들이 제기됐을 때 아무 말도 안 했다는 부분은 뼈아픈 과거로 인정해야 한다"며 여가부의 운영 원칙인 피해자 중심주의에서 벗어난다고 지적했다
◆ 원 후보자 '피해 호소인' 사용은 정당 활동의 자유
![]() |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5.09.03 pangbin@newspim.com |
오후에 이어진 공방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서명옥 국민의힘 의원이 "원 후보자가 여가부 장관이 된다면 민주당 윤리 규범에 있는 피해 호소인 단어 삭제 요청할 의향이 있느냐"고 묻자 "의향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유로 "정당 활동의 자유에 해당돼 더불어민주당이 결정할 문제로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서 국민의힘 의원은 "어느 정당도 대한민국 위에 있지 못하는데 이러한 소극적인 태도는 여가부 장관의 태도로 적절하지 않다"며 "힘 있는 여가부를 주장하시는 데, 그 힘은 오직 힘없는 약자를 위해서 쓰여져야지 권력과 정당을 위해서 있는 건 아니다"고 질책했다.
한지아 국민의힘 의원은 2020년 박원순 전 시장 사건 당시 민주당 의원들과 관계자들이 피해자를 피해 호소인이라고 부른 것을 문제 삼으며 후보자의 입장을 물었다.
한 의원은 "당시 민주당 윤리심판원으로 활동했는데 왜 침묵했느냐"고 따지자 원 후보자는 "해당 부분은 윤리심판원에 제소된 바 없다"며 "윤리심판원 재직 중에 제소됐던 다양한 사건을 진심을 다해 조사했다"고 답했다.
aaa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