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도 부장관, 한·미 차관회담에서 '재발 방지' 약속
제도 개선과 한·미 관계 강화 전기로 활용"
박윤주 차관, 구금자 부당 처우에 유감 표시
"한국민 불안 해소 위한 美측 조치 필요" 강조
[서울=뉴스핌] 유신모 외교전문기자 = 한·미 외교차관회담을 위해 한국을 방문한 크리스토퍼 랜도 미 국무부 부장관이 최근 미국 조지아주에서 발생한 한국인 근로자 구금 사태에 대해 유감을 표시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했다.
랜도 부장관은 14일 서울 세종로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박윤주 1차관과의 회담에서 "이번 사태가 일어나게 된 데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한다"면서 "이번 사태를 제도 개선 및 한·미 관계 강화를 위한 전기로 활용해 나가자"고 했다고 외교부가 전했다. 한국인 근로자 구금 사태에 대해 미 고위당국자가 유감을 표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
박윤주 외교부 1차관과 크리스토퍼 랜도 미 국무부 부장관이 14일 서울 세종로 외교부 청사에서 한미 외교차관회담을 갖기 앞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 [사진=외교부] 2025.09.14 |
랜도 부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 문제에 높은 관심을 갖고 있다고 전하고 "귀국자들이 미국에 재입국 시 어떠한 불이익도 없을 것이며, 향후 어떠한 유사 사태도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랜도 부장관은 이어 한국 기업들의 대미 투자 활동이 미 경제·제조업 부흥에 대한 기여가 크다는 점을 절감하고 있는 만큼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고, 한국 근로자들의 기여에 합당한 비자가 발급될 수 있도록 후속조치 관련 실무협의를 속도감 있게 진행하자고 했다.
박 차관은 근로자들이 부당하게 미국 내 구금 시설에서 감내해야 했던 불편한 처우에 대해 언급했다. 박 차관은 또 근로자들뿐만 아니라 우리 국민들이 이번 사태로 인해 깊은 충격을 받았던 것에 유감을 표하고 미국 측이 한국 국민들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실질적인 재발방지 및 제도개선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라고 강력히 요청했다.
박 차관은 랜도 부장관의 이번 방한이 후속 조치를 위한 논의뿐 아니라 한·미 관계의 굳건함을 보여주는 시의적절한 방문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이번 사태 해결 과정에서 한·미 양 정상 간 형성된 유대 관계와 양국의 호혜적 협력의 정신이 작용했음을 평가한다"면서 "귀국자의 미국 재입국 시 불이익이 없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차관은 또 한국인 전용 비자 카테고리 신설을 포함한 다양한 방안 논의를 위한 외교부-국무부 간 워킹그룹 창설과 비자 관련 상담창구 개설 등 후속조치 이행에 박차를 가하자고 했다.
이날 회담에서는 지난달 한미 정상회담 후속 조치와 지역 및 글로벌 정세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두 차관은 이달 유엔 총회, 다음달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등 국제행사를 계기로 한 한·미 고위급 외교 일정에 관해 논의하면서 한·미 정상회담에서 논의된 조선, 원자력, 첨단기술 등 분야에서 진전된 협력 성과를 도출하자는 데 뜻을 같이했다.
opent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