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인공지능(AI) 번역을 통해 생산한 콘텐츠로, 원문은 9월16일(현지시각) 블룸버그 보도입니다.
[서울=뉴스핌] 황숙혜 기자 = 인공지능(AI)이 기업들의 보안 소프트웨어 지출 확대를 촉발할 것이라는 우려가 넷스포크(Netskope Inc.)의 기업공개(IPO) 수요를 견인하고 있다.
넷스포크는 16일(현지시각) IPO 공모가 범위를 상향 조정, 최대 9억820만 달러 조달을 노린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수년간 다수의 소프트웨어 IPO에서 나타난 흐름과 유사하며, 수요가 견조하다는 분석이다. 이번 공모는 약 20배 초과 청약된 것으로 전해졌다.
업체의 연환산 매출(ARR)은 7월 말 기준 전년동기 대비 33% 증가한 7억7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시장조사업체들은 전체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보다 사이버 보안 부문 지출이 더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으며, 투자자들은 업체의 높은 성장성에 주목하고 있다.
![]() |
넷스포크 로고 [사진=블룸버그] |
넷스코프는 주니퍼 네트웍스 출신 산제이 베리가 이끄는 회사로, AI 기반의 민감 데이터 탐지·제어가 가능한 클라우드 플랫폼 '넷스포크 원(Netskope One)'을 개발했다.
회사 측에 따르면, 이 플랫폼은 성능 저하 없이 기업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원이 회사 기밀을 챗GPT의 개인 계정에 입력할 경우, 이를 인지해 실시간으로 기업용 챗봇으로 전환시킨다.
넷스포크가 증시에 입성하는 시점은 2021년 고점 이후 소프트웨어 IPO 시장의 거래량이 크게 줄어든 상황이다. 최근 피그마의 성공적인 상장을 제외하면, 업계 평균 밸류에이션은 과거 고점 회복에 실패했다.
다만, 넷스포크는 보안 소프트웨어라는 틈새 시장에서 상대적 강점을 가진다는 평가다. 모건스탠리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수년간 보안 특화 소프트웨어 주가가 소프트웨어 업종 전체보다 더 나은 성과를 냈다.
올해 소프트웨어 업종 주가가 10% 하락한 반면, 보안 특화 업체는 평균 5% 상승했다는 분석이다. 모간 스탠리와 JP모건이 이번 IPO의 대표 주관을 맡고 있다.
모건스탠리는 AI로 인해 증가하는 사이버 공격을 감안하면 보안 소프트웨어가 IT 예산 내 비중을 더욱 확대할 것으로 전망했다. 최근 조사에서도, 향후 기업 보안 투자 증가 속도가 전체 소프트웨어 투자보다 현저히 빠를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4월 루브릭 상장이 마지막 주요 보안 IPO였으며, 해당 종목은 이후 130% 급등했다. 최근 팔로알토 네트웍스가 250억 달러에 사이버아크(CyberArk)를 인수하는 등 인수합병(M&A) 역시 산업 내 AI 보안 수요를 강조하고 있다.
넷스포크는 설립 13년째를 맞지만 아직 흑자를 내지 못하고 있다. 7월 말 기준 6개월 간 1억6950만 달러의 순손실을 기록, 투자자들이 성장성과 수익성의 균형을 판단하는 'Rule of 40' 기준(성장률+이익률)에 미치지 못했다.
업체는 IPO 신청서에서 최근 3%의 영업현금흐름(OCF) 마진, 분기별 74%의 점진적 영업 마진 등을 강조하며 우려 완화에 나섰다.
IPO 인덱스 제공업체 IPOX 슈스터의 창업자 요제프 슈스터는 "넷스코프 IPO는 무난하게 흡수될 전망이나, 최근 급등 사례와 같은 '초기 폭등'은 기대하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이번 거래는 최근 IPO 시장이 얼마나 성숙해졌는지 보여주는 사례다"라고 덧붙였다.
shhw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