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천=뉴스핌] 송은정 기자 = 지난 22일 강원도 홍천군에 자리 잡은 '하이트진로 강원 공장'을 방문했다. 도착하자마자 한 눈에 깔끔한 공장의 외관이 펼쳐졌다.
![]() |
하이트진로 강원 공장 외관 [사진=송은정 기자] |
1997년 8월 준공된 하이트진로 강원공장은 강원도 홍천군 북방면 하회계리 736번지에 위치해 있다. 홍천군 도둔산자락 아래 홍천강을 끼고 16만평의 대지 위에 자리잡고 있다.
국내 최대 공장인 강원 공장은 연간 50만kl(킬로리터)의 맥주를 생산할 수 있다. 이 공장은 전 공정이 컴퓨터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앙통제실에서 맥주 생산 공정을 제어하고 있다.
하이트진로는 맥주 제조 공정과 공장을 홍보하기 위해 1998년 6월 견학관인 '하이트피아'를 설립했다. 견학관은 영상관, 시음장 등을 갖추고 있다. 지난해 8월에는 하이트피아를 '하이트진로 park'로 리뉴얼하면서 콘텐츠 체험을 강화했다.
견학 코스는 영상관에서 홍보 영상을 상영한 뒤 맥주 제조공정 순서대로 진행된다. 맥주 역사관, 하이트진로 홍보관 등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견학 후에는 마지막 순서인 시음장에서 홍천강과 도둔산을 배경으로 갓 생산한 생맥주를 시음할 수 있다.
![]() |
하이트진로 강원 공장 시음장 [사진=송은정 기자] |
김태환 품질관리팀 팀장은 강원공장의 이점으로 홍천강 옆에 위치한 점을 꼽았다. 그는 맥주의 주 원료 중 하나가 물이라며 "홍천강 수질이 1급수로 이 물을 쓸 수 있는 것 자체가 굉장히 큰 장점이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맥주 자체가 물이 약 98% 이상 되다 보니 전 세계적으로 물은 중요한 관리 포인트다"라며 "그런 면에서 하이트진로는 물에 설비 투자를 많이 하고 있고 특수 여가 설비도 다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예를 들어 전주 공장 같은 경우, 맥주에 쓰고 있는 양조 용수를 맞추기 위한 설비 투자를 하고 있다"라며 "결국 들어가는 맥주는 같지만 하이트진로가 쓰고 있는 물 자체의 깨끗함은 아마 전 세계적으로도 최고일 것이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이날 홍천강을 배경으로 시음해 본 생맥주는 깔끔한 맛이 느껴졌다. '물'에 관련해서 투자를 많이 한다는 하이트진로의 설명 만큼이나 목 넘김이 깔끔했다. 홍천강을 배경으로 맥주를 마시고 있으니 마치 카페에 온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 |
하이트진로 강원 공장 [사진=하이트진로] |
맥주는 ▲제맥 ▲담금 ▲발효 ▲저장 ▲여과 등의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국내의 경우 최소 20일 이상을 발효, 저장한다. 하이트진로 강원공장에는 108개의 저장 탱크가 있다. 저장 탱크 한 대의 저장 용량은 60만 리터다. 탱크 한 대의 저장 용량은 한 사람이 하루에 500ml 맥주 10병씩 마신다고 가정할 경우 약 330년간 마실 수 있는 분량이다.
맥주의 제조 과정은 주 원료인 보리가 사일로에 들어서게 된다. 여기서 저장된 보리의 싹을 건조시키면 맥아가 된다. 맥아를 분쇄해 따뜻한 물을 넣고 가열하면 단맛의 맥즙이 만들어진다. 맥아즙에서 쓴맛의 탄닌 성분과 단백질을 분리해 내는 '자비' 과정을 거친다. 이후 냉각기로 급랭 시켜 발효 과정을 거치면 맥주가 만들어진다.
![]() |
하이트진로 강원 공장 내부 [사진=하이트진로] |
설비 라인은 ▲용기 세척 소독 ▲용기 정밀 검사 ▲초정밀여과 ▲맥주 주입 ▲제품 포장 ▲제품 정밀 검사 ▲상표 부착 순으로 이뤄진다. 전 과정이 레일로 이뤄져 있으며 중앙 통제를 통해 시스템을 관리한다.
맥주 원액을 만드는 공정 다음에는 맥주를 담는 용기에 따라 공정이 나뉜다. 병과 알루미늄 캔, 생맥주용 업소 용기, 페트병에 맥주를 담는 공정이다.
각 처에서 수집된 맥주병은 자동화 설비를 따라 1분에 1000병씩 선별기를 거친다. 합격 판정을 받은 병들은 35분 동안 세척 과정을 거친다. 세척과 살균을 거친 병들은 외부와 밀폐된 맥주 주입 공정으로 이동한다.
최종 주입 공정은 외부와 철저하게 분리돼 밀폐시켜 놓는다. 주입 과정에서 혹시라도 있을 세균 침입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현재 하이트진로 파크는 월 평균 1600~2000명, 연간 약 2만명의 방문객이 찾고 있다. 강원 공장은 한 달 평균 1600명에서 2000명 사이의 방문객이 찾고 있다. 주로 협력사나 대학생 등이다.
yuniy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