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그룹 자산 5년 새 445조원 증가
삼성·SK·현대차 자산 증가 톱3 유지
교보·부영·두산은 축소…집중 심화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국내 5대 그룹(삼성·SK·현대자동차·LG·롯데)의 자산이 최근 5년 새 445조원 가까이 늘어난 1588조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나머지 47개 그룹의 자산은 367조원 증가에 그쳐 대기업 중심의 자산 집중이 더욱 심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22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공정거래위원회 지정 공시대상기업집단 52곳의 2019년과 2024년 결산 기준 자산총액을 비교한 결과, 전체 자산 규모는 1897조2869억원에서 2709조853억원으로 811조7984억원(42.8%) 늘었다.
이 가운데 5대 그룹의 자산은 1143조5705억원에서 1588조741억원으로 444조5036억원(38.9%) 증가해, 나머지 47개 그룹의 자산 증가액(367조2948억원)을 웃돌았다.
![]() |
5년전 대비 자산규모 증가액 상위 10개 그룹 [사진=CEO스코어] |
그룹별로는 삼성, SK, 현대차가 자산 증가액 상위 3위를 차지했다. 삼성은 5년간 164조원 증가한 589조1139억원으로 단일 그룹 최대 폭을 기록했다. SK는 225조5260억원에서 362조9619억원으로 137조4359억원(60.9%) 늘었고, 현대차는 234조7058억원에서 306조6173억원으로 71조9115억원(30.6%) 증가했다.
뒤를 이어 한화(54조573억원·75.4%), LG(49조979억원·35.8%), HD현대(25조8573억원·41.1%), 한진(24조6226억원·73.4%), 롯데(21조7926억원·17.9%), 카카오(20조6046억원·144.7%), 신세계(19조7706억원·44.8%) 등이 상위권에 올랐다.
자산 증가율 기준으로는 중흥건설이 217.5%(18조3111억원)로 가장 높았다. 대우건설 인수 효과가 반영되며 3년 새 자산이 3배 이상 늘었다. 이어 장금상선(205.1%·13조1025억원), 셀트리온(201.7%·17조8295억원)도 두 배 이상 증가했다.
반면 교보생명보험(-2조4754억원), 부영(-1조8313억원), 두산(-1조1005억원) 등 3개 그룹은 자산이 줄었다.
교보생명보험은 보험부채 할인율 인하로 자본이 감소하며 순위가 2020년 25위에서 올해 47위로 22계단 하락했다. 부영은 2019년 23조2838억원에서 지난해 21조4525억원으로 줄며 재계 순위가 17위에서 28위로 내려갔다. 두산도 자산이 1조1005억원 감소했으나, 2021년 이후 소폭 회복해 지난해 28조1502억원을 기록했다.
5대 그룹의 매출과 영업이익도 나머지 47개 그룹을 크게 앞섰다. 5대 그룹 매출은 848조6894억원에서 1106조2944억원으로 257조6050억원 늘었고, 47개 그룹은 208조1270억원 증가에 그쳤다. 영업이익은 5대 그룹이 31조3220억원, 47개 그룹은 15조7606억원 늘었다.
매출 증가액 1위는 현대차로, 5년간 106조8046억원 증가했다. 이어 삼성(85조1240억원), SK(44조5697억원), HD현대(28조9144억원), 한화(22조5358억원) 순이었다. 반면 태영·두산·DL·부영 등 4개 건설 그룹과 아모레퍼시픽, 태광은 매출이 감소했다.
영업이익 증가액은 SK가 17조2871억원(173.2%)으로 1위를 차지했고, 현대차(11조2139억원·153.2%), 삼성(7조6291억원·39.3%)이 뒤를 이었다. 반면 LG는 2조8061억원 줄며 가장 큰 감소 폭을 기록했다. LG에너지솔루션이 지난해 2조3052억원 적자를 내면서 그룹 전체 수익성이 악화됐다. 롯데그룹도 화학·호텔·건설 계열사 실적 부진으로 영업이익이 2조원 이상 감소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