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한전MCS 맞손…신속성 높여
검침원 교육·지자체 지원 체계 '강화'
이스란 차관 "위기 놓치지 않을 것"
[세종=뉴스핌] 신도경 기자 = 검침원 3400명이 복지 위기가구 발굴에 나선다.
보건복지부와 한전MCS는 3시 서울 한전MCS 마포용산지점에서 복지 위기가구를 신속하게 발굴하고 지원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한전MCS는 전국 15개 지사와 196개 지점을 기반으로 약 3400명의 검침원이 매월 가정을 방문해 전기 검침, 체납 관리, 고지서 송달 등 국민의 일상과 가장 가까운 곳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이다. 생계적 어려움 등 도움이 필요한 가구를 발견해 지자체에 알리고 이웃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
| 정부세종청사 보건복지부 전경 [사진=보건복지부] |
복지부는 사각지대 발굴시스템을 통해 47종의 행정정보를 분석해 위기가구를 찾고 있다. 그러나 일상에서 나타나는 체납·고립·생활환경 악화 등은 행정정보만으로 실시간 파악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정부는 국민의 일상 가까이에서 작은 변화를 직접 확인하는 검침원과 공공복지 체계를 연결해 '지역 기반 복지 안전 매트'를 강화한다. 검침원이 위기 징후를 발견하면 '복지위기 알림 앱'을 통해 즉시 도움을 요청하고, 신고 정보는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로 신속히 전달된다.
복지부와 한전MCS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검침원이 현장에서 위기 상황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교육을 강화한다. 지자체의 상담과 서비스 연계가 더욱 원활해지도록 지원 체계도 보완한다.
이스란 복지부 차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지역 현장에서 도움이 필요한 위기가구를 더 빨리 찾아 지원할 수 있게 돼 복지사각지대 해소에 한 걸음 더 다가설 것으로 기대한다"며 "국민의 일상 가까이에서 작은 변화를 가장 먼저 마주하는 분들과 협력해 위기 상황을 놓치지 않고 보호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정성진 한전MCS 대표이사는 "전국에서 검침 업무를 수행하는 직원들이 국민의 어려움을 적극적으로 발견해 도움을 드릴 수 있도록 지속해서 협력하겠다"고 설명했다.
sdk1991@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