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100대 기업분석] (25) 저장성 경제의 자존심 '빈장그룹'

기사입력 : 2014년04월15일 17:23

최종수정 : 2014년04월15일 17:29

부동산 경기 후퇴에 직격탄 , 영업 휘청

[뉴스핌=조윤선 기자]  저장(浙江)성 항저우(杭州)에서 거래 급감과 가격 하락세가 출현하는 등 부동산 경기가 뚜렷한 냉각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항저우 현지 최대 부동산 기업인 빈장그룹(濱江集團)의 부실화가 심화되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부동산 경기 후퇴로 항저우 현지 부동산 대기업인 빈장그룹은 매출총이익률이 최근 20%가까이 뚝 떨어졌다. 또한 이 회사가 2013년 출시한 ㎡(평방미터)당 7만 위안(약 1100만원)을 호가하던 초호화 주택 판매가격도 최근 평당 1만5000위안(약 250만원)씩 하락했다. 

◇2013년 빈장그룹 항저우 토지시장 '큰 손'

1996년에 설립된 빈장그룹은 항저우 최대 부동산 민영기업 중 하나로, 항저우 부동산 개발 사업이 이 업체 전체 매출의 80%를 차지하고 있다.

빈장그룹의 2013년 영업수입(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61.9%늘어난 103억 위안(약 1조7200억원)으로, 이 중 항저우 지역 매출이 80%에 육박하는 81억 위안에 달한다.

2013년만 해도 항저우 부동산 시장은 완다(萬達), 헝다(恒大)를 비롯한 20여개의 부동산 개발업체가 진출하며 호황을 보였다. 덕분에 현지 땅값은 천정부지로 치솟았다.

항저우의 토지 시장도 활황을 나타냈다. 2013년 이 지역의 양도 토지 면적은 1만2217묘(중국식 토지단위, 1묘=666.7㎡)로 2012년보다 2배 넘게 증가, 항저우 토지수입은 사상최고치를 기록했다.

작년 토지시장 활황에 힘입어 현지 부동산 대기업 빈장그룹도 토지 확보에 열을 올렸다. 작년 한 해 빈장그룹은 토지 매입에만 67억6400만 위안(약 1조원)의 거금을 투자했다. 이는 항저우에 투자한 부동산 기업 가운데 가장 큰 액수다.

특히 빈장그룹이 작년 9월 15차례의 경매 끝에 완커(萬科)와 뤼청(綠城), 중하이(中海) 등 쟁쟁한 경쟁사를 제치고 항저우 고급 주택가 지역인 화자츠(華家池) 인근 토지 매입에 성공해 눈길을 끌었다. 당시 빈장그룹이 제시한 경매가는 43억8300만 위안(약 7300억원,㎡당 2만3190위안)으로 항저우 부동산 시장 사상 최고 낙찰가를 기록했다.

◇항저우 부동산 하락세 빈장그룹 직격탄

하지만 올해들어 부동산 거래 침체로 재고가 급증하고 시장에 급락세가 나타나면서, 작년 한 해 동안 항저우 토지 시장을 싹쓸이 하다시피 했던 빈장그룹은 손해를 면치 못하게 됐다.

올 3월 항저우시 신규 주택거래량은 3991채, 평균 거래가격은 ㎡당 1만6720위안(약 279만원)에 달해 작년 같은기간보다 거래량과 거래 가격이 모두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3월 항저우시 신규주택거래량은 8473채에 달했고 평균 거래가격은 ㎡당 1만7104위안(약 286만원)이었다.

반면 올 3월까지 항저우시 신규주택 재고량은 무려 11만5021채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그래픽: 송유미 기자.
거래 침체와 재고 급증이라는 악재 속에서 항저우 지역 부동산 개발을 주요 사업으로 하는 빈장그룹은 적지 않은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 통계에 따르면 현재 빈장그룹은 항저우시에 금색여명(金色黎明), 완가명성(萬家名城), 완가성성(萬家星城), 자금부(资金府), 서계명주(西溪明珠), 무림1호(武林壹號), 상호1호(湘湖壹號) 등 7개 중고급 주택단지를 분양 판매 중이다. 

여기에 곧 출시될 주택단지 서계의성(西溪之星)과 작년 낙찰받은 3개 프로젝트를 합하면 빈장그룹은 항저우에서만 총 11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13년 말 기준, 빈장그룹의 부동산 재고 가치는 301억 위안(약 5조원)으로 작년 그룹 전체 매출액인 103억 위안(약 1조7200억원)의 3배에 육박하는 것으로 드러나, 빈장그룹의 재고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빈장그룹의 2013년 영업수입(매출액)은 전년보다 61.9%나 증가했지만, 순이익은 2012년 12억6500만 위안에서 2013년 14억1000만 위안으로 11.39% 오르는데 그쳤다.

부동산 매출총이익률도 30.02%에 불과, 2012년보다 15.13%가 떨어졌는데, 그 중에서도 항저우 지역 사업 매출총이익률이 2012년보다 18.59%가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총이익률(gross profit margin)은 매출로부터 얼마만큼의 이익을 얻느냐를 나타내는 재무비율로, 업종과 규모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이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판매 · 제조를 비롯한 영업 활동이 양호했음을 나타낸다. 이 비율의 분모는 매출액, 그 분자는 매출총이익이다.

저장성 초호화 주택단지로 불리는 빈장그룹의 '무림1호(武林壹號)' 건설 현장.[출처=신랑재경(新浪財經)]
◇빈장그룹 올해 경영 악화 심화될 듯

빈장그룹의 매출총이익률은 올해 더욱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빈장그룹이 주로 중고급 부동산 개발 사업을 하고 있어 토지 매입 등 투자 비용이 어마어마하지만, 올해들어 나타난 부동산 시장 급락세로 지난 3월 일부 매물을 ㎡당 5000위안(약 84만원) 낮은 가격에 내놓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빈장그룹이 타 부동산 개발업체인 뤼청그룹과 손잡고 출시한 '무림1호'는 2013년 평균 판매가가 ㎡당 7만 위안(약 1100만원)을 훌쩍 뛰어넘어 저장성 최고급 주택단지로 유명세를 탔지만, 올 1분기 '무림1호'의 평균 판매가격은 ㎡당 1만5000위안 떨어져 6만 위안(약 1000만원)도 채 안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빈장그룹이 가격을 낮춰 판촉에 나선 것은 항저우 부동산 시장 거래 침체 탓에 재고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빈장그룹 영업실적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 말 기준, 호화주택 단지 '무림1호'와 '상호1호'의 재고 가치가 각각 49억9700만 위안(약 8300억원), 30억1400만 위안(약 50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사업 지역인 항저우 외에 빈장그룹의 부동산 개발 사업이 샤오싱(紹興), 상위(上虞), 취저우(衢州), 핑후(平湖) 등 부동산 리스크가 높은 저장(浙江)성 3·4선 도시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도 이 업체의 향후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尹탄핵심판 '인용' 51.9% vs '기각' 44.8% [서울=뉴스핌] 김가희 기자 = 국민 과반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를 인용해야 한다고 응답한 여론조사가 7일 공개됐다. 기각 여론도 만만치 않았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자동응답시스템(ARS) 조사 결과에 따르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51.9%는 '인용해야 한다'고 답했다. '기각해야 한다'는 답변은 44.8%였다. 격차는 7.1%포인트(p) 였다. '잘 모름'은 3.3%였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인용해야 한다 50.1%, 기각해야 한다 47.7%, 잘 모름 2.2% 였다. 여성은 인용해야 한다 53.6%, 기각해야 한다 42.0%, 잘 모름 4.3%였다.  연령별로는 ▲만 18세~29세(인용 52.5%, 기각 46.6%, 잘 모름 0.9%) ▲30대(인용 56.9%, 기각 41.0%, 잘 모름 2.1%) ▲40대(인용 68.7%, 기각 30.3%, 잘 모름 1.0%) ▲50대(인용 60.9%, 기각 36.0%, 잘 모름 3.0%)에서 인용 의견이 더 많았다. 반면 ▲60대(인용 42.8%, 기각 53.9%, 잘 모름 3.3%) ▲70대 이상(인용 25.5%, 기각 64.7%, 잘 모름 9.8%)은 기각 응답이 더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전·충청·세종에서 인용해야 한다는 응답(61.7%)이 가장 높았다. 기각은 37.4%, 잘 모름 0.9%였다. ▲광주·전남·전북(인용 56.5%, 기각 37.1%, 잘 모름 6.3%) ▲부산·울산·경남(인용 53.1%, 기각 42.5%, 잘 모름 4.4%) ▲서울(인용 51.2%, 기각 47.8%, 잘 모름 1.0%) ▲경기·인천(인용 50.5%, 기각 46.7%, 잘 모름 2.8%) ▲강원·제주(인용 47.2%, 기각 45.5%, 잘 모름 7.3%) ▲대구·경북(인용 42.7%, 기각 52.0%, 잘 모름 5.2%) 순이었다. 지지 정당별로 보면 ▲더불어민주당 지지자 90.5% ▲조국혁신당 지지자 93.0% ▲개혁신당 지지자 84.7% ▲진보당 지지자 86.5%가 탄핵이 인용돼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 87.6%는 탄핵 기각을, 7.9%는 탄핵 인용을 주장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탄핵이 인용되면 대통령이 파면돼 권력 공백과 정국 혼란이 발생할 수 있지만, 국민의 민주주의 수호와 대통령의 중대한 잘못에 대한 바로잡기가 가능해질 수 있다는 여론이 우세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헌법재판소가 향후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릴지는 법적 근거와 증거의 유무, 국가와 국민에게 미친 영향, 사회적 여론과 정치적 상황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탄핵 절차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해 정치적 편향성을 최소화해야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 활용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kgml925@newspim.com 2025-02-07 11:00
사진
정당지지율 국민의힘 43.2%·민주 41.4%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설날 전까지 10% 포인트(p) 가까이 차이를 보였던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오차 범위 내 접전 양상으로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세를 타던 국민의힘 지지율은 꺾였고, 떨어지던 민주당 지지율은 소폭 회복됐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5~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ARS(자동 응답시스템) 조사해 7일 발표한 결과 국민의힘 지지율은 43.2%로 집계됐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은 41.4%였다. 지난달 22일 발표된 조사와 비교해 국민의힘은 5.3%p 하락한 반면 민주당은 2.6%p 상승하면서 양당 지지율 격차는 9.7%p에서 1.8%p로 줄었다. 조국혁신당은 4.5%로 지난조사보다 0.7%p 상승했고, 개혁신당은 1.5%로 0.2%p 올랐다. 진보당은 0.7%(+0.3%p), '기타다른정당' 2.3%(+0.6%p), '지지정당없음' 5.9%(+4.2%p), '잘모름'은 0.5%(+0.4%p)로 기록됐다. 연령별로 보면 18~30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을, 40~50대는 민주당을 가장 많이 지지했다. 만 18세~29세는 국민의힘 46.3%, 민주당 35.5%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3.9%, 진보당 1.2%, 기타다른정당 3.4%, 지지정당없음 3.3%, 잘모름 1.2%였다. 30대는 국민의힘 41.1%, 민주당 39.9%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6%,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8.7%, 잘모름 0.8%였다. 40대는 민주당이 55.9%, 국민의힘 29.0%, 조국혁신당 5.1%, 개혁신당 0.5%, 기타다른정당 2.1%, 지지정당없음 7.4%였다. 50대는 민주당 47.0% 국민의힘 35.3%, 조국혁신당 7.2%, 개혁신당 2.3%, 진보당 1.4%, 기타다른정당 0.4%, 지지정당없음 6.4%였다. 60대는 국민의힘 53.7%, 민주당 35.7%, 조국혁신당 2.8%, 진보당 0.5%,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4.4%였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6.9%, 민주당 31.6%, 조국혁신당 1.9%, 진보당 1.0%,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4.8%였다. 국민의힘은 지역별로 서울과 경기·인천,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에서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광주·전남·전북에서는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앞섰다. 서울은 국민의힘 47.2%, 민주당 38.5%, 조국혁신당 1.4%, 개혁신당 0.4% 진보당 1.4%,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8.3%였다. 경기·인천은 국민의힘 43.3%, 민주당 39.7%, 조국혁신당 4.0%, 개혁신당 1.5%, 진보당 0.9%, 기타다른정당 3.3%, 지지정당없음 6.0%, 잘모름 1.4%였다. 대전·충청·세종은 민주당 53.5%, 국민의힘 36.5%, 조국혁신당 4.5%, 개혁신당 0.8%, 기타다른정당 2.0%, 지지정당없음 2.6%였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59.4%, 국민의힘 33.3%, 조국혁신당 2.4%, 지지정당없음 4.9%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4.4%, 민주당 35.2%, 조국혁신당 9.0%, 개혁신당 1.8%, 기타다른정당 1.5%, 지지정당없음 8.1%였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60%, 민주당 28.4%, 조국혁신당 3.7%, 개혁신당 2.8%, 통합진보당 1.5%, 기타다른정당 1.7%, 지지정당없음 1.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54.6%, 국민의힘 28.4%, 조국혁신당 6.9%, 개혁신당 3.5%, 기타다른정당 1.0%, 지지정당없음 5.5%였다. 성별로는 남성은 국민의힘 46.0%, 민주당 38.1%,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5%, 진보당 0.8%, 기타다른정당 2.1%, 지지정당없음 6.7%였다. 여성은 민주당 44.6%, 국민의힘 40.5%,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0.5%, 진보당 0.6%, 기타다른정당 2.5%, 지지정당없음 5.1%, 잘모름 0.9%였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국민의힘 지도부가 단체 면회를 가는 등 모습이 민주당 지지층을 결집시켰고, 일부 중도층도 야권으로 이동하면서 국민의힘 지지율은 큰 폭으로 하락한 반면 민주당 지지율은 소폭 상승했다"며 "여론은 언제든 변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07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