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부채 수익악화 기업 디폴트 만연 우려
[뉴스핌=강소영 기자] 올해 중국 경제에 치명타를 입힐 수 있는 최대의 잠재 위험요소가 외자유출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중국 경제전문매체 재신망(財新網)은 미국과 중국의 상반된 거시경제 운용 상황이 중국 내 외국자본 이탈을 가속할 수 있다고 지적하며, 이는 2015년 중국 경제를 최악의 상황으로 몰아가는 도화선이 될 수 있다고 최근 보도했다.
미국의 금리 인상 전망과 미국 달러화 강세로 자국 내 외국자본 이탈 우려는 중국만의 문제는 아니다. 그러나 중국은 경제성장률 둔화에 직면해 올해 금리 인하 등 통화완화 정책을 써야하는 상황인 데다, 최근 위안화 현물환율 상승(가치 하락)까지 겹쳐 대규모 자본유출 시 마땅히 대처할 수 있는 묘책도 없는 상황이어서 걱정이 더욱 크다.
미국은 지난해 3분기 이후 경기회복세가 뚜렷한 가운데 10월 양적완화 종료를 선언했다. 올해는 금리 인상 단행이 유력하다. 하지만 중국 상황은 이와 정반대다. 경제성장률이 눈에 띄게 둔화하고 있고, 기업의 융자비용은 여전히 비싸 실물경제 주체의 자금난이 심각하다. 중국 정부는 추가적인 금리 인하와 유동성 공급에 나설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위안화 현물가치 조차 계속해서 하락하고 있어 외국자본 이탈을 막고 신규 유입을 이끌어낼 만한 유인책이 전무한 상태다. 2014년 현물시장에서 위안화의 가치는 2.5%가 내려가, 현물가치가 2005년 환율개혁 이후 처음으로 뚜렷한 내림세를 보였다.
일각에서는 중국이 막대한 외화보유액을 유지하고 있어 다른 신흥국가 보다 자본유출로 인한 타격이 적을 것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중국이 3조 위안의 막대한 외화보유액을 보유하고 있고, 자본계정이 다른 나라와 달리 완전 개방되지 않았으며, 인민은행(국가외환거래센터)이 제시하는 위안화 기준가격의 시장 개입 영향력이 매우 크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황이 그리 간단치만은 않다는 것이 중국 전문가의 견해다.
관칭유(管淸友) 민생증권연구원 집행원장은 "미 달러화의 강세와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중국이 통화위기에 빠질 가능성은 거의 없다. 그러나 자본유출이 중국 정부의 통화완화 정책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이 우려스럽다"고 밝혔다.
경제 성장률 둔화로 인한 경착륙을 방어하기 위해 중국 정부는 유동성 공급에 치우친 통화정책을 쓸 수 밖에 없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 내 자본이 대량 유출되면 중국은 유동성 공급량을 더욱 늘릴 수밖에 없고, 이는 위안화 가치 하락으로 이어져 결국 자본유출을 촉진하는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 결국, 중국 정부의 대규모 통화공급에도 기업 등 실물경제 주체의 자금난은 개선되지 않아 경제가 더욱 나빠질 수 있다는 논리다.
실제 중국 내 외국자본 이탈은 2014년 2분기 이후부터 가시화됐다. 중국 국가외환관리국의 자료를 보면, 2014년 2분기 직접투자와 증권투자 등 순유입액은 539억 달러, 투자 순유출은 695억 달러로 약 160억 달러의 자금이 중국을 이탈했다. 규모가 줄어들긴 했지만 3분기에도 자본 순유출이 이어졌다.
왕타오(汪濤) UBS 수석경제학자는 "외화유출 규모가 예상 수준을 넘어서고, 유동성 공급량이 수요에 미치지 못하는데, 기업의 부채 증가와 수익성 악화까지 겹치면 채무불이행 사태가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이러한 사태가 기업과 중소금융기구에 타격을 입혀 결국 금융 시장 전체의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롄핑(連平) 교통(交通)은행 수석경제학자도 "중국은 2015년 경제 성장률 추가 하락이 예상돼 자본유출 압력이 한층 거세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위융딩(餘永定) 전 인민은행 통화정책위원회 위원도 지난해 중국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의 자본유출 상황이 생각보다 심각하다. 중국 자본계정 개혁 추진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경고했다.
반면 자본유출에 대한 우려가 지나치다는 이견도 있다. 셰야쉬안(謝亞軒) 초상증권 수석애널리스트는 "통화완화 정책이 외화와 위안화의 환율차액 축소와 위안화 환율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지만, 지엽적인 분석보다는 큰 틀에서 선진국의 통화정책 변화가 중국의 국제자본수지에 미치는 영향을 주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2015년 선진국 통화정책의 탈 동조화와와 글로벌 투자자들의 위험선호도 상승은 오히려 국제 자본이 단계적으로 중국으로 유입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미국의 금리 인상이 곧바로 중국 내 외국자본의 급격한 대량 이탈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뉴스핌 Newspim] 강소영 기자 (js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