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토요타 '한국 매출 1조' 돌파...현대차 귀족노조 반감도 성장 일조

기사입력 : 2018년07월12일 13:57

최종수정 : 2018년07월12일 13:57

4년만에 매출 2배 늘리며 급성장, 벤츠·BMW 이어 3위
안정적 노사관계 바탕, 한국서 긍정적 이미지 지속공략

[서울=뉴스핌] 한기진 기자 = 토요타자동차가 한국에서 연 매출 ‘1조원’을 돌파했다. 메르세데스 벤츠와 BMW 아우디폭스바겐 그룹에 이어 수입차로서는 네번째다. 토요타와 렉서스라는 ‘브랜드 파워’와 ‘현지현물(現地現物·현지상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직접가서 본다)’ 전략이 통했다는 평가다. 최근 판매부진에 시달리는 현대차, 기아차, 한국GM, 르노삼성차 등 국내 완성차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지적이다.

12일 한국토요타자동차에 따르면 작년(2017년4월~2018년3월) 매출액은 1조490억원으로 전년(8561억원)보다 22% 증가하며 처음으로 1조원을 돌파했다. 영업이익은 608억원으로 전년(451억원)보다 35%, 당기순이익은 355억원으로 전년(157억원)보다 120% 증가했다. 지난해 토요타와 렉서스 브랜드의 판매량은 2만4301대로 전년보다 22%나 늘어난 것이 큰 힘이 됐다.

성장 속도도 매우 빠른 편이다. 한국토요타의 매출액은 2014년에 5387억원에 불과했으나 불과 4년만에 두 배나 늘었다. 메르세데스-벤츠와 BMW, 아우디폭스바겐 그룹을 제외한 기타 수입차가 연간 매출 1조 원을 기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들 독일 3사는 2012년을 전후해 매출 1조 원을 넘어섰다. 

그 기세를 몰아 메르세데스- 벤츠 코리아는 작년에 매출(4조2664억원) 4조원 시대를 열었고, BMW코리아는 3조6337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르노삼성(2조9716억원)과 쌍용차(2조7322억원), 한국지엠(2조7145억원) 등 국산차 3곳 보다 많은 규모다.

한국토요타자동차가 한국 20대를 위해 내놓은 프리우스C.<사진=토요타코리아>

토요타의 성장세는 국내 완성차 브랜드에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벤츠, BMW는 국내 럭셔리 자동차 시장의 개척자로 시장을 선점하며 성장했다. 그러나 양산차 브랜드인 토요타는 현대기아차, 한국GM, 르노삼성차와 직접 경쟁하며 성장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토요타의 캠리, 프리우스나 렉서스 ES300 등은 현대차의 쏘나타, 아오오닉과 제네시스 G80 등과 글로벌시장에서 맞상대다. 

한국에서 성장은 토요타의 오랜 경영철학인 '현지현물(現地現物)'이 기반이 됐다. 

타케무라 노부유키 한국토요타 사장은 "현지현물 정신으로 한국에서 사랑받는 법을 계속 고민해왔다"고 했다. 

수입차업계 관계자는 “토요타가 한국 진출목적이 현대기아차의 안방을 무너트리려 한다는 반감도 있었지만, 오히려 하이브리드 중심의 꾸준한 커뮤니케이션과 고객 만족 마케팅으로 긍정적 이미지를 만들었다”면서 “토요타 특유의 안정적인 노사관계를 통한 조직문화가 지속적인 한국 마케팅이 가능하게 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반대로 현대기아차는 귀족노조의 파업으로 안티(anti)현대차 정서만 부추겨 이미지 마케팅에서 토요타에 밀렸다”고 지적했다.

‘현지현물(現地現物)’ 정신은 토요타자동차 설립자인 토요다 키이치로(1894~1952)가 토요타에서 생산한 차가 운행중에 문제가 생기면 게이치로 사장과 직원이 현장을 직접 찾아가 운전자에게 머리를 조아리며 사과한 것에서 유례됐다. 

 hkj77@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단독] 日 여행객 'K-쌀' 사간다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일본 여행객이 한국을 방문, 한국 쌀을 직접 구매해 들고 나가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일본 내 쌀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밥맛 좋은 한국 쌀'이 대체제로 급부상하면서 벌어지는 현상이다. 3일 <뉴스핌>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상반기 동안 일본 여행객이 한국에서 직접 구매해 일본으로 들고 간 국산 쌀은 3만3694kg로 집계됐다. 일본은 지난 2018년부터 휴대식물 반출 시 수출국 검역증을 의무화한 나라로, 병해충과 기생식물 등 식물위생 문제에 매우 엄격하다. 특히 쌀처럼 가공되지 않은 곡류는 검역 과정이 매우 까다롭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여행객들의 한국산 쌀 열풍은 지속됐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일본 여행객이 반출한 국산 쌀은 1310kg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상반기에만 무려 25배 이상 급증했다. 같은 기간(2024년 1~6월)으로 비교하면 작년 106kg에서 올해 3만3694kg로 약 318배 증가한 셈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일본 여행객들의 '쌀 쇼핑'이 열풍을 불면서 관련 문의가 급증했다"며 "한국쌀이 일본쌀에 비해 맛과 품질이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인식이 생기면서 반출되는 양도 많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쌀을 화물로 탁송하는 사례도 동반 상승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 화물검역을 통해 일본으로 수출된 국산 쌀은 43만1020kg에 달한다. 지난해 화물 검역 실적이 1.2kg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폭증 상태다. 업계에서는 이번 흐름이 국산 쌀에 대한 일시적 특수로 끝나지 않고 국내에서 정체된 쌀 소비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임정빈 서울대 농경제학과 교수는 "일본에서 쌀 가격이 두 배 이상 올랐으니 한국에 와서라도 쌀을 구매하는 여행객이 늘어난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다만 일본의 쌀 관세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한국 쌀의 가격만 보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국산 쌀의 품질이 높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도 합격점이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영종도=뉴스핌] 윤창빈 기자 = 1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에 중국발 여행객들이 입국하고 있다. 2023.03.11 pangbin@newspim.com 정부 역시 이같은 수요에 대응해 일본 관광객을 대상으로 검역제도 안내·홍보에 나서기로 했다. 현재는 농림축산검역본부를 통한 사전신청, 수출검역, 식물검역증 발급, 일본 통관까지 최소 3단계 이상이 요구된다. 다만 한국 쌀을 일본으로 반출할 때 한국에서 식물검역증을 발급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일본 관광객이 일본에 돌아가 쌀을 폐기하는 일이 생기면서 홍보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농식품부 고위 관계자는 "지난달 오사카 엑스포 현장 방문을 계기로 일본 농림수산성과 예방할 기회가 주어졌는데 그 자리에서 쌀 검역 문제가 논의됐다"며 "한국 정부는 일본 여행객이 애써 한국 쌀을 구매한 뒤 일본으로 돌아가 폐기하는 일이 없도록 제도 홍보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plum@newspim.com 2025-07-03 11:10
사진
내란특검, 尹재판 증인 72명 신청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 사건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에서 증인 72명을 추가 신청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3일 내란우두머리·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윤 전 대통령의 9차 공판기일을 열었다.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 [사진=뉴스핌DB] 특검 측은 앞서 1차로 38명의 증인을 신청한 데 이어 이날 재판부에 증인 72명을 추가로 신청하겠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오는 10일 열릴 10차 공판에서는 이날 증인신문을 마치지 못한 고 전 처장에 이어 정성우 전 방첩사 1처장(준장), 김영권 방첩사 방첩부대장(대령)을 불러 신문할 예정이다. 정 전 처장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선관위 전산실 통제와 서버 확보를 지시받은 인물이며 김 부대장은 비상계엄 당일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지시받을 당시 함께 합참 지휘통제실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재판에서 윤 전 대통령 측은 조은석 특검이 검찰로부터 사건을 이첩받은 절차가 위법해 무효라고 주장했으나, 특검은 "법과 상식에 비춰봤을 때 납득할 수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하며 신경전을 벌였다.  sykim@newspim.com 2025-07-03 20:4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