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비인기 종목 구분 '뚜렷'…기능 종목 존폐 위기
"지원금 주는 게 전부 아냐"…대중 접근성 높여야
[편집자] 무형문화재는 한 민족의 전통과 얼, 그리고 정신세계를 살펴볼 수 있는 척도다. 유형문화재가 옛 선조들의 기술과 지혜의 집약체라면, 무형문화재는 고도의 정신세계와 가치관이 함축된 민족의 정체성이다. 하지만 2018년 현재 무형문화재가 비명을 지르고 있다. 이를 보존하기 위한 예산은 점점 줄어들고 무형문화재 전승자들에 대한 예우는 형편없는 수준이다. 전승자들에 대한 ‘처벌’ 중심의 관리체계도 무형문화재 위기를 부추기고 있다. 존폐의 갈림길에 놓인 무형문화재의 현주소를 짚어본다.
[서울=뉴스핌] 임성봉 기자 = #국가무형문화재 기능 종목 이수자 A씨는 지난해 전승활동을 포기했다. 전수조교와 보유자 단계까지 올라가더라도 별다른 비전이 없다는 판단에서다. 특히 스승인 보유자 B씨가 갈수록 생활고에 시달리는 모습을 보면서 A씨는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의 길을 걸을 자신을 잃었다. B씨와 A씨 등 이 종목 전승자들은 문화재청이 주관하는 공개행사와 전시회 등에도 열심히 참여했지만 큰 소득은 얻지 못했다. A씨는 얼마 남지 않은 이수자 중 한 명이었지만, 지난해 12월 B씨에게 ‘활동중단’을 선언하고 현재 한 대기업 영업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A씨는 “국가무형문화재를 전승한다는 자부심이 컸지만, 생계를 이어가기 어려운 현실 앞에서 꿈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며 “일반인들도 국가무형문화재를 잘 모르다 보니 살아남을 수 있는 길이 없는 상태”라고 토로했다.
◆국가무형문화재도 ‘빈익빈 부익부’
국가무형문화재에서도 인기·비인기 종목이 나뉘고 있어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다. 특히 기능 종목에서 비인기 현상이 두드러지면서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문화재청이 발간한 '2017 통계로 보는 문화유산'자료 발췌 [사진=문화재청] |
문화재청이 올해 발간한 ‘2017 통계로 보는 문화유산’을 살펴보면 현재 전승취약종목으로 구분된 종목은 총 35개다. 이 중 전통공연·예술(예능)은 4개 종목, 전통놀이·무예는 1개 종목, 나머지 30개 종목은 공예 등 기능 분야다. 전승취약종목은 △전승자 증감 추이 △수익성 △대중의 관심도·인지도 등 4개 지표 13개 기준으로 평가해 지정된다. 전승취약종목으로 지정되면 기존의 전승지원금에 특별지원금이 지급된다.
공연 중심의 예능 종목보다 수익을 내기 어려운 기능 종목이 상대적으로 자립 기반이 취약해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더욱이 향후 국가무형문화재를 이끌 이수자들이 입문을 꺼리면서 존폐 위기까지 거론되는 실정이다.
지난해 기준 예능 종목은 39개 종목에 전수교육조교 171명, 이수자 4465명을 기록했다. 반면 기능 종목은 51개 종목에 전수교육조교 49명에 이수자는 611명에 그쳤다. 종목 수는 기능 분야가 더 많지만, 전수교육조교와 이수자 수는 예능 종목의 13~28% 수준이다. 수익성과 인적자원 측면 모두에서 양극화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셈이다.
기능 종목 보유자 D씨는 “예능 종목은 수익이 많다 보니 돈을 두고 갈등이 자주 벌어지는데 기능 종목은 아예 수익 자체가 거의 없다 보니 당장 먹고사는 걱정부터 한다”며 “문화재청에서는 지원금만 주고 나 몰라라 하고 있으니 답답하다”고 꼬집었다.
박종군 국가무형문화재기능협회 이사장은 “경제적 수익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기능 종목 전승자들의 의견이 끊이지 않고 있다”며 “문화재청이 국가무형문화재 기능 종목을 위해 국민들의 향유기반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중에게 멀기만 한 무형문화재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들은 “국가무형문화재는 이제 보존을 넘어 국민들이 향유할 수 있도록 가치를 지향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문화재청의 전승지원금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자립할 수 있는 기반이 필요하다는 진단이다.
5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국가무형문화재 보존단체는 매년 한 번씩 공개발표회를 열고 있다. 발표회에는 문화재위원회가 참관해 전승기량 등을 기준으로 평가한다. 이를 토대로 등급이 매겨지고 전승지원금이 지급된다. 보존단체 입장에서는 연례 행사 중 가장 크고 중요한 자리인 셈이다.
지난 1967년 국가무형문화재 제15호로 지정된 북청사자놀음 공연 모습. [사진=문화재청] |
하지만 문화계는 이 같은 공개행사 외에 국민들이 국가무형문화재를 향유할 길이 협소하다고 지적한다. 특히 공개행사마저도 일반인들의 참여를 독려하는 유인책이 적어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한국문화재정책연구원도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 기본계획 수립 연구(2017-2021)’ 자료에서 “그동안 무형문화재의 지향 가치였던 전승이 단절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구호’ 개념을 탈피해야 한다”며 “무형의 문화원천을 문화다양성 및 문화산업을 위한 창조적으로 전승·활용하는 ‘자원’으로 개념의 전환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무형의 문화자원을 향유하는 정책고객은 전승자만이 아닌 ‘국민’ 모두가 될 수 있도록 정책 방향을 개선해야 한다”며 “무형문화재의 가치 구현 및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꾀하는 방향으로 계승·발전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국가무형문화재 예능 종목 전수조교 C씨는 “공개행사 준비에 1년을 바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만 행사를 찾는 일반인들의 기대에 크게 미치지 못한다”며 “단순히 기·예능을 시연하는 수준의 행사다 보니 콘텐츠 부족으로 일반인들을 끌어들이지 못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imbong@newsp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