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정치 통일·외교

속보

더보기

[2022재산공개] 통일부 이인영, 11억7600만…최영준, 14억7000만

기사입력 : 2022년03월31일 12:51

최종수정 : 2022년03월31일 12:58

이주태 하나원 소장 71억1650만원…중앙부처 9위

[서울=뉴스핌] 이영태 기자 = 이인영 통일부 장관이 지난해 말 기준 재산을 약 11억7600만원으로 신고했다. 전년보다 약 1억2300만원 증가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공직자윤리위)가 31일 0시 관할 재산공개대상자 1978명에 대해 공개한 '2022년 공직자 정기 재산변동사항'에 따르면 이 장관의 신고 재산은 종전 10억5253만원보다 1억2346만6000원 증가했다. 주요 증감 원인은 배우자 명의 서울 구로구 오류동 아파트 가액 변동, 저축, 후원회 기부금 감소 등이다.

통일부 청사 내부 [사진=뉴스핌 DB]

이 장관은 배우자 명의 서울 구로 오류동 아파트 가액을 전년 대비 8800만원 오른 3억1900만원, 어머니 명의 충북 충주 칠금동 아파트는 1억1400만원으로 신고했다.

또 본인 명의 서울 구로 개봉동 빌딩 임차권 3000만원, 장남 명의 서울 마포구 합정동 복합건물 임차권 5000만원을 부동산 재산으로 신고했다.

이 장관 본인과 가족 예금은 5억4911만9000원, 본인 명의 2018년식 니로 하이브리드(배기량 1580㏄)는 1451만원이라고 고지했다. 후원회 기부금은 1억2936만7000원으로 전년보다 4448만1000원 감소했다.

채무로는 장남 명의 사인 간 채무 3000만원을 신고했다.

최영준 통일부 차관은 14억7349만1000원을 신고했다. 최 차관 재산은 저축액 증가, 배우자 및 자녀 주식 거래 등으로 증감했다.

최 차관은 배우자 명의 서울 마포구 공덕동 아파트와 어머니 명의 경기 의정부 호원동 아파트를 각각 9억600만원, 1억9200만원으로 신고했다. 예금은 3억7168만6000원으로 신고했다. 채무는 3724만2000원으로 신고했다.

백태현 통일정책실장은 6억9716만원, 박철 교류협력실장은 13억5420만원, 백준기 통일교육원장은 22억7564만원 상당을 각각 신고했다.

통일부 소속기관인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하나원) 이주태 소장의 재산은 종전 65억2721만원에서 약 71억1650만원으로 증가해 중앙부처 재산총액 상위자 9위에 올랐다.

박진원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사무처장은 2억2315만원, 정인호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이사장은 2억8457만원 상당을 각각 신고했다.

차관급인 김창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민주평통) 사무처장의 재산은 약 16억7687만원이다. 김 처장은 부친 명의로 서울 종로구 창신동 소재 아파트(80.00㎡·5억3300만원)를 보유하고 있다고 신고했다.

medialyt@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특검 "尹, 구속연장 없이 기소도 검토" [의왕=뉴스핌] 김학선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재구속된 이후 조은석 특별검사팀의 출석 요구에 잇달아 불응한 가운데 15일 윤 전 대통령이 수감된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 앞의 모습. 특검은 이날 윤 전 대통령에 대해 구속기간 연장 없이 바로 기소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5.07.15 yooksa@newspim.com   2025-07-15 14:38
사진
'반구천의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선사시대의 생활문화를 엿볼 수 있는 바위그림인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는 12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한국 정부가 신청한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2010년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15년 만의 결실이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총 17건(문화유산 15건·자연유산 2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반구천의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반구천의 암각화'는 국보로 지정된 울산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와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포함하는 유산이다.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는 작살 맞은 고래, 새끼를 배거나 데리고 다니는 고래 등이 생동감 있게 표현돼 선사시대 사람들의 생활상화 생태계를 엿볼 수 있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2010년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지난해 1월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했다. 이후 서류 및 현장실사 등 심사를 거쳤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반구천의 암각화'에 대해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그려진 사실적인 그림과 독특한 구도는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다양한 고래와 고래잡이의 주요 단계를 담은 희소한 주제를 선사인들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라고 평했다. 이어 "선사시대부터 약 6000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이면서 한반도 동남부 연안 지역 사람들의 문화 발전을 집약해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세계유산위원회는 등재 결정과 함께 사연댐 공사의 진척 사항을 보고할 것과 더불어 반구천 세계 암각화센터의 효과적 운영을 보장하고, 관리 체계에서 지역 공동체와 줌니들의 역할을 공식화하고,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주요 개발 계획에 대해 알릴 것을 권고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이번 '반구천의 암각화'의 세계유산 등재는 국가유산청과 외교부, 주유네스코대한민국대표부, 해당 지자체가 모두 힘을 합쳐 이뤄낸 값진 결과"라며 "이번 등재롤 계기로 '반구천의 암각화'가 가진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충실히 보존하는 한편, 지역주민과의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는 적극행정으로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상에 알려진 지 50여 년이 지났지만, 세계유산 등재까지는 쉽지 않은 긴 여정이었다"며 "앞으로도 국가유산청은 '반구천의 암각화'를 인류 공동의 유산으로서 가치를 지키고 잘 보존·활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alice09@newspim.com 2025-07-12 18:0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