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현 결단인 통신사업, 특혜 시비 곡절 뒤 성공사 써
최태원 회장, 하이닉스 인수 후 반도체 생태계 조성 노력
[서울=뉴스핌] 이강혁 산업부장 = 자산 292조원(2021년말 기준 / 공정거래위원회). 국내 대기업집단 자산 순위 2위로 올라선 SK에 국내외 경영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SK는 이중 삼중의 악재로 국내외 경영 불확실성이 고조된 상황에서 무려 16년이나 깨지지 않았던 '삼성-현대차'의 1-2위 구도를 '삼성-SK'로 바꿔놓으며 새 역사를 썼다.
자산 순위를 떠나 우리 경제의 최전선에서 뛰는 기업의 괄목할 만한 성장은 SK가 아니더라도 무척이나 반갑다.
SK의 성장에 특히 눈길이 가는 것은 매 순간이 우여곡절이었고 이 과정에서 보여준 총수의 결단이 성과로 이어졌다는 점이다. 고(故) 최종현 선대회장과 최태원 회장 2대에 걸친 책임경영(총수경영)이 아니었다면 성장의 문턱에서 좌절의 역사를 썼을 지 모를 일이다.
"최종현, 최태원 회장이 정유와 화학, 정보통신, 반도체로 이어지는 성장 동력을 맨땅에서 발굴했다". 재계 관계자의 이런 평가는 사실 SK의 성장사를 따라가 보면 납득이 간다.
[서울=뉴스핌] 이강혁 기자 = ikh6658@newspim.com |
SK가 국내 자산 2위 기업으로 성장하는데는 수많은 우여곡절이 있었다.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정보통신산업 진출 과정이다. SK는 10년 이상 정보통신 산업을 준비했고 우수한 실력으로 이동통신 사업자로 선정됐지만 정치권의 정쟁으로 사업권을 반납하는 억울한 일을 겪어야 했다.
때는 1984년. 최종현 선대회장은 당시 선경 미주경영기획실에 텔레커뮤니케이션팀을 신설하도록 했다. 1980년 유공을 인수한 뒤 석유화학을 기반으로 SK를 성장시켜 나아갔지만 한편으론 '포스트 오일' 시대에 대한 걱정이 많아서였다.
이 팀은 당시 정보통신 산업을 선도했던 미국에 현지법인(유크로닉스)을 설립하며 글로벌 시장 트렌드를 경험했고 이후 국내로 들어와 선경텔레콤(이후 대한텔레콤으로 사명 변경)을 설립하는 등 이통산업 진출에 돌입했다.
때마침 1992년 4월 체신부가 제2이동통신 민간사업자 선정계획을 발표하자 선경은 사업자 경쟁에 참여했다. 포항제철, 코오롱, 쌍용 등 6개 컨소시엄과 경쟁이 벌어졌으나 오랜 기간 준비를 한 선경을 따라올 경쟁자는 없었다. 선경은 심사결과 10000점 만점에 8388점을 얻어 그 해 8월 사업자로 선정됐다. 2위 포항제철(7496), 3위 코오롱(7099)과는 1000점 이상 큰 격차가 났다.
하지만 기쁨도 잠시. 대통령 선거를 앞 둔 집권당(민자당) 김영삼 대표가 "현직 대통령의 사돈기업에게 사업권을 부여한 특혜"라며 문제제기를 하면서 상황은 꼬였다. 체신부가 "공정하고 객관적인 심사였다"고 강변했고 경쟁자와의 압도적인 점수차가 객관적으로 드러났지만 정치권으로 확산된 특혜 공방은 쉽사리 가라 앉지 않았다.
이에 최종현 선대회장은 "특혜시비를 받아가며 사업을 할 수 없다. 오해 우려가 없는 차기 정권에서 실력으로 승부, 정당성을 인정받겠다"며 선정 일주일 만에 사업권을 반납했다.
이동통신사업자 선정은 김영삼 정부 시절에 재추진하게 된다. 김영삼 정부는 1993년 12월 투 트랙으로 이통사업자를 선정했다. 정부가 보유한 한국이동통신을 민영화하는 방안과 기업간 경쟁으로 제2이동통신 사업자를 선발하는 방안이었다.
김영삼 정부는 앞선 정부에서 제기된 특혜 공방을 의식한 듯 기업들이 자율적으로 사업자를 선정해 줄 것을 요구했다. 사업자간 이해관계가 복잡하니 재계의 맏형인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주도해 자율적으로 정리하라는 취지였다.
그런데 공교롭게 당시 전경련 회장은 최종현 선대회장이었다. 선대회장은 선경이 경쟁에 참여하고 실력으로 사업자로 선정되더라도 또 다시 공정성 시비가 불거질 우려가 있다며 아예 불참을 선언했다.
대신 한국이동통신 민영화 과정에 참여하기로 했다. 주식시장에서 한국이동통신 주식을 공개매입하면 공정성 시비를 원천 차단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했다. 다만 선경이 한국이동통신 민영화에 참여한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8만원 하던 한국이동통신 주가가 30만원대로 급상승했고 선경은 평소 주가 보다 4배 이상 높은 33만5000원에 한국이동통신 주식을 인수했다. 특혜시비를 100% 차단하는 대신 막대한 인수자금(4271억원)이 소요됐던 것이다.
당시 선경 내부에서도 지나치게 높은 가격이라는 우려가 나왔다. 하지만 최종현 선대회장은 "이렇게 비싸게 사야 나중에 특혜시비가 일지 않는다. 회사가치는 앞으로 더 키워가면 된다"라며 논란을 일축했다.
이후 선경은 한국이동통신 인수 직후부터 통신기술 고도화에 집중했고 1996년 1월 세계 최초로 CDMA 기술을 디지털 이동전화에 상용화에 성공했다. CDMA 방식은 세계 표준으로 확산되면서 대한민국이 CDMA 기술 종주국이라는 위상을 가질 수 있었다.
"특혜시비와 인수합병으로만 몸집을 키웠다는 주장은 사실관계를 모르고 하는 소리다".(재계 관계자)
정보통신 진출 과정의 곡절만큼 SK에 대한 곱지 않은 시선은 여전히 있다. 단적으로 하이닉스 등 제조업체를 인수해 자산을 키웠다는 일각의 지적이다. 하지만 이는 SK가 특정 기업을 인수한 뒤 보여 준 집중적인 투자와 육성 노력을 고려하지 않은 1차원적 분석이라고 보는 게 맞겠다.
실제 최태원 회장은 2012년 하이닉스를 인수한 뒤 업황부진으로 다른 반도체 기업이 투자를 줄일 때 정반대로 투자를 늘려 나갔다.
2012년 전년 대비 10% 증가한 3조9000억원을, 2018년에는 사상 최대인 17조원을 투자한 것이 단적인 예다. 또한 반도체 기술 경쟁력과 직결된 연구개발비도 인수 이전인 2011년 8340억원에서 인수 이후인 2013년 1조1440억원, 2019년 3조1890억원으로 증액해 나갔다.
뿐만 아니다. 최태원 회장은 반도체 생태계 조성에도 주력했다. SK는 2012년 청주 M12를 시작으로 2015년 M14(이천), 2018년 M15(청주), 2021년 M16(이천) 등 55조원을 투자해 국내에 축구장 29개 크기의 반도체 공장 4개를 증설했다.
이와 함께 반도체용 특수가스(SK머티리얼즈)와 웨이퍼(SK실트론) 회사를 인수, 반도체 연관 제품을 전략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했다. 경기도 용인시에는 SK하이닉스와 50여 개 소재, 부품, 장비 협력업체와 연구소 등이 참여하는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프로젝트도 추진중이다.
삼성전자 주도의 한국의 반도체 경쟁력을 한단계 더 높여놓은 결과이자, 하이닉스가 SK에 인수된 지 10년 만에 매출 4배, 시가 총액 6배 상승이라는 '효자 기업'으로 변신한 원동력이다.
투자는 현재 진행형이다. 특히 반도체 매출 상승에 따른 경영성과를 바탕으로 낸드 전문기업인 키옥시아(옛 도시바 메모리)에 4조원 규모 지분투자를 단행(2017년)하고, 인텔 낸드플래시 메모리 사업부를 10조3000억원에 인수(2020년)하는 등 자산증가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냈다.
복수의 SK 구성원은 말한다. '자산 순위 2위'라는 새 역사는 적어도 최종현 선대회장부터 쌓은 경영적 결단과 기업 체질 개선 노력이 아들 최태원 회장으로 이어지면서 꽃을 피웠다고.
선친이 에너지, 화학과 정보통신의 기틀을 닦고 아들은 하이닉스를 인수한 뒤 반도체(Chip) 생태계를 조성하고 전기차배터리(Battery)와 바이오(Bio) 등 이른바 BBC를 탑재하면서 재계 2위의 성과를 만들어 냈으니 SK 구성원들의 이런 평은 당연해 보인다.
ikh6658@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