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문화·연예 드라마·예능

최선우, 쿠팡플레이 '유니콘' 출연…신하균·원진아와 호흡

기사입력 : 2022년08월26일 08:27

최종수정 : 2022년08월26일 08:27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감독 겸 배우 최선우가 쿠팡플레이 시트콤에 출연한다.

소속사 샛별당엔터테인먼트는 26일 "최선우가 쿠팡플레이 시트콤 '유니콘'에서 사회성은 조금 부족하지만 일처리는 잘하는 내성적인 인물을 연기한다"고 밝혔다.

'유니콘'은 조금은 제정신이 아닌 K-스타트업 '맥콤'의 CEO '스티브'(신하균)와 크루들의 고군분투를 그려낸 시트콤이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배우 최선우 [사진=샛별당엔터테인먼트] 2022.08.26 alice09@newspim.com

'극한직업', '멜로가 체질'의 이병헌 감독이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를, '멜로가 체질'의 김혜영 감독이 연출을 맡았으며, 'SNL'의 유병재 작가와 '어쩌다 발견한 하루' 인지혜 작가가 각본을 맡아 공개 전부터 뜨거운 화제를 모으고 있다.

극 중 최선우는 스타트업 '맥콤'에 소속된 개발자로 애니메이션 오타쿠에 사회성은 조금 부족하지만 일처리는 잘하는 내성적인 인물을 연기한다. 신하균, 원진아를 비롯한 '맥콤' 크루들과 유쾌한 호흡을 선보일 예정이다.

최선우는 소속사를 통해 "첫 방송을 앞두고 굉장히 떨린다. 저와 개발실 직원들 모두 보이지 않는 곳에서도 맡은 역할에 충실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중옥 선배님을 필두로 한 개발실 팀의 앙상블을 기대해 달라"며 "참 웃다가도 어느 순간 먹먹해지는 '유니콘'의 에피소드 하나하나 모두 즐겁게 지켜봐 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양대 연극영화과를 졸업한 최선우는 제2회 충무로뮤지컬영화제 상영작인 '너희가 휘모리를 아느냐', 2015 청소년 영화제 상영작인 '옥상로맨스' 등 유수 영화제를 통해 자신의 작품을 소개하며 얼굴을 알렸다.

또 2020 상록수다문화국제단편영화제 경쟁 본선진출작이자 제주혼듸독립영화제 혼듸경쟁 진출작 '번개가 떨어졌다'의 주연으로 인상 깊은 연기를 펼쳤으며, 배급사 퍼니콘에서 주최한 코로나19 극복 특별기획전 '아웃겨' 부문 상영작 '무모한'의 연출과 배우 두 역할을 동시에 소화하며 진가를 인정받은 바 있다.

최선우가 출연하는 쿠팡플레이 '유니콘'은 오늘(26일) 저녁 8시에 공개된다.

alice09@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공천개입 의혹' 윤상현 의원, 김건희 특검 출석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공천 개입 의혹을 받는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이 27일 오전 소환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 마련된 김건희 특검 사무실로 출석하고 있다. 2025.07.27 mironj19@newspim.com   2025-07-27 09:41
사진
정부조직 개편 방식 '안갯속' [서울=뉴스핌] 윤채영 기자 = 이재명 정부의 조직 개편 발표가 오는 8월 13일로 정해진 것으로 확인됐다. 국정기획위원회는 이달 말 대국민보고를 할 계획이었지만 미뤄지면서 정부조직 개편의 구체적인 방식은 안갯속이다. 26일 뉴스핌 취재를 종합하면, 국정위는 정부 조직 개편안 등을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고하며 막바지 정리 작업 중에 있다. 개편이 유력한 기획재정부와 검찰 조직 등에 대한 추가 검토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이한주 국정기획위원회 위원장.2025.07.22 gdlee@newspim.com 국정위는 당초 이달 중 대국민보고 등 주요 일정을 마칠 계획이었다. 국정위의 법적 활동 기한은 60일로 오는 8월 14일까지 활동할 수 있다. 1회 한해 최장 20일까지 연장할 수 있지만 국정위는 조기에 활동을 마무리 하겠다고 했다. 국정위의 속도전에 제동이 걸린 데는 정부의 첫 조직 개편인 만큼 조금 더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와 산업자원통상부의 기후와 에너지 파트를 분리해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는 과정에서 각 부처의 반발도 나오는 점 등이 대표적이다. 또 이 대통령이 이달 말에서 내달 초 방미 일정이 잡힐 수 있다는 점도 정부조직 개편이 늦어진 배경인 것으로 전해졌다. 1차 정부조직 개편안에는 기재부의 예산 분리 기능과 검찰청 폐지가 담길 것이 유력하다. 조승래 국정위 대변인은 앞서 "기재부 예산 기능을 분리하는 것과 (검찰청의) 수사와 기소 분리는 공약 방향이 명확하다"고 말했다. 기재부 조직 개편은 ▲예산 편성 기능을 분리해 과거의 기획예산처를 되살리고 나머지 기능은 재정경제부로 개편하는 안 ▲예산처가 아니라 재무부를 신설하는 안 ▲기재부 내에서 기능을 조정하는 안 등이 거론돼 왔다. 이 방안들을 놓고 국정위는 검토하고 있다. 현재는 기획재정부를 기획예산처와 재정경제부로 나누는 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국정위는 초안 등과 관련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는 상황이다. 검찰청 폐지 골자의 검찰 조직 개편안도 이번 조직 개편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여당에서는 검찰의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하는 내용의 '검찰개혁 4법'을 발의했다.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발의한 법안에는 검찰 권력의 핵심인 기소권은 법무부 산하에 공소청을 신설해 여기로 이관하는 내용이 담겼다. 수사권은 행정안전부 산하에 중대범죄수사청을 신설해 이곳으로 넘기기로 했다. 다만 수사권을 행안부 산하에 둘지 법무부 산하에 둘지를 두고는 여권 내에서도 이견이 있어 더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개편 방안을 놓고도 논의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금융위 해체 차원의 '금융위 정책과 감독 기능 분리' 조직 개편안이 유력했다. 그러나 최근 여당에서 기획재정부 내 국제금융 업무를 금융위로 이관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하며 '금융위 존치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금융위 해체론에 제동이 걸렸다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이 역시도 오리무중인 상황이다. ycy1486@newspim.com 2025-07-26 07: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