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글로벌 기타

속보

더보기

[2023 양회] 시진핑이 선택한 4인 ① 리창, 뼛속까지 친기업 마인드

기사입력 : 2023년03월07일 10:47

최종수정 : 2023년03월07일 12:05

시진핑 핵심측근, 11일부터 중국 총리직 수행 예정
'중국의 유대인' 칭호 뛰어난 상술 원저우 출신

3월 4일 전국정치협상회의 개막으로 시작된 중국 최대 정치행사 양회(兩會)는 3월 13일 전국인민대표대회 폐막으로 종료될 예정입니다.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 7인 중 리창(李強), 자오러지(趙樂際), 왕후닝(王滬寧), 딩쉐샹(丁薛祥) 등 4명의 직책이 이번 양회 기간에 확정되게 됩니다. 이에 본지는 이들 4인을 소개해보는 기획기사를 준비했습니다. 

[서울=뉴스핌] 조용성 기자 = 중국의 총리는 '실세 총리'다. 우리나라와는 달리 총리가 행정부 내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국제무대에서도 강한 발언권과 높은 위상을 지닌다. 중국의 총리를 역임했던 리펑(李鵬), 주룽지(朱鎔基), 원자바오(溫家寶), 리커창(李克強) 등 모두가 실세 총리였다. 현재 진행 중인 전국인민대표대회는 오는 11일 리커창 총리의 후임인 신임 총리를 선출할 예정이다. 신임 총리로는 지난해 10월 진행됐던 중국공산당 전국대표대회(당 대회)에서 중국공산당 서열 2위 상무위원에 오른 리창(李強)으로 내정된 상태다.

중국의 총리는 내정을 책임진다. 우선 중국 정부 예산 집행을 총괄한다. 올해 중국 정부 예산 규모는 27조5130억위안(한화 약 5142조원)으로 우리나라 예산규모(638조원)의 약 8배 규모다. 약 1조위안(187조원)에 육박하는 중국의 해외투자도 총리 산하 국무원의 승인 하에 이뤄진다. 또한 GDP 121조위안 규모의 거대 중국 경제 내의 사업권과 인허가권 역시 총리의 손에 쥐어져 있다. 중국의 총리는 대규모 순방단을 이끌고 전 세계를 누비며 각 국 정상들과 정상회담을 진행한다. 리창 신임총리는 향후 5년간 이같은 막강한 권한을 행사하게 된다. 

리창은 3월 11일 총리로 선출된 후 3월 13일 전인대 폐막 직후 진행되는 내외신 기자회견에서 2시간 정도 질의응답을 할 예정이다. 중국의 경제, 사회 정책은 물론 우크라이나 전쟁, 미중 갈등, 동북아 정세 등에 대한 중국의 입장이 공개될 예정이다. 사실상 리창 총리의 국제무대 데뷔전이라고 할 수 있다.

전임자인 리커창 총리는 과거 10차례의 전인대 기자회견에서 재치가 넘치며 좌중을 휘어잡는 언변으로 열정 넘치는 모습을 보였다. 리커창은 강한 리더십과 카리스마를 선보이며, 중국의 비전을 제시하는 경우도 많았다.

반면 리창 신임 총리는 본인 성격에 걸맞게 침착하고 차분하며 꼼꼼하고, 디테일에 강한 면모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전임자인 리커창 총리가 후진타오(胡錦濤) 전 주석이 이끌던 공청단(共青團) 출신으로, 권력에 일정부분 지분이 있었던 것과 달리, 리창은 시진핑 주석이 발탁한 인사로 전임자처럼 비전 제시를 하며 카리스마 넘치는 리더십을 보이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대신 시 주석이 결정한 방향을 논리적이면서 성실하게 설명하는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신임 총리로 내정된 리창 상무위원[신화사=뉴스핌 특약]

◆ 상하이 봉쇄에도 변함없는 시진핑 주석의 신임

리창은 1959년생으로 저장(浙江)성 원저우(溫州)시 출신이다. 1982년 저장농업대학 농업기계과를 졸업한 후 공직에 입문했다. 1984년부터 주로 저장성 성정부 민정청에서 근무했으며, 2002년부터 2004년까지 고향인 원저우시 서기로 일했다. 이 시기 리창은 자신의 인생을 송두리째 바꿔 놓을 운명적인 '귀인'을 만나게 된다.

시진핑 주석은 2003년부터 2007년까지 저장성 서기로 근무했다. 시 주석은 당시 원저우시 서기이던 리창을 눈여겨보았으며, 2004년 리창을 차관급인 저장성 부서기 겸 성정부 비서장으로 발탁했다. 그는 부서기로서 시진핑 당시 저장성 서기와 호흡을 맞췄고, 시진핑의 핵심 측근으로 자리잡았다. 시진핑 주석이 중앙 정계에 진출한 이후 리창 역시 승진가도를 걷게 된다.

리창은 시진핑 주석이 중국공산당 총서기에 등극하던 2012년에 장관급인 저장성 성장에 올랐으며, 2016년 장쑤(江蘇)성 서기로 승진해 갔다. 2017년에는 당내 서열 25위 이내인 정치국위원에 올랐으며, 이 해부터 2022년까지 상하이시 서기(부총리급)로 근무했다.

좀체 언론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리창이지만 지난해 3월 코로나19로 인해 상하이시가 봉쇄되면서 전 세계적인 관심인물이 됐다. 두 달간 이어진 상하이 봉쇄는 중국 경제는 물론 글로벌 경제에 충격을 안겼다. 당시 리창 상하이시 서기는 도시 봉쇄에 부정적인 의견을 개진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하지만 중앙정부의 결정을 받아들여 2500만명 인구의 '중국의 경제심장' 상하이 전체 봉쇄를 단행했다. 두 달여 봉쇄로 인해 상하이 민심이 악화됐지만, 시진핑 주석은 여전히 리창을 신임했고, 지난해 10월 당대회에서 그를 차기 총리로 낙점했다.

◆ 중국에서 보기 드문 친기업 인사

리창 신임 총리는 중국에서 보기 드문 '친(親)기업' 인사로 평가된다. 그가 태어난 원저우시는 뛰어난 비즈니스맨을 많이 배출된 탓에, 원저우시 사람들은 '중국의 유대인'으로 불린다. 그가 자연스레 친기업 마인드로 무장되어 있음을 유추할 수 있는 대목이다. 블룸버그 통신은 "리창은 시장 친화적인 유능한 경제 기술자"라는 평가를 내리기도 했다. 

실제 그는 2007년 중국 잡지인 차이신위클리와의 인터뷰에서 "경제 건전성을 가장 잘 나타내는 척도는 민간 부문의 활성화 정도다"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또한 그는 상하이시 서기로 재직하던 시기, 중국의 법규정을 개정해가면서 테슬라의 상하이 공장 설립 허가를 주도했다. 또한 새로 조성한 상하이 린강(臨港) 첨단기술지구에 중국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제조) 업체인 SMIC의 공장을 유치하는 성과를 내기도 했다. 

때문에 총리직에 오른 리창은 중국을 더욱 시장 친화적으로, 더욱 친기업적으로 만들어나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ys174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한수원 체코 원전 본계약은 언제쯤 [세종=뉴스핌] 최영수 선임기자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체코원전 수주 최종 계약과 관련 "4월 말이나 5월 초에는 마무리하고자 한다"고 제시했다. 안 장관은 9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현안 질의에서 이 같이 언급했다. ◆ 안덕근 "체코원전 계약, 체코 내부적 최종 검토중" 당초 정부는 올해 3월 말 최종 계약을 목표로 추진해 왔으나, 아직 계약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것에 대해 여야 의원들의 지적이 제기됐다. 박성민 국민의힘 의원은 "체코 원전 수주 최종 계약을 3월 말에 체결하려다 4월로 미뤄졌다. 언제쯤 가능하겠냐"고 지적했다. 김정호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체코원전 계약 시한이 3월 말이었는데 지연 사유가 무엇이냐"고 따져물었다. 이에 대해 안 장관은 "지금 문서작업은 완료된 것으로 안다"면서 "체코 내부적으로 계약 내용을 최종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답했다. 그는 이어 "현지 사정이 마무리되는 대로 4월이나 5월 초에는 마무리하고자 한다"고 제시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서 열린 미 상호관세 조치 등 통상 현안질문에서 의원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25.04.09 pangbin@newspim.com ◆ 미국이 원전수출 통제? "문제없이 진행중" 미국과의 원전기술 협력 문제가 원활하지 못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김정호 의원은 "체코원전 관련 미국이 수출을 승인했느냐"면서 "앞으로 유럽국가에 추가로 수출할 때 독자로 수출할 수 있는 것이냐, 매번 미국이 승인해 줘야 하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안 장관은 "(체코원전 수출 승인) 관련 절차 진행 중이고 아무 문제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김 의원은 "그런데 왜 스웨덴이나 슬로베니아, 네덜란드 등 국가의 원전 사업에서 한수원이 완전히 철수했느냐"고 따져물었다. 이에 대해 안 장관은 "그것은 경제성을 보고 판단한다"면서 "자동차처럼 미리 만들어 놓고 막 수출하는 게 아니지 않느냐"고 반박했다. 체코 두코바니 원전 모습 [사진=한국수력원자력] 박성민 의원은 "앞으로 무탄소 시대에 어마어마한 원전시장 열린다. 국부를 창출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린다"고 언급했다. 그는 이어 "하지만 웨스팅하우스와 기술 이전료 등 문제가 추가로 생길 수도 있다"면서 "아예 대한민국 기술로 매입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안 장관은 "백번 맞는 말이다. 여러 가지로 검토하고 있다"면서 "미국 신임 에너지부 장관 만났을 때 원전 협력과 관련 강한 공감대와 의지 표명했다"고 전했다. ◆ 한미 원전협력 '삐걱'…'독자 핵무장론' 빌미 지적 한미 양국간 원전협력이 '삐걱'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는 윤석열 정부가 무리하게 '독자적인 핵무장론'을 제기하면서 빌미를 줬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김정호 의원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독자적인 핵무장을 공공연하게 발언했고, 국민의힘에서도 그렇게 주장한 의원님들 계셨고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기술 유출 우려가 제기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가 체코 원전 독자 수출을 고집해서 이것이 미국의 핵기술 원천기술이 유출될 수 있기 때문에 자신들의 통제 밖에서 독자 개발 우려가 나왔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안 장관은 "웨스팅하우스와의 계약문제는 일방적인 내용을 설명하고 계시는데, 한수원에서 이번에 양쪽 다 소송을 중단하기로 하고 호혜적으로 크게 도움을 받는 면이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민감국가 지정은) 미국 에너지부의 공식적인 설명이 기술보안 문제로 설명하고 있고, 지금 실무협의가 진행되고 있다"고 답했다. dream@newspim.com 2025-04-09 17:54
사진
[서울이코노믹포럼]김현철"신남방정책 재건"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최수아 인턴기자 = 김현철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잘못된 경제 정책으로 초래된 대한민국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재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8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계속된 경제 추락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경제 전략적 안정성과 우월성 관점에서 글로벌 경제 전략을 다시 설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그는 현재 대한민국의 가장 큰 경제 위기는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라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관세를 낮추는 자유무역협정(FTA)과 같은 기존의 통상 정책으로 극복할 수 없다"며 관세 협상뿐만 아니라 방위비, 조선업, 에너지 등을 총체적으로 트럼프 정부와 협상하는 신통상 정책을 제안했다. 대중국 전략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며 '탈중국'을 선언했다. 당시 경제계와 학계는 경악하며 '탈중국은 절대 안 된다'고 경고했지만 사회는 침묵했고 결국 2023년 경제성장률 1.4%라는 수치를 기록하며 대한민국 경제를 무너뜨렸다"고 지적했다. 신남방 정책 재건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는 자주적 신남방 정책을 버리고 한국판 인태전략이라는 종속 정책을 채택했다"며 "이제는 공급망 발상이 아니라 판매망 발상으로 바꾸는 새로운 신남방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경제 영토도 확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신남방을 중심으로 아프리카와 중남미 지역을 포함해 유럽, 호주, 캐나다, 일본 등을 대한민국의 경제 파트너로 끌어들이는 'A+1,1,1'이라는 새로운 경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정책 외에도 대한민국 지역 전략을 새롭게 설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구체적으로 ▲제조업 재활성화 ▲AI를 중심으로 한 신산업 전략 설정 ▲신기술 전략 설정 및 육성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 교수는 기존의 수출 중심 경제 모델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물론 수출은 대한민국 경쟁력의 원천이긴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한 시대가 됐다"며 "새로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수립하고 내수 경제도 활성화시키면서 대한민국을 다시 한번 글로벌 허브로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12:4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