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지혜진 기자= "전광훈 목사께서 우파 진영을 전부 천하통일 했다."
김재원 국민의힘 최고위원의 발언이 연일 뜨겁다. 김 최고위원은 3·8전당대회가 끝난 후 첫 주말, 전광훈 목사가 주관하는 예배에 참석해 "5·18 정신을 헌법에 넣겠다고 하는데 전라도 표가 나올 줄 아느냐"라는 전 목사의 말에 "그건 불가능하다. 저도 반대한다"고 말했다. 전 목사가 "전라도에 대한 립서비스가 아닌가"라고 되묻자 "표 얻으려면 조상 묘도 판다는 게 정치인"이라며 거들기도 했다.
그가 집권여당의 최고위원이 되자마자 이같은 '우향우' 행보를 지속하자 김기현 대표를 비롯해 당 지도부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극우화 우려'는 김 최고위원에게만 향한 게 아니다. 전당대회 내내 당내에서는 우경화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
기존 당원투표 70%, 여론조사 30%를 합산한 방식이 아닌 당원투표 100% 규정이 도입되면서 강신업·김세의·신혜식 등 극우성향의 유튜버들이 대거 출사표를 던졌다. 당심에만 호소하면 된다는 생각에 극우 인사들도 해볼만 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전당대회 초기 여론조사에서 안철수 의원이 1위로 올라서자 한 친윤계 인사는 안 의원을 향해 "공산주의자인 신영복을 존경한다"며 색깔론을 들고 나왔다.
"제주 4·3사건은 북한 김일성 지시에 의해 촉발됐다"는 당시 최고위원 후보 태영호 의원의 발언도 비슷한 맥락이다.
이같은 말과 행동이 호소력이 있을 곳은 매우 좁은 범주에 불과하다.
특히 김 최고위원에게 정치는 '편의 정치'이자 '표심 얻기'에 불과한 모양이다.
사회학자 엄기호는 '단속사회'에서 '편'이라는 말을 단순화해 사회과학 용어로 바꾸면 '정치적인 것'에 가까울 것이라고 했다. 정치적인 것은 이편과 저편을 나누는 적대에 기초한다는 설명이다.
"편이 바라는 것은 '힘'이다. 내 편을 들어줄 것을 요구하느 것은 숫자, 즉 세를 늘려 저편을 제압하겠다는 뜻을 품는다. 따라서 편의 언어는 공격적이고 맹목적인 경우가 많다. 편의 정치는 끊임없이 적대를 창조하고 그 적대로 사람들을 몰아가며 너는 누구 편이냐고 윽박지르며 '곁'을 파괴한다."
그러나 투표는 정치의 전부가 아니다. 편가르기도 마찬가지다. 정치는 일상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당권을 잡자마자 김기현 지도부가 "첫째도 민생, 둘째도 민생, 셋째도 민생"을 외치는 까닭도 정치가 사실은 삶과 밀접하다는 걸 잘 알기 때문이다.
가장 넓은 의미에서 정치의 최종 목적은 개인의 삶과 생명을 보호하는 일이다. 국가는 정치를 통해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 상태를 예방한다.
전당대회 과정에서 정치는 '친윤'과 '비윤'으로 분열하는 등 투쟁하는 모습을 지나치게 많이 보여줬다. 새 지도부가 '연포탕(연대·포용·탕평) 정치'를 한다고 약속한 만큼 집권여당이 더는 투쟁으로만 흘러가지 않길, 곁을 넓히는 정치를 하길.
heyj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