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현지 법인과 관계 끊긴 제약바이오사, 올해만 4곳
국내 제약사 경쟁력의 문제…신약 기술 지니고 틈새시장 노려야
세계의 공장,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이 미국과의 패권전쟁과 공급망 리스크, 부동산 리스크까지 겹치며 장기 불황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중국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내 산업계 역시 중국 사업이 기로에 선 상황. 중국 의존도를 낮춰야 하면서도, 여전히 큰 시장 중국을 놓칠 수 없는 한국 기업들의 대응 전략을 살펴봤다.
[서울=뉴스핌] 방보경 기자 = 전세계 의약품 시장 2위 점유율을 자랑하는 중국에서 국내 제약사들이 물러서고 있다. 마땅한 신약이 없는 상태에서 현지 법인과의 계약 해지 위험성을 안고, 글로벌 기업들과도 경쟁해야 한다. 업계에서는 연구개발에 속도를 내 자체적인 역량을 키울 수밖에 없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올해 4곳의 제약바이오사에서 중국 현지 법인과의 관계 문제가 불거졌다. 지난달 보령(구 보령제약)은 중국 파트너사인 시노팜과의 겔포스 독점판매 계약을 해지했고, 메디톡스도 히알루론산 제조 유통기업에 협력 중단을 통보받았다. 일양약품은 중국법인과의 합자계약 해지 소송을 제기했으며, 안국약품도 진해거담제 '애니코프' 공급계약을 맺었던 중국 기업과의 계약을 해지했다. 중국 시장에 진입한 제약사들이 잇따라 고배를 마시고 있는 셈이다.
[베이징 신화사= 뉴스핌] 주옥함 기자=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은 현지시간 4일 저녁 8시에 베이징 국가 주경기장인 냐오차오에서 개최됐다. 사진은 중국 국기를 계양하는 모습. 2022.02.04wodemaya@newspim.com |
중국은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의약품 시장을 자랑하는 국가로, 한국 제약사들이 일찍이 뛰어들어 사업을 전개해 왔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의하면 중국 제약시장 연평균 성장률은 4.9%며, 올해는 그 규모가 1조9700억 위안(약 360조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중국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수요는 꾸준히 있지만, 국내 제약사들의 글로벌 경쟁력 자체가 부족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해외에서 견줄 만한 혁신 신약이 없다는 것이다. A제약사 관계자는 "삼성바이오로직스나 셀트리온 같은 바이오 기업들을 제외하면 글로벌 사업을 전개하는 제약사가 없다"며 "제약사들이 철수하는 건 중국 시장만의 문제가 아니며 미국이나 유럽에서도 존재감이 미미하다"고 꼬집어 말했다.
몇몇 국내 제약사들은 현지 법인의 도움을 받아 중국 진출을 시도하지만, 그마저도 계약 위반 이슈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국 내 사업은 국가를 상대로 하는 만큼 상대적으로 기업 대 기업의 원칙이 갖춰지지 못해 계약을 번복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전에도 메디포스트, 유한양행, 한국유나이티드제약 등에서 계약 불이행 이슈가 불거졌다.
유수의 글로벌 기업들도 중국 시장에 진입하면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노바티스는 지난달 콜레스테롤 신약 '렉비오(성분명: 인클리시란)'에 대해 중국 허가를 받았으며, GSK의 백신도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임상 4상에서 유효성을 성공적으로 입증했다.
업계에서는 신약 개발을 마친 회사들이 중국에 진입할 역량을 갖출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한다. 중국에서 제네릭 시장은 포화 상태로 중국 정부도 물량을 규제하기 위한 시도에 나섰기 때문이다. 중앙 정부는 지난 2019년부터 제네릭이 2개 이상인 의약품에 대해 공동 조달을 시작하면서 가격을 통제하기 시작했다. 중국 시장에 능통한 업계 관계자는 "국가에서 가격을 정해서 일괄 구매하겠다는 건 곧 제약사 이윤을 통제하는 걸 의미하는데, 사실상 제네릭으로 중국시장에 진입하기는 어렵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방법도 있다. 실질적으로 중국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을 마련하되, 글로벌 제약사들이 진입하기에는 파이가 작은 시장을 공략해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동아에스티가 2014년 중국에서 크로세린으로 결핵치료제 시장 진입에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도 당시 정부 측에서 결핵환자 치료율을 적극적으로 낮추려고 노력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hell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