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한미 조선 협력전략 제시
LNG·상선·군함 분야별 전략 필요
미래형 선박·인력 양성도 강조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미국이 조선산업 재건에 속도를 내며 2037년까지 최대 448척의 선박을 발주할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과 관련 법안들이 잇따라 추진되면서 LNG 운반선, 상선, 군함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미국 조선산업 재건에 대응해 사업성이 높은 분야 중심으로 한미 협력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경협은 19일 류민철 한국해양대 교수에게 의뢰해 '미국 조선산업 분석 및 한미 협력에서의 시사점' 보고서를 발간하고, 한미 조선산업 협력방안을 제시했다.
![]() |
HD현대중공업 야드 전경. [사진=HD현대중공업] |
보고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9일 서명한 '미국 해양 지배력 회복 행정명령(EO 14269)'을 통해 조선산업 재건에 본격 착수했다고 설명했다. 중국산 선박과 장비에 대한 제재, 미국 국적 상선 확대, 해양안보 신탁 기금 조성 등이 주요 내용이다.
이어 미국 무역대표부는 지난달 17일 중국 선박에 입항 수수료를 추가로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조선 및 항만 인프라법(SHIPS for America Act)도 발의돼, 전략상선단을 250척까지 늘리고 LNG 수출 화물의 일부를 자국 선박으로 운송하도록 했다.
미 해군은 앞으로 30년간 군함 364척을 신조할 계획이며, 트럼프 대통령은 쇄빙선 40척 발주 방침도 밝혔다. 보고서는 이에 따라 2037년까지 최대 448척의 발주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LNG 운반선과 상선, 군함, 차세대 선박 등 분야별로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LNG 운반선은 현지 건조 여력이 부족한 만큼 우리 기업의 현지화 전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전략상선단은 중형 선박이 많아 국내 중형 조선사의 수주 확대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분석했다.
군함 관련해선 전투용 함정은 첨단 무기체계와 연계돼 있어 당장 수주 가능성은 낮다고 봤다. 선체 유지보수 사업부터 신뢰를 쌓아 점차 확대하고, 장기적으로는 무기체계 포함 정비사업에 참여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신조 분야에선 수송함과 상륙함에 집중하고, 무기체계 고도화를 통한 수출 경쟁력 제고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차세대 선박 분야에선 CO₂ 운반선, 액체수소 운반선, 무인 자율운항선박 관련 기술 확보와 사업화를 위한 한미 공동기금 조성을 제안했다.
![]() |
2037년까지 미국 최대 발주 예상 선박 수 [사진=한경협] |
보고서는 미국 조선소 인수 및 인프라 투자에 필요한 보조금 세부 내역, 생산성 제고 방안에 대해 한미 양국이 사전 협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국내 인력 유출을 방지하려면 국내 인력양성 방안도 병행 추진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미국이 경험 없는 선박의 일부는 국내에서 먼저 건조하고, 현지 인력을 참여시켜 교육 효과를 높이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은퇴 조선인력의 미국 조선소 재고용 방안도 함께 언급됐다.
보고서는 또 핵심 기술을 제외한 조선기술의 해외 수출 규제 완화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류 교수는 "미국과 함께 인력과 공급망 기반을 확보하고, 미국 정부의 정책 방향 변화에 따른 리스크도 점검해야 한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마지막으로 미국, 인도 등 각국과 조선협력 수요가 증가하는 만큼, 외교·통상·산업 등을 통합한 육성 전략 마련과 조선산업 연구소 설립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상호 한경협 본부장은 "미국 조선산업 재건으로 한국 조선업의 경쟁력 확보가 더욱 중요해졌다"며 "정부와 국회는 자율운항·수소선박 등 미래형 선박 지원과 스마트 조선소 구축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