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9년까지 진주·사천을 거점으로 운영
글로벌 기준 실증·인증·허가 제도 적용
[창원=뉴스핌] 남경문 기자 = 경남도는 '차세대 첨단위성 글로벌 혁신특구'로 최종 지정돼 다음달부터 본격적인 우주산업 육성에 나선다고 21일 밝혔다.
제15차 규제자유특구위원회에서 신규 지정 의결된 이번 특구는 진주시와 사천시를 거점으로 2029년 12월까지 운영된다.
![]() |
경남도 '차세대 첨단위성 글로벌 혁신특구' 웹이미지 [사진=경남도] 2025.05.21 |
글로벌 혁신특구는 중소벤처기업부가 2023년부터 시행한 사업으로 기존 규제자유특구를 고도화해 미래기술 분야의 신제품 개발과 해외 진출을 위한 실증, 인증, 허가에 이르기까지 글로벌 기준에 맞는 제도를 적용하는 구역이다.
도는 지난해 12월 글로벌 혁신특구 후보지역으로 선정된 후 특구계획 공청회와 지역주민·기업 의견 청취를 거쳐 최종 지정됐다.
경상국립대학교를 총괄 주관기관으로 하는 이번 특구는 위성체·발사체 제조시장과 민간위성 개발사업 수요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차세대 첨단위성 개발에 필요한 프로세스를 마련한다. 우주소자·부품 단위 국내외 실증을 지원해 우주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스탠다드 선점을 지원할 계획이다.
차세대 첨단위성은 뉴스페이스 시대에 혁신적인 우주기술을 적용해 궤도상서비싱, 우주쓰레기 처리, 우주자원 채굴, 우주태양광, 위성 간 레이저통신 등 기존에 없던 형태의 임무를 수행하는 인공위성이다.
도는 민간 우주산업 육성을 위해 차세대 첨단위성 해외 공동 연구개발, 가상실증환경·지상국 구축, 해외실증 거점 네트워크 지원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이를 통해 국내 우주산업 기업체의 경남 유입과 도내 우주기업의 사업 기회 확장을 기대하고 있다.
주목할 점은 대전 우주기술 특구에서 개발한 고압가스 부품이 경남 차세대 첨단위성 글로벌 혁신특구에 적용돼 '대전-경남-전남' 간 우주산업 삼각 클러스터의 연결고리를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이다.
유명현 경남도 산업국장은 "우주산업 분야 규제특례 부여로 국내 유수의 우주산업 기업체가 경남에 유입되고, 도내 우주기업의 사업 기회를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차세대 첨단위성 글로벌 혁신특구는 경남의 신사업 육성의 토대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