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9건 사칭 사례 확인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시는 22일 공공기관·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사칭 사기 수법이 서울시와 자치구 부서, 보건소에서 최소 9건 이상 발생한 것에 대해 '공무원 사칭 피해주의보'를 발령하고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상으로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사기 수법은 공무원을 사칭해 물품 구매를 대행해달라고 요청하고, 물품 대금 명목으로 선입금을 요구한 뒤 연락을 끊는 방식이다. 공무원 사칭 피해는 7월 들어 청주시, 안양시, 의정부시, 화성시, 양양군, 광명시, 횡성군 등에서 발생했고 경기소방과 충북소방, 강원소방과 같은 공공기관으로도 확산되고 있다. 수법이 더 조직적이고 정교해지고 있다.
![]() |
공무원 사칭 사기 피해예방수칙 [자료=서울시] |
서울시는 공무원을 사칭한 피해사례를 확인하기 위해 긴급 실태조사를 실시했으며, 최소 9건의 사례가 발견됐다. 이 중 2건은 실제 금전 피해가 발생했으며, 7건은 미수에 그쳤다.
서울시에서 확인된 사례들은 정상적인 거래처럼 보이도록 위조된 명함과 발주서를 사용해 피해업체로부터 대리납품을 유도하고, 납품 대금을 계좌이체하도록 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이와 같은 피해를 사전 예방하기 위해 서울시는 '공무원 사칭 사기 4대 피해예방수칙'을 마련하고, 서울시 누리집과 중소기업중앙회, 소상공인연합회와 같은 유관기관을 통해 집중 홍보에 나섰다. 앞으로도 공공기관 사칭 사기 수법의 고도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모니터링과 관계기관 공조, 시민 대상 홍보활동을 지속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김명선 공정경제과장은 "실태조사를 통해 서울시에도 공무원을 사칭한 대리납품 피해가 실제 발생한 것이 확인됐으며, 중소기업․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공무원 사칭 사기 시도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물품구매 대행이나 선입금 요구 등 의심스러운 연락을 받으면 거래를 즉시 중단하고 서울시 공식 채널을 통해 진위를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