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화하는 AI 기반 사이버 위협 대응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은 1일 최근 주요 사이버 침해 사고에 대한 대응 현황을 점검하고, 국가 정보보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범부처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사이버안보 현안 점검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회의는 오현주 국가안보실 3차장 주재로 열렸으며, 국가정보원·과학기술정보통신부·외교부·국방부·행정안전부·산업통상자원부·보건복지부·금융위원회·개인정보위원회·경찰청 등 10개 부처가 참여했다.
이날 점검회의에서는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지능화·고도화하는 사이버 위협에 대응할 정보보호 및 사이버 안보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 |
대통령실 청사 [사진=뉴스핌DB] |
민간·공공의 핵심 인프라와 중소기업 등 새로운 분야의 보안 수준을 제고할 방안, AI 기반 공격과 소프트웨어(SW) 공급망 위협 등 새 사이버 위협에 대응할 제도개선 방안, 기업·기관의 정보보호 최고책임자(CISO)와 개인정보보호 최고책임자(CPO)의 책임성을 강화할 방안 등을 논의했다.
또 지속적인 사이버보안 역량 강화를 위해 국가 배후 해킹 조직 대상 능동적 방어 기반을 구축하고 주요국과의 국제협력을 공고히 해 나가기로 했다. 정보보호산업 육성과 인력양성·기술개발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는 데 공감하며 구체적인 정책 과제도 마련·시행 한다.
오 차장은 "AI의 발전과 함께 사이버 위협도 지능화·고도화 되고 있으며 민생의 안정과 기업의 생존, 그리고 국가의 안보를 위해서는 사이버 보안이 반드시 담보돼야 한다"고 말했다.
오 차장은 "사이버 공격에도 사회가 흔들리지 않고 본연의 기능을 이어갈 수 있도록 굳건한 사이버 복원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안보실은 관계 부처와 함께 사이버 복원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을 지속 마련·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parksj@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