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관련 다양한 연구과제 수행·성과 달성, R&D 투자 비중↑
인디게임협회, 인공지능게임협회로…AI 기술 도입 돕는다
[서울=뉴스핌] 이성화 기자 = 국내 주요 게임사들이 올해 상반기 인공지능(AI) 기술 고도화에 주력하면서 연구개발(R&D) 비용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게임사들은 이미 수년 전부터 AI 기술 개발과 활용에 집중해 왔지만 생성형 AI 기술이 급속도로 성장하면서 AI 분야 투자는 게임산업에서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말이 나온다.
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넷마블, 크래프톤, 엔씨소프트, 카카오게임즈, 펄어비스, 넥슨게임즈 등은 최근 공개한 반기보고서에서 상반기 R&D 투자액과 주요 성과 및 향후 계획을 밝혔다.
![]() |
◆넥슨게임즈·펄어비스·카카오게임즈, R&D 투자 비중 높아
넷마블의 상반기 R&D 비용은 3037억원으로, 전체 매출의 22.6%을 차지했다. 올해 초 신설한 생성형 AI 연구 조직 'AI&Tech랩'을 중심으로 다양한 AI 기술 관련 연구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넷마블은 ▲딥러닝 알고리즘 기반 게임 이상 탐지 시스템 개발 ▲게임 내 감정 표현이 가능한 음성 AI 기술 구현 ▲강화학습 기반 게임 플레이 봇 개발 ▲음성 기반 립싱크 및 얼굴 애니메이션 자동 생성 AI 모델 개발 ▲이미지 생성 AI를 활용한 게임 아트 생성 등 과제를 연구개발하고 있다. 이를 통해 게임 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사용자 맞춤형의 다양한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계획이다.
크래프톤은 상반기 전체 매출의 18.6%인 2860억원을 R&D에 투자했다. 2022년 신설한 딥러닝 본부는 사내 업무 효율화를 위한 AI 기술과 게임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딥러닝 기술을 동시에 개발하고 있다.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크래프톤은 61개의 연구과제를 수행했다. AI 관련 주요 연구 성과로는 대규모 데이터와 연산을 활용해 초거대모델을 학습하는 기술 확보, 초거대모델 학습용 자체 GPU 클러스터 시스템 개발 완료, 대규모 립러닝 학습 데이터 설계 및 수집 기술 확보 등이 있으며 AI 기반 챗봇 트랜스폼 엔진, GPT를 사용해 대화·추리의 재미를 가진 게임 등을 개발했다.
엔씨소프트는 상반기 매출의 22%에 달하는 1611억원을 R&D 비용으로 사용했다. 엔씨소프트는 생성형 AI와 고품질 메타버스 구현 핵심 기술 중 하나인 'NeRF(Neural Radiance Fields)' 기술을 추적 연구해 게임 및 영상 제작에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했으며 오픈소스 음악생성 AI 모델을 활용한 인게임 음악 제작 자동화 방안을 연구했다고 반기보고서에서 밝혔다.
카카오게임즈의 상반기 R&D 비용은 전체 매출의 34.9%인 834억원으로 나타났다. 반기보고서에는 딥러닝을 이용한 사용자 예측 시스템과 게임 경제 모니터링 시스템, 딥러닝 AI 모델 개발 등을 AI 관련 연구 결과로 기재했다.
펄어비스는 상반기 R&D에 612억원을 투자했으며 매출액 대비 비중은 37.5%로 집계됐다. 펄어비스는 반기보고서를 통해 ▲플레이스테이션5(PS5)를 위한 레이트레이싱 기술 ▲렌더링 품질 향상 ▲게임 내 물리 현상 구현 등 펄어비스의 차세대 게임 엔진 '블랙스페이스 엔진' 고도화에 집중적으로 투자했다고 밝혔다.
향후에는 차세대 그래픽 및 엔진 고도화, 레이트레이싱 기술 심화, 대규모 오픈월드 환경 최적화 등에 투자를 지속할 계획이다.
넥슨게임즈는 상반기 매출의 45%인 404억원을 R&D 비용으로 썼다. 반기보고서에는 현대 배경의 총격전에 맞는 전술 AI 제작, 수집한 캐릭터와 1대 1 톡이 가능한 모모톡 AI 대화, 자체 딥 러닝 원천 기술 개발 등에 투자했다고 기재했다.
게임사들은 AI 개발 맞춤형 인력 채용도 확대하는 추세다. 잡코리아의 게임 분야 전문 취업포털 게임잡 내 채용공고에는 게임개발 직군에서 게임 AI 개발 분야를 따로 설정했다. 현재 크래프톤, 펄어비스 외에도 스마일게이트RPG(AI센터), 컴투스(데이터 AI 랩스) 등이 AI 개발 담당자를 모집하고 있다.
◆관련 단체 이름에도 '인공지능' 포함…명칭 변경 추세
국내 인디게임 산업을 지원하는 한국인디게임협회는 AI 시대에 발맞춰 최근 '한국인공지능게임협회'로 명칭을 바꾸고 새출발을 선언했다.
![]() |
한국인공지능게임협회 로고. [사진=한국인공지능게임협회] |
협회는 5000여명의 일반회원과 100여개의 정회원사를 보유하고 있다. 기존 지원 사업과 더불어 개발자들이 게임 제작 과정에서 활용도가 확산하는 AI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협회 관계자는 "협회가 인디게임과 AI를 연결하는 플랫폼이 돼 국내 개발자들이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역시 지난 5월 한국인공지능·소프트웨어산업협회로 명칭을 변경했다. 설립 37년 만에 처음으로 명칭을 바꾼 협회는 전통적인 소프트웨어(SW) 기업과 AI 기업을 아우르는 대표 민간단체로 영역을 확장하겠다는 구상이다.
shl22@newspim.com